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차이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연구

        김중백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社會科學硏究 Vol.39 No.1

        현대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교육수준의 향상과 사회참여 증가로 인해 점차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결혼 과정과 결혼 생활에서 여성이 겪는 사회적, 문화적 장벽은 여전히 존재하며 미혼여성들의 결혼의향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는 결혼의 연기 혹은 비혼의 증가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저출산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여성과 남성의 결혼의향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결혼이행 의향의 차이를 조절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와 유사하게 개인의 지위, 배경, 특성 변수를 투입했을 때에도 여성은 남성보다 낮은 결혼의향을 보인다. 특히 여성 가운데 기취업자와 대졸이상 집단은 미취업자, 4년제미만 대학 및 대학 재학 집단보다 더욱 낮은 결혼의향을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자녀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여성 집단과 가정에서의 전통적 남녀역할 배분에 긍정적인 여성 집단은 남성과의 결혼의향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는 여성과 남성의 결혼의향 차이가 여성의 지위, 배경, 특성에 따라 일정하지 않음을 밝혀 향후 출산력 예측에 필수적인 결혼의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Social status of females has improved largely thanks to increased educational levels and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females still undergo cultural and social barrier in the process of marriage so that they are less likely to marry than before. This hesitation of marriage leads to a delay of marriage and non-married status, and low fertility rates as a result. Therefore, an investig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marriage contains a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 Drawing data from the 2009 National Marriage and Fertility Study,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moder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gender and attitudes toward marriage. Findings show that females show a lower with adjustment for family background, socioeconomic status, and marriage value variables, which is similar to previous work. For moderating effects, gaps of attitudes toward marriage between males and females are greater for females who have college degree or are employed. This finding suggests that as a proportion of females with higher social status increases, females feel less inclined to marry.

      • 유년기 학업중단 경험과 우울증: 가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중백,김두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

        유년기 시절 경험한 생애사건(life event)은 유년기 당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성인기 시절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생애관점의 기본 관점을 이용하여 본 논문은 유년기 시절에 생계 곤란으로 학업을 중단한 경험이 있는 25세 이상 60세 이하 성인이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황에서 경험하지 않는 성인보다 높은 우울도를 보이는지 밝힌다. 그리고 이러한 우울증의 차이가 현재의 가족 구조와 연결되어 우울증과 학업중단 경험간 관계에 조절 효과를 미치는지 밝히기 위하여 사회적, 심리적 자원을 제공하는 일차 사회조직인 가족의 상쇄효과를 연구한다. 복지패널의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17세 이전 유년기 시절에 생계 곤란으로 인하여 학업 중단을 경험한 조사 대상자들은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우울증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우울도의 정도는 결혼을 한 사람과 가족관계가 높은 사람들에게 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았을 때 유년기 시절 학업 중단 경험은 종단면적으로도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임이 밝혀졌으며 결혼 여부와 가족 관계가 중요한 사회심리적 자원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자원봉사와 우울증의 관계: 사회경제적 자원과 사회관계적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중백 한국보건사회학회 2015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8

        Volunteer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however, few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moderating effect of resources for volunteer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 and depression. Two competing hypothesesdouble benefit and relative benefit hypotheses-are test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socioeconomic and social relationship resources moderate the association. This study employed 2013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analyzed adults of age 18-75. Findings indicate that volunteering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with adjustment for background variables. Especially the association between volunteering and depression is explained with adjustment for income. Analyses of moderating effects demonstrate two contrasting patterns. Except for those who experience the end of marriage, relative benefit hypothesis is supported. People of high levels of education, income,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non-married report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by volunte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beneficial effect of volunteering on depression is greater among adults of less education and income, weak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people who experience the end of marriage than those of greater education and income, strong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arried persons in Korea. 자원봉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우울증에 대한 자원봉사의 긍정적 효과를 밝히고 있으나 자원봉사의 선행요인인 사회경제적 자원과 사회관계적 자원이 자원봉사와 우울증간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검증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 여부에 따라 우울증이 차이가 나는지 밝히고 자원봉사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자원으로서의 소득과 교육수준, 사회관계적 자원으로서의 결혼상태와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자원봉사와 우울증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이중혜택 가설’과 ‘상대혜택가설’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2013년 한국복지패널’의 18~75세 성인을 그대상으로 하였고 우울증을 종속변수로 분석하는 최소자승회귀모형을 채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배경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자원봉사 여부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는 소득수준에 의해 설명된다.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원봉사와 조절변수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자원의 경우 교육수준과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자원봉사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사회관계적 자원으로서의 사회적관계 만족도 역시 높아질수록 자원봉사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의 경우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는데 준거집단인 기혼자와 비교했을 때 자원봉사자와 비자원봉사자간우울증의 차이는 결혼종료를 경험한 집단의 경우 더 커지며 미혼집단인 경우에는 반대로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자원봉사가 미치는 영향이 자원봉사의 시행에 필요한 자원의 수준에따라 다양할 수 있음을 뜻한다.

      • 가족구성원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중백,조광덕 대한보건협회 2011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1 No.-

        [연구배경] 가족은 가장 중요한 사회화의 기제인 동시에 기초적인 사회조직으로서 정신건강과 관련된 자원과 사회적 관계의 공급과 배분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가족은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가족 구조가 변해오고 있으며 2010년 인구 총 조사에 따르면 1인가구가 전체 가구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전통의 가족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가족구성원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지금까지 큰 주목을 받지 않고 있다. [연구목적]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구성원 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더 나아가 다양한 개인적 특성이 가족구성원 수과 정신건강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한다. [연구방법] 전국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된 2009년 한국 사회조사(KGSS) 사용하였으며 총 응답자수는 1,599명이다. 종속변수로는 우울증을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는 가족구성원수이다. 조절변수로는 개인적 특성을 사용하였으며 수입, 교육 상태, 결혼 상태, 가족 스트레스, 그리고 성별을 채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최소자승회귀법(OLS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족구성원 수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모형과 비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결혼 상태를 포함한 개인변수를 통제한 이후 가족구성원 수는 우울증과 부적 영향을 보였으며 3~4명의 가족구성원수의 가족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1인가구, 2인가구의 개인은 더 높은 수준의 우울증을 보였으나 5인 이상으로 구성된 가족의 개인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제시된 조절변인 가운데 소득과 가족 스트레스는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교육과 결혼 상태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은 가족구성원수를 3~4명의 가족구성원수의 가족을 기준으로 한 비선형모형에서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차이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연구

        김중백 ( Joong Baeck K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社會科學硏究 Vol.39 No.1

        현대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교육수준의 향상과 사회참여 증가로 인해 점차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결혼 과정과 결혼 생활에서 여성이 겪는 사회적, 문화적 장벽은 여전히 존재하며 미혼여성들의 결혼의향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는 결혼의 연기 혹은 비혼의 증가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저출산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여성과 남성의 결혼의향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자료를 사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결혼이행 의향의 차이를 조절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와 유사하게 개인의 지위, 배경, 특성 변수를 투입했을 때에도 여성은 남성보다 낮은 결혼의향을 보인다. 특히 여성 가운데 기취업자와 대졸이상 집단은 미취업자, 4년제미만 대학 및 대학 재학 집단보다 더욱 낮은 결혼의향을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자녀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여성 집단과 가정에서의 전통적 남녀역할 배분에 긍정적인 여성 집단은 남성과의 결혼의향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는 여성과 남성의 결혼의향 차이가 여성의 지위, 배경, 특성에 따라 일정하지 않음을 밝혀 향후 출산력 예측에 필수적인 결혼의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Social status of females has improved largely thanks to increased educational levels and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females still undergo cultural and social barrier in the process of marriage so that they are less likely to marry than before. This hesitation of marriage leads to a delay of marriage and non-married status, and low fertility rates as a result. Therefore, an investig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marriage contains a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 Drawing data from the 2009 National Marriage and Fertility Study,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moder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gender and attitudes toward marriage. Findings show that females show a lower with adjustment for family background, socioeconomic status, and marriage value variables, which is similar to previous work. For moderating effects, gaps of attitudes toward marriage between males and females are greater for females who have college degree or are employed. This finding suggests that as a proportion of females with higher social status increases, females feel less inclined to marry.

      • KCI등재

        종교와 종교성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살 태도의 매개효과

        조광덕,김중백 한국종교사회학회 2022 종교와사회 Vol.10 No.1

        본 연구는 종교와 종교성(믿음 정도와 참석 빈도)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관계에서 자살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를 활용하여 이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참석 빈도가 높은 개신교 신봉자가 무종교인에 비해 ‘불치병에 걸렸을 경우’에 자살을 허용하는 태도가 낮았다. 둘째, 참석 빈도가 높은 불교와 개신교 신봉자가 무종교인에 비해서 자살 생각을 할 가능성이 낮았으며, 이는 ‘불치병에 걸렸을 경우’에 자살을 허용하는 태도에 의해서 완전 매개되었다. 마지막으로 믿음 정도가 다소 강하거나 강한 개신교 신봉자는 무종교인에 비해 자살을 생각할 가능성이 낮았으며, 이는 ‘불치병에 걸렸을 경우’에 자살을 허용하는 태도에 의해서 부분 매개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종교 유형과 종교성(믿음 정도와 참석 빈도)이 자살 생각을 낮추며, 이 과정에서 ‘불치병에 걸렸을 경우’에 자살을 금지하는 태도에 의해서 매개됨을 보여준다.

      • KCI등재

        Marital Disruption and Depression by Motherhood Status and Age of Children

        우혜영,김중백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4

        Objective: Despite the well-known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disru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ess is known about whether or not motherhood status and age of children alter this association. Metho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1979 (N=4,171), we examine the extent to which marital disruption is predictive of change in depress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among women who were married at the baseline and whether or not the association varies by motherhood status and age of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women with marital disruption reported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lso show that, among women who experienced marital disruption, women with a child showed an increased depression than women without a child. With respect to age of children, the detrimental consequences of marital disruption on depression are greater among mothers of a school aged child than mothers without a school aged child or childless women. Conclusion: Our results highlight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hood status and age of children on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marital disruption.

      • KCI등재

        한국사회의 공정성이 사회·경제·정치 위험인식에 미치는영향: 세대구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광덕,김중백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공정성 수준이 사회·경제·정치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보고, 나아가 이들의 관계에서 발견되는 세대구분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기획되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종합사회조사 2014”를 선택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중선형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위험인식에는 분배공정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즉, 분배공정성이 낮으면 사회위험인식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후공정성과 사회위험인식의 관계에서 산업화세대가 에코세대에 비해 위험인식이 더 높았다. 둘째 경제 위험인식에서는 분배 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낮을수록 경제위험인식이 높았다. 하지만 공정성과 경제위험인식의 관계에서는 세대구분에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치위험인식에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사후공정성이 낮을수록 정치위험인식이 높았다. 또한 사후공정성과 정치위험인식의 관계에서 베이비붐 세대에 비해 에코세대가 정치위험인식이 더 높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 of Korean society's fairness o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risk awareness, and to further identify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generation classification found in their relationship. The analysis data were selected for the Korea Society Survey 2014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method.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social risk perception, only distribution fair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other words, social risk perception was negative when distribution fairness was low. In addition, the industrialization generation was more aware of risk than the eco-generation in relation to post-process and social risk perception. Second, the lower the distribution fairness and procedural fairnes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conomic risk.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ness and economic risk perception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generation division. Lastly, the lower the distribution process, procedural fairness, and post-fairnes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olitical risk. In addition, the eco-generation was more politically risky than the baby-boomer generatio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ness and political risk perception .

      • KCI등재

        Better to Have It All? Work, Family and Their Relationships to Depression

        우혜영,김중백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3

        While there have been dramatic increases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among women with children, our understanding about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their combined roles of employment and motherhood is limite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1979 Cohort, this study addresses how the association of employment and motherhood is predictive of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employment on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are contingent upon motherhood status with partial support for the work and family conflict perspective. In other words, although being employed is favorabl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overall, mothers do not appear to enjoy psychological benefits from employment. As for motherhood, while having a child is linked to increased demands in responsibilities, mothers who do not work for pay are not necessarily disadvantaged in terms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socioeconomic conditions adjusted. We discuss finding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