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ends and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ummer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across South Korea for 1973–2022

        김혜렴,문민철,윤정희,하경자 한국기상학회 2023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59 No.3

        Climate change has altered the frequency, intensity, and timing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Extreme precipitation hascaused tremendous socio-economic losses, and severe impacts on human life, livelihood, and ecosystems. In recent years,heavy rainfall events occurred during the boreal summer (June-to-August) frequently and sporadically over South Korea. Given that its severity, a call for an urgent investigation of summer extreme rainfall is needed.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have addressed daily extreme precipitation, hourly extreme rainfall still needs to be thoroughly investigated. Therefore, in thisstudy, we investigated the trends, spatio-temporal variability, and long-term variations in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overSouth Korea during the boreal summertime using daily and hourly observational data through various analysis methods. Duringthe past 50 years (1973–2022), there has been a notable escalation in maximum hourly precipitation, although the borealsummer mean precipitation has increased only marginally. Regionally, an increase in mean and extreme rainfall occurred inthe northern part of the central region and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the increase in intensityand frequency of extreme precipitation as well as in dry day have contributed more to the total summer precipitation in recentyears. Our findings provide scientific insights into the progression of extreme summer precipitation events in South Korea.

      • Abnormal Activities of Tropical Cyclones in 2019 over the Korean Peninsula

        문민철,김혜렴,하경자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최근 30년(1990-2019)동안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과 한반도에 영향을 준 열대 저기압의 시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2019년 이례적으로 많은 열대 저기압이 한반도에 영향을 준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19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은 기후값에 비하여 3월-6월은 평균이하로 나타났고, 9월-11월은 평균이상으로 나타났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열대 저기압의 경우 5월-10월로 분포하던 기후값과 비교해 7월-9월로 집중되었다. 7-9월의 평균을 통해 대기의 하층부터 상층의 주요한 관련 인자들을 분석했다. 해수면 온도의 경우 5,6월부터 한반도 주변의 온난한 해수면 온도 아노말리가 나타나고 차가운 해수면 온도 아노말리가 배치되며, 열대저기압이 한반도를 향하기 좋은 조건이 발달하였다. 그리고 500 hPa 지위고도의 아노말리패턴을 통해 알루샨 저기압의 강화와 더불어 삼중구조의 기압배치를 통해 일본 부근의 고기압성 아노말리가 열대 저기압이 북상함에 있어 한반도를 향하게 만든 주요한 영향 중 하나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위도에서 바람시어의 아노말리가 동서로 이중구조를 나타내고, 중위도에서 일본 동쪽에서 강한 양의 아노말리가 발달하며 상대적으로 윈드 시어가 약한 한반도 부근에 열대저기압이 향하기 좋은 공간적 특성이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공간패턴들을 기후값과 아노말리를 분리하여 열대저기압의 수치모형 실험을 통해 가장 지배적인 영향 인자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