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경영(Art Management)과 공공성(Publicness)

        김진업 ( Kim Jin Yub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공공성`(publicness)의 문제는 공과 사의 구분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적 관계를 함축하는 말이다. 공공성의 역사는 국가의 성립과 관계가 있지만 근대 시민사회의 출현에서부터 논의가 시작되었다. 공공 문제(public problem)를 다루는 정부, 공공행정 등에서는 모든 업무의 토대는 공공(public)과 공공성에 두고 있다. 예술경영에서 공공성 논의는 예술에 대한 보호와 문화 복지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예술경영은 영리를 추구하는 경영학의 방식을 문화예술기관이나 단체의 운영에 도입한 개념이다. 그러나 예술경영은 수익의 창출보다는 수익 창출이 어려운 순수예술 공연이나 전시, 예술가 지원 등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다. 수익의 창출을 우선시하기 보다는 대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공공성` 개념이 경영의 기초가 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운영의 합리화를 확립시켜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공성에 대한 개념과 역사, 공공성의 주요 구성요소의 고찰을 통해, 예술경영에서 나타나는 예술과 공공성의 관계, 예술작품이나 예술작업의 공공재적인 성격, 예술경영에서 지향하여야할 공공성의 과제 등에 접근한다. 그리고 최근 문화의 민주화라는 문화민주주의라는 개념이 문화정책의 주요 핵심과제로 대두되면서 예술경영에서도 수익성과 예술성의 문제보다는 보다 포괄적인 문화정책의 기조에서 공공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아직 초창기인 우리나라 예술 경영에서는 서구의 공공성 개념 외에도 현장에서 접목하여야 할 공공성이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세종문화회관과 성남아트센터의 운영 프로그램 등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접목되는 공공성의 주요 개념과 향후 발전 과제들을 검토한다. `Publicness` refers to a communal relationship that results from distinguishing private from public. The history of publicness is associated with establishment of country, but major discussion on it started with the appearance of modern civil society. Such a concept is difficult to be defined in one form and con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It is also difficult to form a uniform opinion among scholars. With the recent emerging different view on new-liberal policy in most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discussion of publicness has flourished again. In art management, the discussion of publicness is associated with art protection and cultural welfare. Art management introduced the way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eking profits into operation into cultural ar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However, with the recent economic recession, they had difficulty in operating them and it became intransparent to secure finances. This is why they introduced the concept of business management for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and profit creation. However, art management focuses largely on pure art performance, exhibition, and support for artist that are difficult to create profits. The basis of business management should be the concept of `publicness` that can be sympathized with the majority of people rather than creating too much profits, and based on this, rationalized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cept and history of publicness and its major element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ublicness that appear in art management, the characteristics of art works as public goods, and the publicness that art management must pursue. Recently, as the concepts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have become a major task of cultural policy, arts management also emphasizes the role of publicity in the framework of more comprehensive cultural policy rather than the problem of profitability and artistry. Therefore, in the early stage of Korean art management, the role of publicity to be applied in the field is emphasized in addition to the concept of publicity in the West. Therefore, we review the major concepts and future developmental issues of publicity, which are applied in the field, centered on the operating programs of Sejong Cultural Center and Seongnam Art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