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형 파형 강판의 전단좌굴강도 산정

        한택희(Han Taek-Hee),임남형(Lim Nam-Hyoung),종헌(Kim Jong-Heun),강영종(Kang Young-Jong) 한국철도학회 2001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최근, 경제적 이점과 전단강도의 증가효과로 인하여. 파형 Plat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 Plate에 대해서는 현재 거의 모든 시방서에 설계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파형 Plate의 전단강도에 대한 규정은 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설계자가 파형 Plate를 설계할 수 있도록 참고할 수 있는 규정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 방법에 의해 파형 Plate의 여러 기하 조건에 따른 전단강도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수치해석에는 8절점 박판 쉘요소를 사용했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파형 Plate에 있어서 파형의 크기, 곡률, 파형 Plate의 두께에 따라 전단강도를 결정할 수 있는 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식은 파형 Plate가 일반 Plate에 비해 상당히 큰 전단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환경보호에 관한 국제 우주법연구

        김한택 ( Han Taek Kim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0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5 No.1

        This article deals with international space law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in outer space especially for space debris arising from space activities. After studying 1967 Outer Space Treaty, 1968 Rescue Agreement, 1972 Liability Convention, 1975 Registration Convention and 1979 Moon Agreement, we could find few provisions dealing with space environment in those treaties. During the earlier stages of the space age, which began in the late 1950s, the focus of international law makers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rules of space law governing the states` activities in outer space. Consequently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risks that might aris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pace debris did not receive priority atten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international space law. Although the phrases such as `harmful contamination`, `harmful interference`, `disruption of the environment`, `adverse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harmfully affecting` in relation to space environment were used in 1967 Outer Space Treaty and 1979 Moon Agreement, their true meaning was not definitely settled. Although 1972 Liability Convention deals with compensation, whether the space object covers space debris is unclear despite the case of Cosmos 954. In this respect international lawyers suggest the amendment of the space treaties and new space treaty covering the space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the space debris. The resolutions, guidelines and draft convention are also studied to deal with space environment and space debris. In 1992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passed resolution 47/68 titled “Principles Relevant to the Use of Nuclear Power Sources in Outer Space” for the NPS use in outer space. The Inter-Agency Space Debris Coordination Committee; IADC) issued some guidelines for the space debris which were the basis of “the UN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approved by COPUOS in its 527th meeting. In 1994 the 66th conference of ILA adopted “International Instrument on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from Damage Caused by Space Debris”. Although those resolutions, guidelines and draft convention are not binding states, there are some provisions which have a fundamentally norm-creating character and softs laws.

      • KCI등재
      • KCI등재

        Thirty Years of the Moon Agreement : its retrospect and prospect

        KIM Han-Taek(김한택) 대한국제법학회 2010 國際法學會論叢 Vol.55 No.1

        국제법상 달에 대한 관심은 1979년에 제정된 ‘달협정’(Moon Treaty; 원래명칭은 “달과 다른 천체에 관한 국가활동을 규제하는 협정”, Agreement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의 제정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5개의 우주관련조약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정된 지 30년이 되어 가는데 우주개발국가들에게 외면당해 왔다. 2009년 12월이 마침 달협정 제정의 30년이 되는 해이므로 이 협정의 국제법적 의미를 분석하고 그것을 전망해 보는 데에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현재 달협정의 비준국은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칠레, 카자흐스탄, 레바논, 멕시코, 모로코, 네덜란드, 파키스탄, 페루, 필리핀, 우루과이 등 13개국 정도이며, 프랑스, 과테말라, 인도, 루마니아가 서명국인데 우주개발국 중 프랑스만이 유일하게 서명국이고, 가입국 대부분이 비우주개발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과 러시아, 영국을 비롯한 선진우주개발국들은 가입하지 않았고, 한국, 중국, 일본도 아직 가입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달협정의 주요내용과 그 의미를 설명하였고 특히 1967년 우주조약(Space Treaty)과의 관계를 분석한 후 달협정에 명시된 ‘인류공동유산’(Common Heritage of Mankind)개념이 국제법상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달협정의 국제법적 의미와 전망에 관하여 그리고 한국이 현재 달협정에 가입하고 있지 않은데, 달협정에 가입하는 것이 국익에 유리한가 하는 문제도 다루었다. 달협정의 핵심은 인류공동유산개념인데 이와 관련된 조항은 제11조이다. 우선 제11조 1항에서 달과 그것의 천연자원은 ‘인류공동의 유산’이라고 명시하고 있고, 제11조 2항은 1967년 우주조약 제2조와 동일하게 달은 주권의 주장, 사용이나 점령, 기타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도 국가전유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비전유원칙’(principle of non-appropriation)을 재확인하고 있다. 또한 제11조 3항에서 달의 표면 또는 그 지하, 달의 어느 부분이나 달에 위치한 천연자원은 어느 국가, 정부 간 또는 비정부간 국제기구, 국가기관, 비정부간 기관 또는 어떠한 자연인의 재산이 될 수 없으며 달의 표면이나 그 지하에 사람, 우주차량, 장비, 시설물, 기지 및 군사시설은 달의 표면이나 지하를 연결한 구조물과 함께 달의 표면이나 지하 또는 어느 지역에 대한 소유권을 창설하지 않는다고 하고, 이는 제11조 5항에 언급된 ‘국제제도’(international regime)를 손상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달의 천연자원의 개발이 가능해질’(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Moon is about to become feasible)시기에 국제제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제11조 5항의 규정은 국제제도의 수립 전에는 자원개발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하는가? 그러나 달협정의 제정과정을 살펴보면 국제제도의 수립 전에 달과 다른 천체의 천연자원에 대한 개발유예는 예정되지 않았다고 해석해야 된다. 그러나 이것은 그와 같은 개발에 어떠한 제한이나 한계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달과 다른 천체는 인류공동유산영역이므로 모든 개발가는 그들이 인류공동유산인 천연자원을 개발하고 있음을 명심할 것이 요구된다. 필자는 작년에 한국외교통상부에「달 협정의 내용 및 우리나라의 비준가능성 검토」라는 보고서를 통하여 달협정에 가입하는 것이 국익에 유익하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이유는 달의 천연자원의 개발이 가능해질 시기에 국제제도를 수립해야 한다는 규정은 국제제도의 수립 전에는 자원개발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국가들로서는 달협정에 가입하고 자원개발을 추구하는 방법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다. 오히려 달협정 제11조 7항에서 동 자원으로부터 파생하는 이익을 모든 당사국에게 공평하게 분배하되 달의 개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공헌한 국가의 노력은 물론 개발도상국의 이익과 필요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는 규정을 보면 우선 달협정 가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달개발에 착수하는 방법이 국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pproved the text of an international agreement to govern the ac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and opened the agreement for signature and ratification on 18 December 1979. The title of that agreement is "Agreement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so-called Moon Agreement or Moon Treaty)". On that date, the agreement was signed by 6 nations -Chile, France, Romania, the Philippines, Austria and Morocco - at the United Nations Headquarter in New York. The year 2009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the conclusion of the 1979 Moon Agreement. Although the Moon Agreement is one of the 5 major space-related treaties, it has been accepted only by 13 states - Australia, Austria, Belgium, Chile, Kazakhstan, Lebanon, Mexico, Morocco, Netherlands, Pakistan, Peru, Philippines, Uruguay - which are non-space powers, and so could not have had much influence on the field of space law. France, Guatemala, India and Romania have signed, but have not ratified it. Neither the United States, nor Russia, nor China, nor United Kingdom signed the treaty. Indeed, international acceptance of the Moon Agreement has been so weak that in the opinion of most jurists, the norms enshrined in that treaty failed to attain the force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This article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979 Moon Agreement and the 1967 Outer Space Treaty, and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CHM)" stipulated in the Moon Agreement, together with the prospect and future of the Moon Agreement. Article 11(1) of the Moon Agreement stipulates that "[t]he Moon and its natural resources are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which finds its expression in the provisions of this Agreement and in particular in paragraph 5 of this article." According to Professor Bin Cheng, the concept of CHM stipulated in the Moon Agreement created a whole new territory in international law. This concept basically conveys the idea that the management, exploitation and distribution of natural resources of the area in question are matters to be deci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t something left to an initiative and discretion of individual States and their nationals. Similar provision is found in the 1982 Law of the Sea Convention for the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created by the concept of CHM. According to the Moon Agreement, international regime will be established as the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celestial bodies other than the Earth is about to become feasibl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regime, we could imagine moratorium upon the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n the celestial bodies. But, considering the drafting history of the Moon Agreement, there would not be any moratorium on the 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prior to the setting up of the international regime. So, each State Party could exploit the natural resources with bearing in mind that those resources are CHM. Because the Moon Agreement stipulated that the efforts of those countries which have contribut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exploitation of the Moon shall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the Moon Agreement by states would be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Moon. In this respect, it would be better for Korea, which currently is not a party to the Moon Agreement, to be a member state thereto in the near future. In 2008, I proposed Korean Government to accept the Moon Agreement in “[t]he Report concerning the Contents of the Moon Agreement and Korean Government's Ratification” which was submitted to Kore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If Korea accept the Moon Agreement, it will encourage other Asian countries to accept that treaty.

      • KCI등재
      • KCI등재

        국제항공테러협약의 관할권 연구

        김한택 ( Han Taek Kim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09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4 No.1

        The objectives of the 1963 Tokyo Convention cover a variety of subjects,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safety in aircraft, protection of life and property on board, and promoting the security of civil aviation. These objectives will be treated as follows: first, the unification of rules on jurisdiction; second, the question of filling the gap in jurisdiction; third, the scheme of maintaining law and order on board aircraft; fourth, the protection of persons 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 fifth, the protection of the interests of disembarked persons; sixth, the question of hijacking of aircraft; and finally some general remarks on th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The Tokyo Convention mainly deals with general crimes such as murder, violence, robbery on board aircraft rather than aviation terrorism. The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deals with hijacking in a simple way. As far as aviation terrorism is concerned 1970 Hague Convention and 1971 Montreal Convention cover the hijacking and sabotage respectively. The Problem of national jurisdiction over the offence and the offender was as tangled at the Hague and Montreal Convention, as under the Tokyo Convention. Under the Tokyo Convention the prime base of jurisdiction is the law of the flag (Article 3), but concurrent jurisdiction is also allowed on grounds of: territorial principle, active nationality and passive personality principle, security of the state, breach of flight rules, and exercise of jurisdiction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under multilateral agreements (Article 4). No Criminal jurisdiction exercis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law is excluded [Article 3(2)]. However, Article 4 of the Hague Convention(hereafter Hague Article 4) and Article 5 of the Montreal Convention(hereafter Montreal Article 5), dealing with jurisdiction have moved a step further, inasmuch as the opening part of both paragraphs 1 and 2 of the Hague Article 4 and the Montreal Article 5 impose an obligation on all contracting states to take measures to establish jurisdiction over the offence (i.e., to ensure that their law is such that their courts will have jurisdiction to try offender in all the circumstances covered by Hague Article 4 and Montreal Article 5). The state of registration and the state where the aircraft lands with the hijacker still on board will have the most interest, and would be in the best position to prosecute him; the paragraphs 1(a) and (b) of the Hague Article 4 and paragraphs 1(b) and (c) of the Montreal Article 5 deal with it, respectively. However, paragraph 1(b) of the Hague Article 4 and paragraph 1(c) of the Montreal Article 5 do not specify if the aircraft is still under the control of the hijacker or if the hijacker has been overpowered by the aircraft commander, or if the offence has at all occurred in the airspace of the state of landing. The language of the paragraph would probably cover all these cases. The weaknesses of Hague Article 4 and Montreal Article 5 are however, patent. The Jurisdictions of the state of registration, the state of landing, the state of the lessee and the state where the offender is present, are concurrent. No priorities have been fixed despite a proposal to this effect in the Legal Committee and the Diplomatic Conference, and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difficulty in accepting the Tokyo Convention has been the question of multiple jurisdiction, for the reason that it would be too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iorities. Disputes over the exercise of jurisdiction can be endemic, more so when Article 8(4) of the Hague Convention and the Montreal Convention give every state mentioned in Hague Article 4(1) and Montreal Article 5(1) the right to seek extradition of the offender. A solution to the problem should not have been given up only because it was difficult. Hague Article 4(3) and Montreal Article 5(3) provide that they do not exclude any criminal jurisdiction exercis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law. Thus the provisions of the two Conventions create additional obligations on the state, and do not exclude those already existing under national laws. Although the two Conventions do not require a state to establish jurisdiction over, for example, hijacking or sabotage committed by its own nationals in a foreign aircraft anywhere in the world, they do not preclude any contracting state from doing so. However, it has be noted that any jurisdiction established merely under the national law would not make the offence an extraditable one under Article 8 of the Hague and Montreal Convention. As far as international aviation terrorism is concerned 1988 Montreal Protocol and 1991 Convention on Marking of Plastic Explosives for the Purpose of Detention are added. The former deals with airport terrorism and the latter plastic explosives. Compared to the other International Terrorism Conventions, the International Aviation Terrorism Conventions do not have clauses of the passive personality principle. If the International Aviation Terrorism Conventions need to be revised in the future, those clauses containing the passive personality principle have to be inserted for the suppression of the international aviation terrorism more effectively. Article 3 of the 1973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Crimes Against Internationally Protected Persons, Including Diplomatic Agents, Article 5 of the 1979 International Convention against the Taking of Hostages and Article 6 of the 1988 Convention for the Suppression of Unlawful Acts Against the Safety of Maritime Navigation would be models that the revised International Aviation Terrorism Conventions could follow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우주조약의 국제법적 의미에 관한 연구

        김한택 ( Han Taek Kim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8 No.2

        필자는 우주조약의 국제법적 의미에 관하여 첫째, 우주활동의 법원칙선언조항, 둘째, 세부조약으로 발전한 조항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주조약의 보완사항에 관한 최근 동향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1963년 12월 13일 UN총회의 ‘우주법선언’을 반영한 우주조약은 그 세부조약으로 1968년 구조협정, 1972년 책임협약, 1975년 등록협약을 제정하였다. 2013년 5월 기준으로 102개국이 가입하고 27개국이 서명한 우주조약은 그야말로 우주법의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 내지는 우주의 헌법이라고 불릴 정도로 우주법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을 담고 있고, 특히 달과 다른 천체를 포함한 우주를 비전유원칙인 ‘국제공역’(res extra commercium)으로 선언함으로서 우주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종식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우주조약이 제정된지 반세기가 되어가는 시점에서 우주조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조항 중 우주활동은 모든 국가들의 이익을 위한다는 원칙(제1조), 외기권 우주의 자유로운 탐사와 이용(제1조),전유화금지(제2조)와 타국의 권리존중(제9조)은 조약법은 물론 모든 국가들을 구속하는 국제관습법과 ‘강행규범’(jus cogens)으로까지 발전된 조항이라고 할 수 있다.특히 우주조약은 투명성과 개방성을 규범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것은 우주활동이‘전세계적 공공 이익’(global public interest)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우주에서의 ``전세계적 공공이익``에 대한 원리는 국제공동체에게 ``대세적 의무``(obligation erga omnes)를 부과하고 있는데, 우주를 모든 인류의 영역이라고 선언한점, 우주에서의 협력의 의무, 우주비행사를 인류의 사절이라고 한 점, 우주활동에서 해로운 오염을 피하라고 한 점, 우주활동을 국가, 사적 실체 그리고 정부간 조직체(IGOs)로 제한한 점, 우주활동으로 인한 손해배상에 대한 절대책임원칙, 우주에서의 핵무기 및 대량파괴무기 배치 금지, 우주활동의 공개성과 투명성 그리고 국제우주제도의 보편적 적용 등이 이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현재 우주조약의 해석을 두고 많은 논란이 있는 조항들이 있고 제정당시 예상 못했던 우주기술의 발달과 상업화로 인해 보충해야 할 주제도 많이 생겨나서 현재 COPUOS 내에서 1979년 달조약을 포함한 현행 우주관련 5개 조약의 지위검토를 법률 소위원회에 의제로 포함시킬 것을 제의하여 1998년 제37차 법률소위원회부터 정식으로 승인받아 현재까지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우주법선언’의 내용들이 이미 국제관습법으로 굳어 졌으며, 이를 거의 반영한 우주조약의 상당부분 조항들이 이제는 국제관습법화 되었고, 심지어는 강행규범(jus cogens)이 된 조항들도 있다는 면에서 우주조약의 성과는 국제법상 매우 큰 의미를 지녔다고 평가하고 싶다. 앞으로 우주조약 이외에 우주관련세부조약들로도 해결하지 못하는 분야들은 COPUOS나 UN을 통하여 보완적인 결의와 선언들로 계속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만일 별도의 조약제정이 불가능하다면 적당한 시기에 우주조약을 포함하여 세부조약의 개정을 통하여 또는 추가의정서를 만들어 보완하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주조약은 그 개념들의 모호성 때문에 수많은 학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아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존속해 왔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현재 우주폐기물과 관련하여 “IADC 우주폐기물 경감 가이드라인”, COPUOS의“우주폐기물감축 가이드라인”, 세계국제법협회(ILA)의 “우주폐기물로 인한 피해로부 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 초안” 등이 우주조약을 보완하고 있고, 분쟁해결에 관하여 세계국제법협회(ILA)가 1998년 타이페이(Taipei) 회의에서 채택한 “우주법분 쟁해결에 관한 협약안”을 제시한 바 있고, 2011년 중재재판소(PCA)가 “우주활동관련분쟁의 중재재판에 관한 선택규칙”을 제정하고, 2012년 우주활동관련 분쟁의 중재재판관을 새롭게 임명하였다는 점은 우주법이 계속 발전되어 가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UNIDROIT(국제사법통일기구)에서는 우주자산의 구입 및 조달에 필요한 담보금 거래시 국제적으로 통일된 담보거래 규칙을 위한 “이동장비국제담보권협약에 대한 우주자산의정서”는 우주조약이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분야는 별도의 조약체결을 통하여도 보완되고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1967 Outer Space Treaty(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OST) is a treaty that forms the basis of international space law. OST is based on the 1963 Declaration of Legal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announced by UNGA resolution. As of May 2013, 102 countries are states parties to OST, while another 27 have signed the treaty but have not completed ratification.OST explicitly claimed that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are the province of all mankind. Art. II of OST states that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is not subject to national appropriation by claim of sovereignty, by means of use or occupation, or by any other means”, thereby establishing res extra commercium in outer space like high seas. However 1979 Moon Agreement stipulates that “the moon and its natural resources are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CHM).” Because of the number of the parties to the Moon Agreement(13 parties) it does not affect OST. OST also established its specific treaties as a complementary means such as 1968 Rescue Agreement, 1972 Liability Convention, 1975 Registration Convention.OST bars states party to the treaty from placing nuclear weapons or any othe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 orbit of Earth, installing them on the Moon or any other celestial body, or to otherwise station them in outer space. It exclusively limits the use of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to peaceful purposes and expressly prohibits their use for testing weapons of any kind, conducting military maneuvers,or establishing military bases, installations, and fortifications. However OST does not prohibit the placement of conventional weapons in orbit. China and Russia submitted Draft Treaty on the Prevention of the Placement of Weapon in Outer Space and of the Threat or Use of Force against Outer Space Objects(PPWT) on the Conference on Disarmament in 2008. USA disregarded PPWT on the ground that there are no arms race in outer space.OST does not have some articles in relation to current problems such as space debris, mechanisms of the settlement of dispute arising from state activities in outer space in specific way. COPUOS established “UN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based on “IADC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and ILA proposed “International Instrument on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from Damage Caused by Space Debris” for space debris problems and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PCA)established “Optional Rules for Arbitration of Disputes Relating to Outer Space Activities” and ILA proposed “1998 Taipei Draft Convention on the Settlement of Space Law Dispute” for the settlement of dispute problems.Although OST has shortcomings in some articles, it is very meaningful in international law in considering the establishment of basic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OST established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as customary law and jus cogens in international law as follows;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shall be carried out for the benefit and in the interests of all countries and shall be the province of all mankind; outer space shall be free for exploration and use by all States; outer space is not subject to national appropriation by claim of sovereignty, by means of use or occupation, or by any other means.The principles of global public interest in outer space imposes international obligations erga omnes applicable to all States. This principles find significant support in legal norms dealing with following points: space activities as the “province of all mankind”; obligation to cooperate; astronauts as envoys of mankind; avoidance of harmful contamination; space activities by States, private entities and intergovernmental organisations; absolute liability for damage cauesd by certain space objects; prohibition of weapons in space and militarization of the celestial bodies;duty of openness and transparency; universal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pace regime.

      • KCI등재

        우주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국제법 연구

        김한택 ( Han Taek Kim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0 No.1

        1963년 유엔(UN)은 결의로 채택한 ``우주법선언``의 원칙 4에서 "우주활동은 유엔헌장과 국제법에 따라 국제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서 및 국제협력과 이해를 위해서 행해져야 한다."고 함으로서 우주의 탐사이용은 군사적 목적이 아닌 ``평화적 목적``(peaceful purposes)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천명하였다. 그리고 1967년 우주조약 제4조와 1979년 달조약 제3조에서 우주의 탐사이용은 1963년 우주법 선언과 마찬가지로 군사적 목적이 아닌 ``평화적 목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우주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표현이 정부의 성명서나 여러 다자조약들에서 발견되지만 이 용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여 아직 명확한 의미가 정의된 바는 없다. 이 글에서는 ``우주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용어가 국제법상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우선 국제조약에서는 ``평화적 이용``이라는 용어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 지 알아보고, 우주관련조약들과 결의 및 연성 법상 ``우주의 평화적 이용``의 의미를 분석하여 보았다. 한국은 2009년과 2010년 두 차례의 실패를 거울삼아 마침내 2013년 1월 30일 자국의 나로호 기지에서 나로호를 발사함으로서 세계에서 11째 스페이스클럽(space club)에 진입하였다. 중국이 이미 제3의 우주강대국에 진입하였고, 일본도 우주기본법을 바탕으로 우주개발의 군사적 이용의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북한도 계속된 미사일발사와 함께 러시아와 우주개발협력체제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들을 고려해 볼 때 한국의 우주개발은 그 어느 때보다 매우 중요한 시기에 처해 있다. 미국이 소련의 Sputnik 1호 발사로 인한 큰 충격으로 교육제도까지 개혁하면서 우주개발에 성공하였듯이 우리도 우주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교육제도의 검토와 우주개발의 인프라 형성에 전 노력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현재 미래창조과학부가 주도하는 우주개발에 국방부와 공군의 역할을 중시하여 총체적인 국가안보와 관련된 우주개발계획들이 필요할 것이다. The term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in the 1967 Outer Space Treaty appears in official government statements and multilateral outer space related treaties. However, the examination of the state practice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is term is still without an authoritative definition. As far as the meaning of ``peaceful use`` in international law is concerned the same phrases in the UN Charter, the 1963 Treaty of Banning Nuclear Weapons Tests in the Atmosphere in Outer Space and Under Water, the 1956 Statute of IAEA, the 1959 Antarctic Treaty, the 1982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the 1968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and the 1972 United Nations Conference of the Human Environment were analysed As far as the meaning of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is concerned the same phrases the 1967 Outer Space Treaty, the 1979 Moon Treaty and the 1977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Military or Any Other Hostile Use of Environmental Modification Techniques(ENMOD) were studied. According to Article Ⅳ of the 1967 Outer Space treaty, states shall not place in orbit around the earth any objects carrying nuclear weapons or any other kind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stall such weapons on celestial bodies, or station such weapons in outer space in any other manner. The 1979 Agreement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repeats in Article III much of the Outer Space Treaty. This article prohibits the threat or use of force or any other hostile act on the moon and the use of the moon to commit such an act in relation to the earth or to space objects. This adds in principle nothing to the provisions of the Outer Space Treaty relating to military space activities. The 1977 ENMOD refers to peaceful purposes in the preamble and in Article Ⅲ. As far as the UN Resolutions are concerned, the 1963 Declaration of Legal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1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the 1992 Principles Relevant to the Use of Nuclear Power Sources in Outer Space(NPS) were studied. And as far the Soft Laws are concerned the 2008 Draft Treaty on the Prevention of the Placement of Weapon in Outer Space and of the Threat or Use of Force against Outer Space Objects(PPWT), the 2002 Hague Code of Conduct against Ballistic Missile Prolifiration(HCoC) and 2012 Draft International Code of Conduct for Outer Space Activities(ICoC) were studied.

      • KCI등재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에 관한 국제법연구

        김한택(Kim, Han-Taek)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5 江原法學 Vol.44 No.-

        이 논문은 2013년 11월 23일 중국이 방공식별구역을 일방적으로 선포하여 일본과 한국 등 주변국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 국가들의 동북아해역의 방공식별구역(ADIZ)의 설정에 관한 국제법문제를 다룬 것이다. 중국은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하면서 이것은 중국대륙 지역으로 접근하는 비행물체에 대한 사전 탐지, 식별 및 적절한 조치를 위해 설정된 구역이라고 주장하는데, 일본의 센카쿠 섬(댜오위 다오) 주변 상공이 이 구역에 속하고 있고, 한국의 이어도 기지가 포함되어 있다. 한국정부도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2013년 12월 8일 새로운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선포하여 2013년 12월 15일 발효시켰다. 한국정부가 선포한 신KADIZ는 남쪽 경계선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한국에 할당한 인천 비행정보구역(FIR)과 일치시켜 마라도와 홍도 남쪽 영공과 제주도에서 남쪽으로 170㎞ 떨어진 이어도 일대 상공까지 포함시켰다. ADIZ에 관하여 결론적으로 말하면 국가들이 자국 영공을 방위하기 위해 영공외곽 배타적 경제수역(EEZ) 또는 공해 상공에 설정하는 방공식별구역은 국제법상 ‘자위권’(self defense)에 근거하여 일방적으로 선포하므로 이러한 설치를 인정할 규범도, 또는 이를 금지할 수 있는 규범도 없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해당국가가 ADIZ를 일방적으로 선포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특별히 명시한 국제법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필자의 견해로는 각 국가마다 안보를 이유로 공해상공에 방공식별구역을 자유롭게 설치한다면 분명 겹치는 지역이 발생할 것이고 자칫하면 국가 간 분쟁을 유발할 소지가 커지므로 가능한 기존의 비행정보구역(FIR)을 존중하는 선에서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다. 비행정보구역과 ADIZ는 영공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연안국의 영해 이원에 설치하는 ADIZ가 그 하부지역, 즉 땅이나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므로 ADIZ의 경계선은 비행정보구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의 ADIZ는 자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을 확장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국가간 배타적 경제수역이 확장된 후 ADIZ를 조정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나 중국은 한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중간선원칙에 반발하고 있다. 그 이유는 자국에서 대륙붕이 시작되어 바다 쪽으로 연장되었으며 인구도 한국 일본보다 많다는 이유에서이다. 사실 ADIZ를 배타적 경제수역이나 영토분쟁과 연결시켜서 해결하려고 하면 많은 시일이 걸리므로 이 문제는 별도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조만간 한국, 중국, 일본 간 방공식별구역에 관한 협상은 반드시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ADIZ) established on the exclusive economic zone(EEZ) outside the territorial airspace or the sky of the international waters for defense of airspace is declared unilaterally based on the self defense under the international law, so there is no standard to recognize or prohibit the establishment of ADIZ. In other words, there is no provision in the international law that specifies the legal authority for a state to declare ADIZ unilaterally. ADIZ does not violate the international laws and standards to make demand against a person who entered into their territory for the security reasons and any country cannot intervene when a country establishes ADIZ for security. China had no ADIZ originally, but China declared ADIZ unilaterally on November 23, 2013, initiating the strong oppositions of surrounding countries including Japan and Korea. China claims that their ADIZ established for detecting, identifying flying objects approaching the mainland China in advance and taking proper measures, and this zone includes the surrounding sky of Senkaku Islands (Diaoyudao) of Japan and the Iodo base of Korea. The Korean government also declared new Kore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s (KADIZ) on December 8, 2013 in response which came into effect on December 15, 2013. New KADIZ declar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cluded the southern airspace of Marado Island and Hongdo Island as well as the airspace of Ieodo Island which was 170㎞ away from the Jeju Island to the south by matching the southern boundary line with the Incheon Flight Information Region (FIR) allocated to Korea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It is advisable to establish ADIZ while respecting the existing Flight Information Region (FIR) since if each country establishes ADIZ freely on the airspace of international waters for security, there may be some overlapping zones, creating disputes between countries. The Flight Information Region is a special region which is irrelevant to ADIZ, but FIR should become the boundary line of ADIZ. ADIZ and FIR which are not considered as territorial airspace can not establish the territorial titles over the lands or the islands beneath those boundary lines in international law. The consult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regarding the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s must be carried out and the peace in East China Sea can be expected from the consul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