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독구결 ‘여(如)’구문의 의미와 논항구조

        김지오 ( Kim Zi-o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9 No.-

        석독구결의 ‘如’자에는 다섯 가지(這, 印, 八, I, 支)의 구결자가 현토된다. 본고에서는 이런 현상이 ‘如’의 의미와 구문적 차이에서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如’구문을 살펴보았다. ‘如’에 현토 양상은 의미와 논항구조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제1류는 ‘這’와 ‘印’와 ‘八’이고 제2류는 ‘I’와 ‘支’로, 문헌 계통에 따라 표기하는 구결자가 다르게 나타난다. 먼저 제1류 현토는 의미나 출현 환경이 매우 단조롭다. ‘如’의 의미 가운데 [동일함]만을 강조할 때 사용되며 ‘NP(法ㆍ理致류 명사)같이 어떠하다’의 형식에서 주로 쓰인다. 반면 제2류는 제1류에 비해 의미역과 출현 구문이 다양하다. ①비유구문, ②명사구 나열구문, ③반복지시구문에 ‘如’자가 나타날 때 사용되며, 의미는 [동일함], [한 부류에 속함], [유사함]까지 넓은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如’에 현토된 구결은 모두 ‘같다’의 의미로 귀결될 수 있지만, 의미를 세분화해보면 [동일함]을 강조하느냐, 아니면 [한 부류에 속함]이나 [유사함]의 의미까지 모두 아우르느냐에 따라 다른 현토 방식이 사용된 것이다. There are five Kugyeol characters(這, 印, 八, I, and 支) attached to ‘如’ in Seokdokkugyol. Focusing on that Hyeonto(懸吐) patter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reasons why various Kugyeol characters were Hyeontoed for a single Chinese character. ‘這, 印, 八, I, and 支’ attached to ‘如’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meanings and argument structures. The first group includes ‘這’, ‘印’, and ‘八’, and the second group includes ‘I’ and ‘支’. There are only two ways of Hyeonto for 如 in comparison sentences since different Kugyeol characters are merely chosen according to the literary materials. The first group has very monotonous meanings and appearance environments. It is use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identical or same" of ‘如’ and usually employed in the form of "being something like NP." The second group has more various meanings and appearance sentence structures than the first one. It is used when there is ‘如’ in sentence structures for ① figurative phrases, ② enumeration of noun phrases, and ③ repetitive- instruction phrases. It has three kinds of meanings including "identical(same),"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nd "similar." In short, all the Kugyeol characters that were Hyeontoed to ‘如’ are concluded to have the meaning of "kathta(같다)"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y were used in two ways according to whether they emphasized the "sameness" or included even the meanings of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nd "similar."

      • KCI등재

        TED를 활용한 강연식 발표 수업의 운영과 그 의의

        김지오(Kim, Zi O)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TED는 국적을 초월하여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는 국제적인 컨퍼런스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국제적인 강연회라고 해서 저명한 학자 또는 세계적인 기업가와 정치인만 강단에 서는 것은 아니다. 이름 없는 평범한 사람들도 그들이 살면서 느꼈던 작은 생각과 경험들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세계적인 이론이나 국제적인 이슈 같은 거대 담론이 아니더라도 한 개인의 구체적인 경험에서 우러나온 진실한 이야기가 얼마나 청중을 감동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는지, 우리는 TED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이런 형식의 강연을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다면 학생들은 진지한 자기성찰의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고, 능동적인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체험할 수 있으며 타인과 진심으로 소통하는 방법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동국대학교 <작문과발표> 강좌에서 시험적으로 운영했던, ‘TED를 활용한 강연식 발표 수업’을 소개하고 학생들의 발표 사례를 제시한 후, 새로운 교육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해 보았다. 이런 강연식 발표 수업의 의의는 네 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첫 번째는 발표자들의 태도 변화이고, 두 번째는 청중들의 몰입도 변화였다. 발표자들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발표에 임했으며, 청중은 발표에 깊이 몰입하고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변화는 TED식 강연들이 ‘그의 이야기’가 아닌 ‘나의 이야기’로 채워졌기 때문이고, 지식의 수직적 전달이 아닌 스토리의 수평적 공감의 방식으로 전달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는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좋은 발표의 덕목들이 무엇인지 스스로 체득할 수 있었다는 점이며, 네번째는 강연을 통해 크고 작은 삶의 실질적 변화를 체험한 점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troduce an <Instructor-led Presentation Class using TED> that was conducted in a core liberal education class of <Composition and Presentation> major at Dongguk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regarding the class and its education effect. TED i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where participants share ideas that anybody can sympathize with by transcending the boundary of nationality, and is a lecture that not just celebrated scholars or global leaders, but ordinary people can share great and small lessons that they have experienced in their lives. Therefore, diversity and freedom are respected, original and creative ideas are created, and experiential values are shared in TED lecture. When such TED lecture is introduced in a presentation class, learners can develop ability to introspect themselves, learn active attitude based on the diversity and autonomy, and ways to communicate with others properly.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TED presenta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on the class was high,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esentation class of such method changes the attitude of speakers and audience more actively, has an educational effect in studying optimized presentation method, and as a result, makes actual changes in lives of participants.

      • KCI등재

        〈懺悔業障歌〉의 國語學的 解讀

        김지오(Kim Zi-o) 구결학회 2010 구결연구 Vol.24 No.-

        이 글은 그간에 이루어진 국어사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懺悔業障歌〉에 대한 여러 선행 해독을 비교 검토하고 재조명함으로써 좀 더 발전된 해독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노래의 해독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구결자료 및 이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었다. 대표적으로 4행의 ‘隱伊音叱如支’와 7행의 ‘頓部叱’, 8행의 ‘遣只賜立’을 들 수 있다. 먼저 ‘隱伊’는 향가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구성이지만 구결자료에서는 높은 빈도 나타나는 구성으로, 동명사어미 ‘-ㄴ’과 계사 ‘이-’의 결합으로 분석된다. ‘音叱’는 선행 해독들에서 청자 존대의 선어말어미로 파악되어 왔던 것이지만 이는 구결 자료의 ‘-?{應/可}?-’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능]?[당위]의 선어말어미로 볼 수 있다. ‘頓部叱’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져 왔으나, 이는 구결 자료의 ‘頓?’과 동일한 것으로 부사 ‘모두’를 나타낸다. ‘遣只賜立’도 구결의 ‘????’와 동일한 표현으로서 ‘?쇼셔’체의 명령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동사 ‘이루다[成]’로 해독되어 온 ‘逸’에 대해 향가에 나타난 ‘逸’의 다른 용례와 계사 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음운현상을 고려하여 ‘逸’을 계사의 기원형인 ‘*ir-’로 파악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 ‘遣’에 대해 연결어미 ‘-견’으로 보아야 하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으나 均如 鄕歌에서만큼은 연결어미 ‘-고’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움을 주장하였다. 均如 鄕歌는 《華嚴經》 普賢行願品에 따라 한 수씩 지어지고 이후 崔行歸에 의해 漢詩로 번역된 노래이므로 해독에서 이들에 대한 관련성이 적극 고려되어야 한다. 이런 관련성을 토대로 3행의 ‘將來’와 5행의 ‘惡寸習落臥乎隱三業’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비판하고 ‘將來’는 모두 훈독하여 ‘가져오다’로 판독하고, ‘惡寸習落臥乎隱三業’는 ‘나쁜 習이 떨어진 淸淨한 三業’으로 해석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take a complete approach to the decipherment of the hyangga song Chamhoeeopjangga 懺悔業障歌 by comparing various proposed interpretations of its meaning and presenting new research results. It shows that the existing decipherments of Chamhoeeopjangga need to be critically reviewed in many ways. The decipherment of this song has been greatly aided by the research accomplishments of kugyol studies. There is now a need to reexamine the interpretations of phrases such as ‘隱伊音叱如支’ (line 4), ‘頓部叱’ (line 7), and ‘遣只賜立 (line 8). For example, even though it is rare to see the sequence ‘隱伊’ (composed of the verbal noun ending ‘- n’ and the copula ‘ i-’) in hyangga, it is often found in kugyol texts. In most hyangga, the sequence ‘音叱’ is considered to be a hearer-honorific prefinal ending; however, it is actually equivalent to the markings ‘-?{應/可}?-’ in kugyol, which represent a prefinal ending indicating possibility or justifiability. A similar approach should b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s of ‘頓部叱’ and ‘遣只賜立’. In deciphering the controversial ‘頓部叱’, it is often claimed that ‘頓部叱’ is the same as ‘頓?’, representing the adverb “all.” The phrase ‘遣只賜立’ is also equivalent to ‘????’ in kugyol, which can be read as the imperative mood in the - h ?syosy ? (?쇼셔) form. This article also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treating ‘逸’ as an original form of the copula ‘* ir-’. Although most hyangga researchers have treated ‘逸’ as the verb ‘成’, it seems necessary to reexamine their claims because of the euphonic changes displayed after the copula as well as other examples of ‘逸’ found in hyangga. Also, ‘遣’ should be seen as the connective ending ‘- ko’ instead of ‘- ky ?n’, as some studies have suggested. Lastly, the Gyunnyeo hyangga 均如鄕歌 is a song corresponding line by line to the Avatamska Sutra (華嚴經) Bohyeonhaengwonpum 普賢行願品, and was later translated into a Chinese poetic form by Choe Haenggwi. Two factors should be serious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of its decipherment. This article criticizes former studies of the phrases ‘將來’ (line 3) and ‘惡寸習落臥乎隱三業’ (line 5). ‘將來’ should be read as ka ?y ?oda (가져오다), in which each character represents the meaning of a specific word (rather than a phonetic symbol), and ‘惡寸習落臥乎隱三業’ should be read as “three clean karmas deprived of vicious habits.”

      • KCI등재

        釋讀口訣에 나타난 ‘-은여/을여’에 대하여

        김지오(Kim, Zi O)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8 No.-

        본고에서는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은여), -○○/○(을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들은 문장에서 절과 절을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①배경 상황 제시, ②설명?부연, ③대립 또는 양보의 의미를 갖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동명사어미#의존명사+여’로 구성된 ‘-○○(리여)’, ‘-○○(은뎌)’도 ‘-○○/○(은여), -○○/○(을여)’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대화구문과 사유구문에 나타나는 ‘-○○(을뎌)’ 역시 ‘-○○(리여)’, ‘-○○(은뎌)’와 평행한 형태라는 사실을 논의했다. A morpheme ‘yeo(○/○)’ represents various meanings and fuctions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The ‘yeo(○/○)’ along with a gerund ending ‘-eun(○) or -eul(○)’ can be used to join clause to clause in the form of ‘-eunyeo, -eulyeo’. This article makes it clear that ‘-eunyeo, -eulyeo’ are used as a conjunctive form, not a sentence ending form, and analyzes its exact meanings in the context. The meanings are followings: ① Suggesting the background ② Explanation ③ Contrast or Concessive Also it is discussed that ‘-riyeo(○○)’, ‘-eundyeo(○○)’ and ‘-euldyeo(○○)’ which consisted of a gerund endings and a bound noun and "yeo" have the same functionality as the ‘-eunyeo, ‘-euly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