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진출 중소기업 지원의 필요성 연구: 히든챔피언 발굴을 중심으로

        김춘림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3 韓中關係硏究 Vol.9 No.2

        아시아 금융위기 및 글로벌 금융위기를 지나오면서 국내외 경제 및 기업 경영은 많은 변화의 과정을 겪어왔다. 최근에는 과거의 경제위기와는 또 다른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에 직면했다. 첨단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융합혁명의 시대를 맞이했다. 대기업들은 전통적 제조업에 ICT를 접목한 스마트 공장을 도입하며 기업생산성 향상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다. 이렇게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극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기술경쟁력에서는 물론 자본경쟁력에서도 그 대응능력이 매우 취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 경제의 주요 근간이자, 주요 기반 산업인 중소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은 결코 간과할 수 없다. 또한 무역의존도가 매우 높은 한국의 경제성장 전략 구조상 국내 중소기업은 물론 해외진출 중소기업의 경쟁력확보 역시 매우 중요한 해결 과제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대중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중국진출 중소 제조기업들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는 더욱 절실하다고 본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다른 산업에 비해 제조업의 경우 서비스업과의 융합을 통한 강력한 성장세를 유지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중국진출 중소 제조기업들이 패러다임 전환 등과같은 글로벌경제 변화 속에서도 독자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국내경기 부양의견인역할을 든든하게 해낼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 중국진출 중소기업의 글로벌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심과 지원이 매우 필요하다. 물론 정부 유관기관 및 대기업이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속 중국진출 중소기업의 향후 전망을 히든챔피언의 발굴 및 지원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히든챔피언의 출발지인 독일, 그리고 중국과 한국의 히든챔피언 지원정책을 비교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중국진출 중소기업의 향후 발전 전망을 고찰해보고자한다.

      • KCI등재후보

        한⋅중 FTA 이후 대구⋅경북지역 중소식품기업 대중 수출확대를 위한 중국 식품산업 동향

        장은정,김춘림 중국지역학회 2018 중국지역연구 Vol.5 No.2

        The Korean government is striving at national level to improv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domestic food industry as a response to the global growth of food industry and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is also, with the effectuation of Korea-China FTA, implementing intensive strategies including declaration of ‘10 Strategy in Korea-China FTA era’ to promote high added value food industry. The Gyeongsangbuk-do Province, particularly, is seeking export opportunity to China and developing processed, fresh, and fermented foods continuously using local specialty, while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food industry. In addition to many local universities and research centers, the province also has unique and mature local food culture and San-che food cluster business and various policies for development of food industries are in place, suggesting optimistic prospect for food export from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region. The food companies in this region, though late compared to other regions, become active in developing foreign market and furthermore, China is close geographically and the Korea-China FTA is expanding export opportunity and increasing expectancy for Chinese market exploitation. The Gyeongsangbuk-do is, therefore, making diversified efforts to take advantage of these circumstance for entering Chinese market. For the export to China of food companies in this region and their cooperation, the growing food industry and local in China need to be identified based on the review of Chinese local development strategy and promotion policies for each industry, and to develop aggressive strategies for export and negotiation targeting such food industry and lo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help Daegu and Gyeongsangbuk-do based food companies to enter Chinese market and provide them related informations and opportunity by deriving a local with high probability of cooperation and developing strategies for Chinese market entry strategies. 식품시장의 세계적인 성장세에 따라 한국정부는 한국 식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경상북도 또한 한·중FTA 발효를 계기로 ‘한⋅중 FTA 10대 대응전략’을 발표하는 등, 고부가가치식품산업 집중육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 지역은 식품산업 장려와 더불어 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신선식품, 발효식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동시에 중국을 포함한 해외수출 판로를 모색하고 있다. 아울러 이 지역은 지역 고유의 음식문화가 발달해있고 산채식품클러스터 사업 및 다양한 식품산업발전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지역대학 및 연구기관이 다수 존재하고 있어 대구⋅경북 지역의 식품 수출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대구⋅경북 지역의 식품 기업들은 타 지역에 비해 다소늦은 감이 있지만 최근 들어 해외 시장 개척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더욱이 중국시장은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만 아니라 한⋅중 FTA 로 인한 수출기회 확대로 중국 시장 개척에 청신호가 켜졌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상북도는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중국 내수 시장 진출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구ㆍ경북 식품 기업의 대중수출 및 협력을 위해 우선적으로 중국의 지역발전전략과 지역별 산업 중점 육성 정책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의 식품산업 성장 및 발전 지역을 도출하여 적극적인 수출 및 협력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협력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중국시장 진출 전략 마련을 통해 향후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 기업에 필요한 정보와 중국 시장 진출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