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좌골 결절부위 기시부에서 내측 슬괵건 파열 - 증례 보고 -

        김형간,황선철,Kim, Hyung Kan,Hwang, Sun Chu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좌골 결절에서 기시하는 내측 슬괵건의 파열은 성인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비교적 드문 착지 중에 발생한 근위 내측 슬괵건의 파열에 대해 봉합 나사못(suture anchor)을 이용하여 좌골 결절에 부착(attach)하여 치료한 뒤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A complete rupture of hamstring tendon originated from ischial tuberosity is a uncommon sports injury in adults. We present successful outcome obtained by attachment on ischial tuberosity using suture anchor in relatively rare case of the proximal rupture of the medial hamstring tendon sustained during landing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손상 유무와 대퇴 과간 절흔의 형상과의 상관관계 비교

        김형간(Hyung Kan Kim),문동규(Dong Kyu Moon),곽지용(Ji Yong Gwark),남대철(Dae Cheol Nam),김동희(Dong Hee Kim),황선철(Sun Chul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6

        목적: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과간 절흔의 모양과 폭, 부피를 측정하여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유무에 따른 각각의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십자인대 손상군 72명, 비손상군 80명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관간절흔의 삼차원적인 부피와 이차원적인 폭과 모양을 측정하여, 전방십자인대 손상군과 비손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과간 절흔의 폭, 모양, 부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관찰자 간, 관찰자 내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성별에 관계 없이 전방십자인대 손상군에서 과간 절흔의 폭이 더 작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과간 절흔의 부피는 전방십자인대 손상군에서 비손상군보다 더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남: p=0.43, 여: p=0.22). 전방십자인대 손상군과 정상군 간에 과간 절흔 모양의 차이는 없었다(남: p=0.16, 여: p=0.88). 결론: 과간 절흔의 폭은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위험을 예측하는 데 좋은 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나 과간 절흔의 모양과 부피는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위험을 판단하는 지표로서 의미가 없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3-dimensional (D) notch volume and the 2D notch width and notch shape as measur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between subjec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and those without ACL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Knee MRI images were taken from 72 subjects with ACL injury and 80 subjects without ACL injury (January 2007 to January 201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inju, Korea). We measured 3D notch volume and 2D notch width and notch shape. The measured values from MRI figures between ACL-injured subjects and non-ACL-injured subje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se measurements (notch width, notch ratio) were correlated to notch volume. Both intra-observer reliabil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calculated. Results: Notch width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ACL injured subjects and non-injured subjects (p<0.001),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tch volume and notch shape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male: p=0.43, female: p=0.22).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suggest that certain 2D measurements (notch width) of the notch could be better than notch volume for prediction of ACL rupture risk.

      • KCI등재후보

        Measurement of Knee Morphometrics Using MRI: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CL-Injured and Non-Injured Knees

        박진성,황선철,남대철,김동희,김형간 대한슬관절학회 201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distal femur morphology betwee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injured and the non-ACL injured on a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the difference of bone structure by gender. Materials and Methods: MRI Measurements of notch width (NW), bicondylar width (BCW), medial condyle width (MCW), lateral condyle width (LCW), medial-to-lateral condyle ratio (M:L ratio), and notch entrance width (NE) were taken from 120 subjects with ACL injury and the other 106 subjects without ACL injury, by three independent observers, at two different times. The measured values from MRI figures between the ACL-injured and the non-ACL-injured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by gender. Both intra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calculat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NW, BCW, MCW, LCW and NE by gender (p<0.001). While NW and MCW in male group were different (p<0.001), NW, MCW, M:L ratio and NW index (NWI) in female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in the bone morphology between the ACL-injured and non-ACL-injured. The intra-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satisfying. Conclusions: If necessary to take an MRI, female patients with small NWI and NW injury should be carefully treated because of possibility of ACL injuries.

      • KCI등재

        경막하 지방종으로 오인될 수 있는 외상성 요천추부 아급성 경막하 출혈

        황선철(Sun-Chul Hwang),김형간(Hyung-Kan Kim),조성희(Seong-Hee Cho),남대철(Dae-Chul Nam),이헌근(Heon-Keun Lee),박경언(Kyeong-Eon Park),나재범(Jae-Boem Na),김동희(Dong-H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5

        외상성 요천추부 경막하 혈종은 해부학 및 병리학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경막외 혈종에 비해 빈도가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상의 시기가 불분명한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혈종의 신호 강도가 두개강내 혈종과 척추강 내 혈종에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감별진단에 있어서 많은 혼돈을 주게 된다. 이에 지방억제 자기공명영상 및 컴퓨터단층촬영 등의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외상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경막하 혈종을 자기공명영상과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경막하 지방종과 감별진단하여 조기에 수술적 감압술 시행 후, 좋은 예후를 보인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raumatic lumbosacral spinal subdural hematoma due to anatomical and pathological causes is rare, compared to epidural hematoma. If the time of trauma cannot be determined, intracranial and intraspinal signal intensity according to lapse of time are not coincident, resulting in confusion in terms of differentiation. Fat suppression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and computed tomography (CT) are utilized for differentiation.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report on a case where spinal subdural hematoma of unknown time of occurrence is differentiated from subdural lipoma by taking advantage of fat suppression MRI and CT in order to perform an early surgical decompression with auxiliary review of literature demonstrating good prognosis of the procedure.

      • KCI등재

        폐쇄형과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의 비교

        조세현(Se Hyun Cho),황선철(Sun Chul Hwang),손강민(Kang Min Sohn),김형간(Hyung Ka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2

        목적: 폐쇄형 및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 시행 환자의 술 전, 후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변화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폐쇄형 군 75예, 개방형 군 41예였다. 고관절-슬관절-족근관절각(hip-knee-ankle [H-K-A] axis) 및 Ahlback 분류에 따른 관절염 정도를 측정하였다. 슬관절 기능은 Tegner 활동 점수, Lysholm 슬관절 점수,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y 점수로 평가하였다.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술 전, 후 슬개골의 위치 및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Visual analogue scale 및 운동 범위는 모두에서 호전되었다. H-K-A 축은 내반에서 술 후 외반으로 교정되었고, 점진적으로 내측 관절증이 진행하였다. Body mass index는 관절염 진행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슬관절 기능은 전 예에서 호전되었다. 슬개골 높이는 폐쇄형 군은 고위, 개방형 군은 저위 현상이 나타났다. 경골 경사도는 폐쇄형 군은 감소, 개방형 군은 증가하였다. 내반이 재발한 경우는 총 16예였다. 결론: 폐쇄형 및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군 모두에서 기능적으로 호전되었으나 명확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슬개골의 높이와 경골 경사도는 서로 반대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and radiologic changes of closing-wedge high tibial osteotomy (CW HTO) and opening-wedge high tibial osteotomy (OW HTO).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five knees were treated with a CW HTO and 41 with an OW HTO. For each patient the hip-knee-ankle (H-K-A) axis was evaluated and the degree of the medial compartmental arthrosis was measured by Ahlback-type radiological classification. The function of the knee was evaluated by the Tegner activity score, the Lysholm knee scoring scale and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y index. Lateral radiographs were taken to assess the patellar height and the posterior tibial inclination. Results: In both groups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and range of motion was achieved. The frontal plane H-K-A axis was corrected significantly from varus to the range of physiological valgus and the arthrosis of the medial compartment of the knee progressed gradually. The body mass index was significantly influential to the progression of arthrosis. The functions of the knee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cases. In the closing-wedge group, the patella height was increased at the postoperative period, while it was decreased in the opening-wedge group. There was a tendency of a decrease of the tibial inclination in the CW HTO group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the tibial inclination in the OW HTO group. Recurrence of varus occurred in sixteen cases. Conclusion: In both groups, improvement of the function of the knee was achiev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the opposite result was found in the patella height and the tibial incl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