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武王代 渤海의 對日本外交 開始에 對한 再檢討 -大門藝의 對唐亡命 時期와 渤海·新羅 國境問題를 중심으로-

        김진한(K im, Jin-Han)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3

        발해 무왕은 727년 일본에 사신을 파견했다. 학계에서는 발해의 대일본외교 배경이나 목적과 관련해 흑수말갈문제로 촉발된 당과의 갈등이 대문예의 대당망명으로 심화되었으며, 신라와의 대치로 발생한 국제적 고립상황에서 발해는 이를 타개하고 당과 신라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일본에 사신을 파견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의문을 가지며 근거가 되었던 대문예의 대당망명 시기와 발해·신라의 국경문제를 중심으로 다시 살펴보았다. 먼저, 대문예의 망명시기를 언제로 보느냐에 따라 발해와 당관계는 물론 당시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도 달라진다. 이에 일부 자료를 추가 분석하여 망명시기를 재검토한 결과, 대문예는 729년에 망명한 것으로 추정했다. 다음으로 무왕대 발해는 압록강 하류유역으로부터 두만강 하류유역까지를 그 영역으로하였다. 신라는 대략 예성강을 중심으로 한 황해도 남부일대를 서북 경계로 하였으며 강원도 원산시와 문천시 일대를 동북 경계로 삼았음을 확인했다. 경계선으로 볼 때, 발해와 신라의 군사적 대립은 확인하기 어려웠다. 신라가 이 일대를 중심으로 축성을 벌였지만 발해 견제가 주목적이라기보다는 통상적인 국경에 대한 방비와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였던 것으로 파악했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발해는 727년 당시 대당외교에 진력하였으며, 국제적으로 고립되지도 않았다. 발해가 대일본외교를 개시한 목적은 국서 내용 그대로 선린관계를 맺는 데 있었다고 생각한다. King Mu sent an envoy to Japan in 727. In academia it is thought that, the conflict with the Tang triggered by the Heuksumalgal(黑水靺鞨) problem deepened into the exile of TaeMunye to the Tang and in the international isolation situation caused by the confrontation with Silla, Balhae overcame it by sending envoys to Japan to counter the threat of Tang and Silla. This is seen a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Balhae’s diplomacy with Japan.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as well as the relations between Balhae and the Tang varies depending on when Taemunye fled to the Tang. As a result of further analysis of some data and reexamination of the time of asylum, the exile of Taemunye to the Tang was presumed to be after 729, not 726. Next, Balhae’s territory during King Mu’s time was from the lower reaches of the Yalu River to the lower reaches of the Duman River. Silla’s northwestern border was the southern part of Hwanghae province, centering on the Yeseong River, and the northeastern border was Wonsan City and Muncheon City in Gangwon Province. Given the borderline at the tim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Balhae and Silla was difficult to confirm. Through the above review, we can see that around 727 Balhae was committed to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Tang and was not isolated internatio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purpose of Balhae’s initi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was to build a good relationship as it is recorded in the diplomatic documents of the time.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