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동 및 초기청소년의 공격성과 컴퓨터 사용

        김지현(金知賢),양지(楊知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의 아동 및 초기청소년의 공격성과 컴퓨터 사용 시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수의 관련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컴퓨터 사용 시간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 공격성이 컴퓨터 사용 시간에 영향을 준다는 대안모형1, 공격성 및 컴퓨터 사용이 순환적으로 상호 강화시킨다는 대안모형2를 설정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5년간의 종단 조사를 통해 얻은 한국청소년패널자료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여 세 가지 모형 중 자료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으려하였다. 그 결과 공격성 및 컴퓨터 사용이 순환적으로 상호 강화시킨다는 모형이 가장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단순히 특정 환경이나 경험이 공격성의 원인이기 보다는 선험적 특성 및 특성에 의해 선택된 환경 간 상호 효과에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ddress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computer use of Korean youth.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earch model explaining the effect of computer use on aggression, alternative model 1 asserting the effect of aggression on computer use, and alternative model 2 illustrating reciproca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ere establish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performed with 5 year panel survey data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 students by Korean Adolescents Policy Research Institute for this study.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reciproca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gression and computer use.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effects of experiences chosen with a priory aggression on the subsequent aggression should be noticed rather than the effects of incident experience.

      • KCI등재

        관계성과 우울을 매개로 한 초기 청소년의 성역할갈등과 공격성의 관계

        하문선(河文善),김지현(金知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초기 남녀 청소년의 성역할갈등과 관계성,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기남녀 청소년의 성역할갈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관계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남자청소년은 남성성역할갈등이 높을수록 관계성이 낮아지고 우울 수준이 높아져 결국 공격성을 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청소년의 경우는 성역할갈등이 관계성 욕구 충족과 상관없이 우울을 가져오며 그 결과 공격성이 표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기 청소년 공격성 문제의 예방 및 개입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통한 노력, 우울을 경험하게 하는 성역할갈등 요소의 확인 및 남녀별 차별화된 개입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gender role conflict, relatedness, depression and aggression for young adolescent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relatedness and depression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aggression.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bout the model means that the stronger gender role conflict in boys can lead to less relatedness and more depression, and this phenomenon can cause aggression in only boys. On the other hand, the stronger gender role conflict can lead to more depression regardless of relatedness in girls, and this phenomenon may cause aggression in girls.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obtain empirical data fo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youth maladjustment problems.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the need for effective strategies about gender role conflict to reduce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상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 개발

        임지영(林智英),김지현(金知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 모형의 기본 심리적 욕구 이론을 근거로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상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여러 상담자들의 응답내용을 통해 고안한 문항, 문헌연구와 기존 척도를 기초로 고안한 문항 등으로 기본 심리적 욕구 이론에서 제안한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해당하는 문항풀을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일반 상담자의 안면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예비문항을 선정하고,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3요인으로 이루어진 상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 15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는 전체 문항은 .857, 하위 요인별로는 .633에서 .774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와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는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렴타당도가 만족되었다. 또한 상담만족, 상담성과와 관련 있는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공인타당도가 만족되었다. 이로써 개발된 척도는 상담자가 상담장면에서 경험하는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상담만족과 상담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척도임이 검증되었다. 논의에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으며, 추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of self-determination type model, sca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for the counselors was intended to be develop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prepared test item pool relevant to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at are sub-factors being suggested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with test items designed through response contents of various counselors an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existing scale. Based on this, 15 test items that ar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of counselor comprising 3 factors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developed by selecting preliminary test items after passing through verification process of content validity of experts and face validity of general counselor and performing pilot, main survey. Reliability of developed scale(Cronbach’s α) was represented to be good as .857 in total test items and within the range of .633-.774 in sub-factor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with scales measuring concept similar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of counselor,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as a whole and so, its convergent validity was satisfi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scales that may forecast counseling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as a whole and so, its concurrent validity was satisfied. Developed scales like this well reflecte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being experienced in counseling scene by counselor and it was verified that such scales could explain counseling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research direction in the future was suggested.

      • KCI등재

        초기 여자청소년의 신체적 매력없음에 대한 두려움과 우울의 관계

        하문선(河文善),김지현(金知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초기 여자청소년의 성역할갈등 중 신체적 매력없음에 대한 두려움과 우울의 관계에서 신체만족과 의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모형은 대상화이론과 성역할갈등이론을 근거로 구성되었으며, 290명의 초기 여자청소년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기 여자청소년은 신체외모와 관련된 성역할갈등을 내면화할수록 신체만족도가 낮아지고 의존성이 높아져 결국 우울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여자청소년이 청소년기에 흔히 경험하는 우울등의 심리적 부적응을 극복하기 위해 먼저 견고한 성역할갈등을 변화시키려 하기보다 신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의존적인 성향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을 제시하여 건강한 의사결정 태도를 높이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ear of physical unattractiveness, body satisfaction, dependence and depression for young adolescent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body satisfaction and dependence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hysical unattractiveness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bout the model means that the stronger fear of physical unattractiveness can lead to less body satisfaction and more dependence, and this phenomenon can cause depression in girls.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obtain empirical data fo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youth maladjustment problems.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the need for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body satisfaction and reduce the dependence of girl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