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인항공기 드론 사고의 법적 책임과 보험제도

        김주표 한국기업법학회 2018 企業法硏究 Vol.32 No.4

        Drone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is made and utilized to perform designated mission by equipping various devices such as infrared radar through radio wave guidance. While drone has been mainly used for maintaining national security, monitoring, surveillance, and military duties, the commercial drone market got active recently and the utilization of drone is expanding to various fields such as distribution (shipping), agricultural use (pesticide, pest control), sports, news gathering (filming video), and leisure activity. However, for the safe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it is necessary to solve legal liability issue and arrange insurance system. Drone accident involves accident due to mistake of operator, accident due to defect of drone, and accident due to hacking or system virus. In addition, drone may infringe other’s privacy due to intentional mistake of operator or drone may collide with other drones. When such drone-related accident happens, it applies to civil liability and involves liability for damages in life, body, or property. Although there is a Rome Convention as the international agreement for regulating the liability, Rome Convention is not fulfilling its roll. Thus, it is likely for the drone-related accident to be settled by the domestic law of each country. The drone accident caused by the mistake of operator may be applied with civil law or commercial law and the drone accident caused by the defect from manufacturer, system malfunctioning, and network error may involve controversies over applying the product liability. Thus, to recognize the liability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ed parties through various drone-related accidents, legal liability and controversies and to develop various effective insurance system,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nsurance terms related to drone damage and response actively toward the development of insurance system for drone. 무인항공기 드론은 조종자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적외선 레이더 센서 등 다양한 장비를 탑재하여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동안은 국가안보 유지와 감시 및 정찰, 군사적 임무를 주로 수행해 왔다면, 상업용 드론 시장이 활발해진 최근의 드론에 대한 활용도는 민간부문의 유통(배송), 농업용(병충해 농약 방제), 스포츠, 취재(영상촬영), 레저 활동 등의 다양한 분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무인항공기 드론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선 선결해야 할 법적 책임 문제와 보험제도의 마련이 시급하다. 드론 사고는 조종자의 운영상 과실로 인한 사고와 드론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사고, 해킹이나 시스템 바이러스 등의 사고가 있다. 또한 운행자의 고의과실로 인한 타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경우나 드론 간 충돌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로 인한 책임은 민사상 책임으로서 대부분 지상 제3자에 대한 인적 손해와 재산상 물적 손해배상책임이다. 이러한 책임을 규율하는 국제협약으로 로마협약이 있지만, 국제협약의 역할을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각 국의 국내법에 의하여 해결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항공기 운영자의 과실로 인한 사고는 민법이나 상법이 적용될 수 있고, 무인항공기 드론의 제조사의 결함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와 운행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제조물 책임의 적용 여부에 대한 논란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무인항공기 드론으로 야기되는 다양한 유형의 사고와 법적 책임과 쟁점을 통해 사고당사자들의 책임 관계를 인식시키고 효율적 보험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드론 피해와 연관된 보험 규정 및 요율을 검토하고 전용상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에 따른 보험적용에 관한 연구

        김주표,김시은,은종성 한국상사법학회 2017 商事法硏究 Vol.36 No.3

        일정한 운행요건을 구비하고 안전성을 갖춘 경우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운행이 가능하게 되어 기술개발 및 상용화에 커다란 진전이 기대된다. 이런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을 허가하는 우리나라 자동차관리법이 2015년 8월 11일 공포되었다. 동법 제2조 제1호에 의하면 자율주행자동차(Autonomous Driving Vehicle)는 운전자나 승객의 개입없이 주변 도로의 지형지물을 인식하고 운행상황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스스로 차량을 자동제어하고 정해진 목적지까지 스스로 운행하는 자동차로 정의하고 있다. 이같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는 인공지능과 로봇과학이 우리들의 삶의 일부로 편입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중요한 분기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과 관련하여 많은 관점에서 가장 문제되는 것은 자율주행자동차로 인한 사고발생시 법적 책임의 문제이다. 교통사고는 자신과 타인의 생명, 신체, 재산에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형사적 책임과 민사상의 손해배상책임이 주로 문제된다. 그 밖에 행정질서벌이나 국가배상책임, 보험의 적용 등의 문제도 관련된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주된 목적이 교통사고의 발생을 기술의 발전으로 실제 교통사고 발생률을 낮출 것으로 예상되긴 하지만, 자율주행자동차의 기계적 장비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자율주행프로그램)의 결함 또는 오작동으로 교통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존재할 것이다. 완전무결하고 완벽하게 작동되는 기계적 장비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만들어 낼 가능성은 앞으로도 당분간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에 있어서도,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교통사고 발생에 있어서는 동일한 법적 책임이 문제될 수 있겠지만 본고에서는 보험과 관련된 부분에 한정하여서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중 사고로 야기되는 피해자의 인적손해를 어떻게 보상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자율주행자동차는 완전 자율주행을 목표로 기술이 개발되고 있기는 하지만, 향후 상용화될 자율주행자동차는 돌발상황 발생시 수동전환이 가능한 부분이 있다는 점에서 보험을 적용하기에는 매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자율주행모드와 수동주행모드운행에 따라 현행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의 적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수동주행모드로 자동차소유자 등이 운행했을 때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기존 법리와 판례에 따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자율주행모드로 운행중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운행자성 인정을 위해 제시되는 운행자이익 및 운행지배를 보완할 수 있는 운행자 책임의식개념을 적용하여 객관성을 담보하는 해석방법이 필요하다. 이는 자율주행자동차 보유자의 타인성의 인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욱이 공동운행자중 운행관여자의 운행책임의식을 인정하여 타인성을 부인하고, 다른 공동운행자는 타인성을 인정하여 사고발생시 피해자로서 자배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자율주행자동차사고의 경우 제조상 결함과 설계상 결함문제로 사고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제조물책임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도 문제시된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중 사고가 발생시 운전개입이 없는 운행자에게 사고책임을 전적으로 부담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자칫 운행자 등의 손해배상책임을 줄여 피해자구제에 공 ... The big improvement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would be expected due to availability of test driving when satisfying the required driving conditions and safety.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to allow the operation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was announced on August 11, 2015. According to the Article 2, Section 1 of the same Act,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provided that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recognizes the surrounding geographic feature of roads, controls vehicle automatically through self understanding of traffic condition, and runs to fixed destination by itself without driver or passenger interven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regarded as a watershed moment in the Post-human era that AI and robot science are becoming a part of human life. Relating with operation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liability for car accidents by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the biggest problem in diverse aspects. A car accident could cause damage to the life, body, or property of driver and others and criminal charges and civil liability are mainly major issue. In addition,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Compensation, or insurance coverage could occur as a problem. Decreasing actual car accident rate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might be expected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faultormalfunctionofmechanicalequipmentandsoftware program(Autonomous Driving Vehicle program) i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ould cause car accidents. Moreover, it might be difficult to create absolutely perfect and flawless mechanical equipment and software program for the present. In case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operation, the same liability might be a problem in respect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related car accidents occurrence. However, this article had examined only insurance related part. The study of that how human damage could be compensated caused while running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would be conducted in this regard. Currently, the technolog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developing to aim at complete self-driving. However, insurance coverage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which will be commercialized in 2020 needs discreet approaches becaus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2020 contains manual transfer function to use when unexpected situation happens and the car is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e application of current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Security Law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its driving mode(self or manual driving). When a driver drives a car by manual driving mode and causes a car accident, existing legal principles and precedents might be applied. However, when a car accident occurs under self-driving mode, an interpreting method to secure objectivity applied the concept of driver’s responsibility to redeem driver’s benefit and driving control suggested for driver recognition is needed. It also is closely related with recognition of others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owner.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ny definition of others by accepting driving responsibility of one joint driver and the other joint driver should recognize a definition of others to be protected by the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Security Law as a victim when car accident occurs. In case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manufacturing defects and design defect causes accidents and applying method of Product Liability Law is issued. When car accident occurs while running self-driving mode, it is difficult to hold a driver who does not drive accountable for the accident completely. It is possible to a vacuum of helping victim by reducing driver’s liability for damages. It is needed to introduce No-Fault insurance as social insurance to minimize the vacuum and moderate exemplary damages. Recently,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is at issue but it remains cust...

      • KCI등재

        개인연금법 제정에 따른 주요과제

        고재성,김주표 한국기업법학회 2017 企業法硏究 Vol.31 No.4

        The main tasks by the private pension schemes Act Jae-Seung Go․Ju Pyo Kim The government suggested the Private Pension Act 2017 for more systematic management and needs of rearrangement of complicated pension system. The private pension act includ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ension asset. However it does not include the specific management but the example of financial products which can combine with the pension schemes without extra regulations. So the government should produce the financial products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Capital Market Act and Insurance Business Act which is the act about self-invested personal pension. Even though the private pension is enacted, there is no change of private pension product and just add the discretionary investment management agreement. And Pension Saving Credit based on the regulations of financial investment will not be able to produce the product for a guarantee of principal and interest since 2018. The author feels sympathy why the government tries to intensify retirement safety net but the prohibiting enrollment of pension saving credit is invading the right of subscribers’ choic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nact the regulation of financial investment which guarantee the damage on Pension Saving Credit for protected principal and interest in order to widen the subscribers’choice. The experienced employees quit their long term jobs at the average age 49 and almost employees are retired before age 50. They need the living cost while they search for new jobs but they should wait for 5-6 years to get the tax benefit due to the regulation of income tax act in which subscribers can receive the pension after age 55 as the initial age on receiving the private pension saving. At the period for receiving pension, almost 50% pension recipients should receive 170,000won for a decade to get the tax benefits. That ismeaningless as private pension because so many people withdraw their private pension midway. Enforcement ordinance of private pension act should regulate private pension product as considering the retirement age and subscribers’ receiving amount for pension. These products should regulate to receive the pension after age 50 initially and the subscribers over 5 years can decide the period of receiving the saved money according their desire and also the income tax act should be revised as the same conditions. It is necessary that discretionary investment management mandate regulated supplementally in private pension act of the current private pension products such as trust, fund and insurance should be added to income tax act in order to get the tax benefits. 정부는 개인연금자산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복잡한 연금관련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어 2017년 「개인연금법」제정안을 공개하였다. 그 제정안에는 연금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포함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운영방법에 있어서는 별도의 규정을 두지 않고 결합될 수 있는 금융상품의 종류만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연금사업자의 업종에 관한 법률인 「자본시장법」, 「보험업법」 등에서 규정하는 바에 따라 상품을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연금법이 제정되더라도 투자일임계약만 추가되는 것일 뿐 기존의 개인연금 상품은 변화가 없으므로, 「금융투자업규정」에 의거 연금저축신탁은 2018년부터 원리금보장형 상품으로 설계될 수 없다. 원리금보장형 상품 퇴출로 은퇴자산의 수익률을 높여 노후안전망을 강화하려는 정부의 취지는 공감하나 그렇다고 원리금 보장형 연금저축신탁의 가입을 금지하는 것은 가입자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리금 보장형 연금저축신탁에 대한 손실의 보전을 할 수 있는 「금융투자업규정」을 다시 제정해 가입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줘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취업 유경험자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두는 평균연령은 49세로, 근로자의 상당수가 50세 이전에 주된 직장에서 퇴직하여 재취업할 동안 생계비가 필요한데 소득세법에서는 개인연금저축 수령개시연령을 55세 이후로 규정하고 있어 세제혜택을 받기위해서 5∼6년을 기다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연금수령기간도 연금수령자의 50%가량이 세제혜택을 받기 위해서 월 평균 17만원을 10년 동안 수령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 중도해지가 많고 개인연금으로서의 의미가 없다. 향후 개인연금법시행령에서는 근로자들의 퇴직연령과, 가입자들의 수령금액을 감안하여, 개인연금상품의 수령개시를 50세 이후, 적립금 지급기간도 5년 이상 가입자가 희망하는 기간으로 규정하고, 세제혜택을 위한 소득세법도 같은 조건으로 개정할 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현 개인연금상품(신탁, 펀드, 보험)외 「개인연금법」 제정안에서 추가로 규정하고 있는 투자일임계약도 소득세법에 추가하여 가입자들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개정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