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응급실 소아 천식 환자를 위한 표준 진료 지침의 적용: 부정확 적용군과의 비교

        김현희 ( Hyun Hee Kim ),남지선 ( Ji Sun Nam ),조연수 ( Yeon Soo Cho ),전윤홍 ( Yoon Hong Chun ),윤종서 ( Jong Seo Yoon ),김진택 ( Jin Tack Kim ),이준성 ( Joon Sung Lee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4

        목적: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천식 환자에게, 근거에 중심을 둔 표준 진료 지침을 적용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응급실에서 정확하게 시행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표준 진료 지침의 정확한 적용이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 까지 천식의 급성 악화를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환자 전원에게 표준 진료 지침을 적용하였다. 응급실 진료기록을 조사하여 표준 진료 지침이 정확하게 적용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정확하게 적용된 집단과 부정확하게 적용된 집단으로 나누어 치료의 효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51명의 급성 천식 악화 환아 중 표준 진료 지침이 정확하게 적용된 환자는 24명(47%)이었고, 부정확하게 적용된 환자는 27명(53%) 이었다. 부정확하게 적용된 군에서는 중등도 악화가 많았다. 부정확하게 적용된 내용으로는, 흡인성 항콜린제를 사용하지 않았거나 적게 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잘못 적용된 이유로는 응급실에서 환자를 진료한 전공의의 숙지 미숙이 가장 많았다. 표준 진료 지침의 항목 중 핵심적인 치료를 부정확하게 실행한 환자에서 병실로의 입원율이 높았다. 결론: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천식 환자에 대하여, 표준 진료 지침을 적용하는 것은 치료의 효과를 향상 시켰다. 그러나, 이 지침을 정확하게 적용하기 위하여는 중등도 악화 환자에 대한 집중 관리 및 응급실에서 진료를 하는 전공의에 대한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tandard clinical pathway based on evidence is applicable to pediatric asthma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and whether it is better for treatment effectiveness. Methods: The clinical pathway was applied to children who visited our emergency room due to acute asthma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09. Medical records of the emergency room were reviewed to see if the clinical pathway was correctly appli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ose who the pathway was correctly applied and those who the pathway was incorrectly applied to (group B, n=41). Results: Acute asthma exacerbation occurred in 24 children (47%) in group A, while it occurred in 27 children (53%) in group B. The majority of patients in group B had moderate asthma exacerbation. The incorrect applic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and no use or insufficient use of inhaled anticholinergics was most frequently noted. The most common cause for the incorrect applic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was its misunderstanding of residents. The hospitalization rate was higher in group B than in group A.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to pediatric asthma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increased treatment effectiveness. However, training for the residents and intensive care for the patient with moderate asthma exacerbation are necessary for correct applic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0;20:256-263]

      • 만성 비증상이 있는 소아에서 비호산구 수와 다른 임상지표의 연관성

        정범석 ( Bum Suk Jung ),조연수 ( Yeon Soo Cho ),김유진 ( Eu Gene Kim ),윤종서 ( Jong Seo Yoon ),김현희 ( Hyun Hee Kim ),이준성 ( Joon Sung Lee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8 천식 및 알레르기 Vol.28 No.3

        Background: Nasal eosinophil count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llergen-specific IgE reaction, serum total IgE level, and blood eosinophil count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Objective: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nasal eosinophil count and other clinical indices in children with chronic nasal symptoms. Method: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smears of nasal swabs were examined under the light microscope for nasal eosinophil count.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in correlation to nasal eosinophil count and clinical indices. Result: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 history of allergic diseases other than allergic rhinitis and positive reactions to serum allergen-specific IgE antibodies in the considerable group (52.9% and 92.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absent group (28.8% and 55.1%) (P<0.05). The number of patients with nasal symptom duration of less than 3 weeks in the absent group (31.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groups (P<0.05). Blood eosinophil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iderable group (491.2±264.0/mm3) than those in the absent group (310.2±293.7/mm3) (P<0.05). Conclusion: Nasal eosinophil count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history of other allergic diseases, duration of nasal symptoms, positive reactions to serum allergen- specific IgE antibodies and blood eosinophil count.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8;28:214-219)

      • 소아의 굴염에서 생리 식염수 비 세척과 충혈 제거제의 사용에 대한 전향적 무작위 개방 시험

        윤종서 ( Jong Seo Yoon ),조연수 ( Yeon Soo Cho ),김민성 ( Min Sung Kim ),전윤홍 ( Yoon Hong Chun ),김현희 ( Yeon Soo Cho ),김진택 ( Jin Tack Kim ),이준성 ( Joon Sung Lee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4

        목적: 소아 굴염은 치료방법에 대해 논란이 많다. 일반적으로는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치료로 알려져 있다. 부가적인 치료로서, 식염수로 비강을 세척하는 방법 그리고 충혈 제거제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추가적인 치료들의 효과에 대하여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는 굴염의 치료에 있어서, 항생제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이에 추가로 생리 식염수로 비강을 세척하는 방법 또는 충혈 제거제 복용, 또는 이 두 가지를 함께 추가하는 치료를 시도해서 각 치료 방법의 성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소아 호흡기질환 클리닉에 내원한 굴염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무작위로 다음의 4가지 치료법 중 한 가지의 치료법을 적용하였다. 그룹 1은 고용량 아목시실린만 사용, 그룹 2는 고용량 아목시실린에 추가로 생리 식염수로 비강 세척을 사용, 그룹 3은 고용량 아목시실린에 추가로 충혈 제거제를 사용, 그룹 4는 고용량 아목시실린에 추가로 생리 식염수 비강 세척과 충혈 제거제를 모두 사용한 경우로 하였다. 치료에 대한 반응을 급성 및 아급성 굴염의 경우은 치료 시작 후 최소 4일 후, 만성 굴염의 경우는 치료 시작 후 최소 7일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 4개의 치료법 간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비교했을 때, 각 그룹간에 차이가 없었다. 환자가 화농성 콧물, 코 막힘, 후비루, 굴 사진에서 특정한 소견, 그리고 아데노이드 비대증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더 좋은 반응을 보이는 치료 방법은 없었다. 결론: 소아 굴염 환자 치료 시에 고용량 아목시실린에 추가적으로 생리 식염수 비 세척이나 충혈 제거제의 경구 사용은 환자의 증상개선에 있어서 추가적인 이득이 없었다. Purpose: The management of sinusitis in children is controversial. Antibiotic is known as the most essential management. Despite nasal irrigation and nasal decongestant have been used as adjunctive treatments of sinusitis, it is still unclear whether these are effective on sinusitis. Therefore, we used antibiotics with either nasal irrigation and an oral nasal decongestant and tried to estimate the outcome of each cas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inusitis patients who visited our pediatric respiratory disease clinic. They were randomized into 4 groups: Group 1 were treated with a high dose of amoxicillin only; Group 2 were treated with nasal irrigation and a high dose of amoxicillin; Group 3 were treated with a nasal decongestant and a high dose of amoxicillin; and Group 4 were treated with nasal irrigation, a oral nasal decongestant, and a high dose of amoxicillin. Responses to treatment were estimated more than 4 days after the beginning of the therapy in acute or subacute sinusitis, and more than 7 days chronic sinusitis. Results: The responses to the treatments the 4 groups were not comparable. A favorable therapy was not found, regardless of whether a patient had suppurative rhinorrhea, nasal stuffness, typical findings of PNS plain radiograph, or adenoid hypertrophy. Conclusion: The use of nasal irrigation or a oral nasal decongestant as an additional therapy to antibiotics for the symptoms of pediatric sinusitis showed no additional effects on sinusiti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0;20:232-23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