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어 대화에서의 말차례 이동양상 연구

        김향화(金香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9 No.-

        본고는 순서교대 위치의 전이적정 여부에 따라 말차례 이동을 우선 정상적인 말차례 이동과 비정상적인 말차례 이동으로 구분한다. 다음, 정상적인 말차례 이동을 다시 말차례 획득의 주동성 여부에 따라 말차례 가져오기와 말차례 넘겨받기로 나누어서 다루고 비정상적인 말차례 이동은 말차례 유지 여부에 따라 다시 말차례 끼여들기와 말차례 뺏기로 나누어서 다룬다. 실지 대화에서 나타나는 말차례 이동양상을 분석하는 만큼 조선어 대화의 실제 모습을 밝혀내여 조선어 대화특징을 밝혀내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조선어(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도 조선어의 대화모델을 제시해주어 조선어 대화분석 리론의 구축 및 조한 언어대비 연구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

        만주 재현 소설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 만주국 후기 소설을 중심으로

        김향화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6 No.-

        ‘만주’는 제국주의에 의해 고향으로부터 추방당한 근대의 조선인이 희망과 절망을 반반씩 지니고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지향했던 곳이다. 본고에서는 재만(在滿) 경험을 토대로 창작을 진행한 작가들이 ‘제2의 고향’으로서의 ‘만주’를 어떻게 서사하고 있으며 고향(조선)에 대한 작중 주인공의 인식의 변화과정을 통하여 특정한 작가의 특수한 ‘재만’의 경험에 주목하고자 한다. 동시에 이러한 특수한 ‘재만’의 경험에 대한 중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민족’과 ‘국민’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던 ‘식민지 조선인’에게 시사된 고향의 다양한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는다. 조선인 작가의 ‘재만’(在滿)이라는 경험은 단순하게 해석할 수 없는바 그것은 객관적으로 역사의 변천과 정치적인 제도의 변화과정과 관계되는 동시에 주관적으로 작가의 경력과 문학 창작 의도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당대에 만주에서 살았고 직접적으로 만주를 체험했지만 각각 다양한 신분과 경력을 가진 대표적인 작가로 안수길과 김창걸, 박계주의 일부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아울러 ‘재만’이라는 작가적 경험의 특수성을 재해석하고 그에 따라 다양하게 표상되는 ‘고향’의 의미에 대해 되짚어봄으로써 만주의 조선인에게 ‘고향’은 어떤 의미로 각인되고 변천되어왔는가를 연구한다. 물론 단순하게 이주민의 강한 정착 의지와 망향의식, 향토의식 등으로는 해석의 제한이 뒤따르고 있는 건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만주에 거주하면서 창작 활동을 했고 만주 재현 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 손꼽히는 안수길의 후기 작품인 「土城」과 「牧畜記」, 만주에서 태어나고 교육을 받았지만 다시 조선으로 돌아가서 만주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창작을 진행한 박계주의 「處女地」와 「母土」, 어렸을 때 만주로 이주하여 해방 후에 만주에 남은 중국 조선족의 대표적인 작가 김창걸의 「두번째 고향」을 텍스트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다. 상기 작품들은 모두 만주국 후기에 창작되었으며 만주국의 이념인 ‘왕도낙토(王道樂土)’와 ‘오족협화(五族協和)’ 사상을 일정하게 반영함으로써 시국에 편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본고는 이러한 특수한 사회 정치적 상황에서 조선 이주민들에게 시사된 ‘고향’의 의미를 분석하고 나아가서는 ‘재만’이라는 삶의 중층성과 다양성을 발굴하는데 그 연구 의의를 둔다. In this manuscript we examine how the writers who have slightly different experiences of Manchuria and composed based on that experience describe “Manchuria,” their “2ndhome,”and how the special “Manchuria” of each particular writer is detailed by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character’s awareness in regards to their original hometown(Joseon).Also, our research purpose is to analyze the various meanings of this forced hometown for the “colonial Korean people,”who have experience didentity confusion between“Ethnicity” and“Nation,”through the multi-level analysis of this special“Manchuria.”“Manchuria”was the place where the“Joseon People”were exiled from their hometown and forced to take root due to Imperialismand where they started anewlife after emigrating with both, hope and despair, in their hearts. The experience of “Manchuria(在滿)” of the Joseon writers is not simple to analyze since objectively it’s related to the historical change as well as the change in political system while subjectively it’s deeply related to the writers’ career and the intention of their literary creations. In this manuscript, the study object is the partial works of Ahn Soo-kil, Kim Changgeol, and Park Gyeju, who are representative authors who have directly experienced Manchuria and have various positions and work experiences. It also seeks to reinterpre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experience that is “Manchuria” and research the various presentations of the meaning of “hometown” and how this meaning of “hometown” is imprinted or changed for the people of Joseon living in Manchuria. Of course there will be limits to the simple interpretation of the emigrant’s strong will to take root, their nostalgia, indigenous awareness, and others. In this manuscript we used the late「土城」 and 「牧畜記」works of Ahn Soo-kil, who lived and wrote in Manchuria for a long time and is a renowned representative author of Manchurian literature, 「處女地」and「母土」of Park Gyeju, who was born and educated in Manchuria but returned to Korea to write based on his experience, and “2ndHometown” by Kim Changgeol, who emigrated to Manchuria when he was young and stayed ther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s a representative Chinese-Korean author. The texts mentioned above were all writte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Manchuria nation and reflects the Manchurian philosophy of “왕도낙토(王道樂土)” and “오족협화(五族協和) thought in a slightly different manner and seems to take advantage of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this manuscripts seeks to discover the diverse layers of life in “Manchuria”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forced “hometown” of the emigrants during that socio-political time.

      • 조선어 “좀”의 기능분석

        김향화(金香花),리영자(李英子)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중국조선어문 Vol.180 No.-

        사전에서 “좀”은 “조금”의 준말이다. 그러나 조선말 구어에서 “조금”과 비겨볼 때 “좀”의 출현이 빈번하고 어법화의 정도도 더 높다. 때문에 출현하는 기능도 더 복잡하다. 실지 언어생활에서 정도부사의 쓰임을 보일 때에는 “분량이 적게, 시간이 짧게”의 의미로 쓰이고, 정도부사가 셈술말로 기능바꿈을 할 때에는 “꽤 많다” 즉 수량의 의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담화적상항에서는 강조표지로도 기능을 한다.

      • KCI등재
      • 연변지역 간판어 번역현황분석

        김향화(金香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6 중국조선어문 Vol.201 No.-

        연변지역의 간판어는 조선어와 한어 이중언어로 되여있어 연변만의 독특한 간판문화를 형성한다. 연변지역 수부인 연길중심거리 간판어들을 살펴본 결과 간판어번역이 대체로 직역, 의역, 음차역, 혼합역 등의 양상을 보이는데 특기할 점은 전통적인 조선족음식이나 한족음식을 주업종으로 하는 음식점간판어들은 대부분 “한자어”, “한자어 + 고유어”, “고유어” 등 형식의 직역으로 번역되지만 전문메뉴를 자랑하는 음식점들의 간판어들은 의역이나 음차역, 혼합역의 번역방법을 선호함을 볼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