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포의 크기, 빈도수 및 상승속도

        김현태 ( Hyun Tae Kim ),송평섭 ( Pyung Seob Song ),최길수 ( Gill Soo Choi ),김상우 ( Sang Woo Kim ),조용준 ( Yong Jun Cho ),강용 ( Yong Kang ) 한국공업화학회 2002 공업화학 Vol.13 No.7

        직경이 0.152 m이고 높이가 2.5m인 삼상 역 유동층에서 전기저항 탐침법을 이용하여 기포특성인 기포수직길이와 상승속도 그리고 빈도수에 대해 고찰하였다. 기체와 액체 유속 그리고 유동입자의 종류가 기포크기, 기포상승속도 및 빈도수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였다. 물과 여과된 압축공기를 각각 액체와 기체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유동 고체상으로는 밀도가 각각 877.3 kg/㎥, 966.6 kg/㎥인 직경이 0.004 m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입자와 폴리에틸렌 입자를 사용하였다.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포의 크기와 빈도수는 기체유속과 액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기포의 상승속도는 기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나 액체유속의 증가에 따라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포의 크기와 상승속도는 같은 유동조건에서 고체밀도가 작은 폴리프로필렌 입자의 경우가 폴리에틸렌을 입자로 사용할 경우에 비해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동입자의 밀도가 큰 경우에 기포의 빈도수는 큰 값을 나타내었다.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포의 수직길이, 상승속도 그리고 빈도수는 본 연구의 실험 범위에서 무차원군의 상관식으로 각각 나타낼 수 있었다. Bubble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rising velocity and frequenc have been investigated in a three-phase inverse fluidized bed (0.152 m ID and 2.5 m in height) by employing electric resistivity probe method. Effects of gas and liquid velocities as well as types of particles on the size, the rising velocity and the frequency of bubbles have been determined. Water and filtered compressed air have been used as the liquid and the gas pahses, respectively. 4 mm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particles, with densities of 877.3 kg/㎥ and 966.6 kg/㎥, respectively, have been used as the fluidized particl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size and the frequency of bubb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gas and liquid velocities, while the bubble rising velo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gas velocity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liquid velocity in the three-phase inverse fluidized bed. The bubble size and rising velocity exhibited higher values in the bed of polypropylene particles than in the bed of polyethylene. But, the frequency of bubbles showed a higher value in the bed of polyethlene than in the bed of polypropylene. Using dimensionless groups, the size, the rising velocity and the frequency of bubbles were correlated well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호기성 삼상 역 유동층의 물질전달 특성

        송평섭,강용,김상돈,김상우,김현태 한국화학공학회 200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0 No.4

        직경이 0.152m이고 높이가 2.5m인 호기성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체 체류량과 액상의 축방향 혼합 그리고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체와 액체의 유속 그리고 유동입자의 종류(유동입자의 밀도)가 기체 체류량, 액상의 축방향 혼합계수 그리고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였다. 물과 여과된 압축공기 그리고 밀도가 877.3㎏/㎥ 및 966.6㎏/㎥인 직경이 0.004m인 구형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입자와 폴리에틸렌 입자를 각각 액체, 기체 그리고 유동 고체상으로 사용하였다.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체 체류량은 압력강하 분포자료로부터 정압강하법에 의해 결정하였으며, 액상의 축방향 분산 계수와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계수는 액상의 축방향 용존산소 농도분포를 이용하여 축방향 분산모델에 의해 결정하였다. 호기성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체 체류량과 액상의 축방향 분산계수 그리고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계수는 기체 및 액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기체 유속의 영향이 액체 유속의 영향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같은 유동조건에서 고체의 밀도가 큰 폴리에틸렌 입자의 경우가 폴리프로필렌을 유동입자로 사용할 경우에 비해 기체 체류량과 액상의 축방향 분산계수 그리고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계수가 큰 값을 나타내었다. 호기성 상상 역 유동층에서 기체 체류량, 액상의 축방향 분산계수 그리고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계수는 기체 및 액체의 유속 그리고 유동입자 밀도의 상관식으로 각각 나타낼 수 있었다. Gas holdup,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of liquid phase and gas-liqui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in a aerobic three-phase inverse fluidized bed whose diameter and height are 0.152m and 2.5m, respectively. Effects of gas and liquid velocities and particle density(particle kind) on the gas holdup,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of liquid phase and volumetric gas-liquid mass transfer coefficient have been determined. Tap water, filtered compressed air and low density polypropylene particle(p_s=877.3㎏/㎥, d_p=0.004m) or polyethylene particle(p_s=966.6㎏/㎥, d_p=0.004m) have been used as a liquid, gas and fluidized solid phase, respectively. The gas holdup has been obtained from the pressure drop profiles by means of static pressure drop method, and the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of liquid phase and volumetric gas-liquid mass transfer coefficient have been determined by means of axial dispersion model from the knowledge of axial profile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gas holdup,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and volumetric gas-liquid mass transfer coefficient have increased with increasing gas and liquid velocities, but the effects of gas velocity have been dominant in aerobic three phase inverse fluidized beds. In the beds of polyethylene particle(relatively heavier particle) the values of ε_G, Dz and k_L a have exhibited higher than those in the beds of polypropylene particles(relatively lighter particle). The values of gas holdup,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and gas-liquid mass transfer coefficient have been well correlated in terms of gas and liquid velocities and particle density.

      • KCI등재

        기/액 향류흐름 유동층에서 기포특성의 축방향 변화 및 분포

        손성모,윤정호,김현태,송평섭,강용,김상돈 한국화학공학회 200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2 No.2

        밀도가 낮은 입자를 유동 입자로 사용하고 직경이 0.152m, 높이가 2.5m인 기체-액체 향류 흐름 유동층에서 기포의 축방향 분산 및 분포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유동층에서 상승하는 기포의 크기, 상승속도와 빈도수 등을 이중 전기 저항 탐침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포의 축방향 분산과 분포 특성은 각 특성들의 확률밀도함수에 의해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기포 특성의 평균값을 확률 밀도함수로부터 결정하였다. 기포 크기의 평균값과 분포는 기체와 액체 유속뿐만 아니라, 분산판으로부터 축방향 높이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기포의 상승 속도와 분포 또한 기체와 액체 유속뿐만 아니라 축방향 높이의 증가에 따라 매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승하는 기포의 빈도수는 축방향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기포의 크기, 상승 속도와 빈도수 같은 기포 특성들은 본 실험의 운전 변수들인 축방향 위치, 기체와 액체의 유속과 입자의 밀도 등의 상관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Axial variation and distribution of bubbl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a gas/liquid counter current fluidized beds(0.152m×2.5m) with relatively low-density particles. Chord length, rising velocity and frequency of rising bubbles in the beds were measured and determined by means of dual resistivity probe method. The axial variation and distribution of bubble properties were well visualized by probability number density function, by which the mean value of bubble properties were determined. The mean value and distribution of bubble chord length increased profoundly with increasing axial height above the distributor as well as gas and liquid velocities. The rising velocity and its distribution of bubble also increased considerably with increasing the axial height. The bubble properties such as bubble chord length, rising velocity and frequency were well correlated in terms of the axial position, gas and liquid velocities, and particle density with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