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복 혈당장애 및 내당능장애자에서 홍국의 섭취가 혈중지질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강미란(Kang Mi Ran),김지영(Kim Ji Young),현예정(Hyun Yae Jung),김혜진(Kim Hyae Jin),여현양(Yeo Hyun Yang),송영득(Song Young Duk),이종호(Lee Jong Ho)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1

        내당능 장애와 공복혈당장애는 장차 당뇨병으로 진행되거나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로 간주되어 적절한 혈당 및 혈중지질수치의 조절이 필요하다. 홍국의 기능성 분인 모나콜린-K는 statin계열 약물의 주원료로서 이미 지질 강하제로 잘 알려져 있다. 홍국의 지질 강하제 이외의 다른 효과로서 동물 자체 효력 시험과 문헌 고찰을 통해 혈당 강하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므로 이중 맹검, 무작위배정, 위약 대조 인체시험을 통하여 홍국의 혈중 지질 및 혈당 개선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8~80세 사이의 남녀를 대상으로, 스크리닝 시 공복혈당이 110 ㎎/㎗이상 126 ㎎/㎗ 이하인 공복 혈당 장애이거나 경구 당 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140 ㎎/㎗ 이상 199 ㎎/㎗ 이하인 내당능 장애자이거나 당화혈색소 수치가 6% 이상 7% 이하인 자로서 심각한 합병증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홍국 저용량군 21명, 고용량군 23명, 위약군 20명으로 총 64명을 대상으로 12주간 검사에 대한 결과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유효성 지표로 혈중 지질관련 지표인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Atherogenic index (AI)를 측정하였으며, 2차 유효성 지표로 혈당 지표인 공복 혈당,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혈당치, 당화혈색소, 인슐린, HOMA-IR, 유리지방산을 측정하였다. 시험군에서 홍국제제 섭취 전후로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동맥경화지수도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홍국 고용량군의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 개선 정도는 위약군의 변화량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저용량군의 경우에도 LDL 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지수 개선 정도가 위약군의 변화량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홍국의 섭취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시험군에서 제제 섭취 12주 후 공복혈당이 감소하였고, 시험군이 위약 군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주평가지표인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공복혈당 110 ㎎/㎗ 이상인 피험자만을 대상으로 당대사 관련 지표를 분석한 결과, 홍국 고용량군에서 공복혈당의 감소경향이 관찰되었고, 홍국 저용량군에서는 당화혈색소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위약군의 변화량과 비교하여 유의적이지 않았다. 공복혈당 장애자 또는 내당능 장애자에서 하루 홍국 분말 2.52 g (저용량군) 또는 5.04 g (고용량군)을 포함한 건강기능식품을 12주간 섭취시킨 결과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수의 개선으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고용량군일 경우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 of red-yeast-rice supplementation on cholesterol-lowering and glucose control in subject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IFT) 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We conducted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ith 3 groups; placebo, low dose group (red yeast rice 210.0 ㎎/capsule, 2.52 g/day) and high dose group (red yeast rice 420.0 ㎎/capsule, 5.04 g/day), which were randomly assigned to subject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We measured fasting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LD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insulin, free fatty acid (FFA) and 2 h oral glucose tolerence test (OGTT) before and after the supplementation. Both low dose and high dose groups had significant decrease in LDL 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AI) compared with placebo group (p<0.05). Additionally, total and HDL cholesterol improved significantly in high dose group compared with placebo group (p<0.05). Fasting serum glucose decreased in test groups and increased in placebo group after intervention.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s which fasting blood glucose is more than 110 ㎎/dL, fasting glucose had a tendency to decrease in high dose group (p<0.1) and Hemoglobin Alc (HbAlc) had significant decrease in low dose group (p<0.05), while insulin and HOMA-IR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placebo group after intervention. Mean changes of glucose related parameters (fasting glucose, insulin, HOMA-IR) compared with placebo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subject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serum lipid profile by red yeast rice supplementation without serious side effects. These are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a high dose. The effects of red yeast rice supplementation on glucose control were insignificant. (Korean J Nutr 2008; 41 (1): 31~40)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과 감마 리놀렌산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 농도 및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곽정현(Gwak Jung Hyun),김지영(Kim Ji Young),김혜진(Kim Hyae Jin),신동혁(Shin Dong Hyeok),이종호(Lee Jong Ho)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2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 LDL 농도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p = 0.006), 플라시보군에서 유의적인 변화 없었음. 두 군간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1). 2) 혈청에서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1, B 등의 농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3) LDL particle size와 Paraoxonase 활성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지질과산화지표인 혈장 MDA 농도는 두 군간 변화량 비교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0). 4) 갱년기 증상 지표인 Modified kupperman index (KI)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과 플라시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 (p < 0.001). KI 수치의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복합제재를 12주간 섭취하였을 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산화 LDL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하였고, 두 군간의 비교시 MDA 농도 변화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복합제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체내 LDL-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서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이소플라 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 제재 섭취와 관련 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임으로 복합제재의 용량 설정을 세분화 하고 복용기간을 연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mbined effects of gamma linolenic acid and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menopausal symptoms and serum lipids in 73 postmenopausal women. A tota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isoflavone (30 ㎎) + gamma-linolenic acid (110 ㎎) group or placebo group. We measured menopausal symptoms by modified Kupperman Index (KI) and oxidized LDL, lipid peroxides, blood component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the 12 week intervention period. After the 12 weeks of supplementation, supplement group and placebo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modified kupperman index (p < 0.001). Isoflavone (30 ㎎) + gamma-linolenic acid (110 ㎎) supple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oxidized LDL cholesterol concentration (p = 0.006) whereas placebo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Isoflavone and gamma-linolenic acid consump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lasma concentrations of total, LDL,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apo A1, B and blood components. The result of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supplementation of 30 ㎎ isoflavone and 110 ㎎ gamma-linolenic acid per day for 12 weeks may protect LDL cholesterol from oxidative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