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수 전승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 Q자료를 중심으로

        김종성(Abraham J. S.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 )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의 나라 (basilei,a tou/ qeou)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하나님이 주체가 되셔서 이루어가는 선교는 ‘그의 나라와 그의 의’(마 6:33)를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19, 20세기를 거쳐 오는 동안 하나님의 선교에 있어서 하나님의 존재는 늘 선교의 주체가 되지 못했으며, 제국의 힘, 서구의 문화, 교육, 사상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다. 오늘의 한국교회의 세계선교도 대형교회 담임목사의 선교관, 선교사의 주관적 선교 이해, 교회 중심의 선교, 선교 단체 중심의 선교 그늘 아래 하나님의 선교의 본질적 요소가 무시되어 왔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세계선교에 대한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속성과 하나님 나라의 본질에 대한 분명한 선교적 이해를 가져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본 논문의 논지인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이시면서 세상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구체적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인 예수 전승 가운데서 특별히 Q자료를 중심으로 그 자료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해 선교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 Q자료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는 하나님 나라는 초월적 내재성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이 나라는 초월성과 내재성 사이의 긴장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선교의 범위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것은 현재의 요구와 초월자의 요구 사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 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가는 것이다. 그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가 없이 이루어지는 선교를 하나님의 선교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이 계시는 곳, 하나님이 다스리는 곳, 하나님의 규율과 법칙이 존재하는 곳이다. 둘째로, 보편적 선민사상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예수 전승을 통하지 않고 공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를 이해하려고 할 때 독자의 혼동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가 이스라엘 민족만을 위한 것인지, 아니며 모든 민족과 족속을 위한 보편적이며 우주적인 하나님 나라를 언급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Q자료는 분명히 보편적 선민사상의 개념 속에서 이해된 하나님 나라를 말한다. 셋째로, 완전성 추구를 향한 온전성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하나님은 완전하시고, 온전하시다. 그의 피조물인 인간은 완전할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로 온전해질 수 있다. 온전해지는 과정을 필자는 선교의 과정이라고 표현한다. 예수 전승이라는 텍스트와 21세기 교회와의 역사적 거리감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선교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마음, 뜻을 알아야 한다. 하나님을 인지하는 것은 직접 계시를 제외하고 는 환상과 계시의 통로가 되는 인간이 하나님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되었다. 물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이해도 달랐다. 예수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 나라를 이방 민족의 압제에서 벗어나 사랑, 평화, 공의를 누리는 샬롬의 나라로 이해했다. 그러기에 그들에게 있어서 하나님 나라는 묵시적 차원에서 도래할 것으로 믿었다. 하나님 나라는 현재적이며 미래적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에 오심으로 인해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였고, 그리고 우주적 완성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나라를 본론에서 선교적으로 이해 했는데, 그 이해를 현상학적 차원보다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 차원에서 논한 연구이기에 이러한 내용을 실천의 현장인 선교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과제가 우리들에게 있는 것이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e mission of God ( Missio Dei ) is to fulfill the Kingdom of God (basilei,a tou/ qeou). The mission work with God as the agent attains “his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Matt. 6:33). However, over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agent of God has not remained as the active agent in mission, and its presence has been covered by the shadow of imperial forces, Western culture, education, and other ideologies. Likewise, in today’s churches world mission in Korea has also set aside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mission of God. The mission is overshadowed by the missiological views of senior pastors of mega-churches, by a missionary’s subjective understanding of mission, and by a church-oriented mission, as well as organization-oriented mission. Considering this, the author believes that in order for the churches in Korea to overcome the negative elements on world mission and to proceed to a more positive state, a clear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both the attributes of God and the essence of the Kingdom of God is necessary. Therefore, to fully comprehend the main argument of this present thesis, “the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it is required to comprehend concretely the Word of Jesus Christ: God the Son who came to earth. Among Jesus Tradition, which is the Word of Christ, this thesis will focus especially on the Q source for a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at document. First of all, the Kingdom of God presented in Q source is the Kingdom of God in transcendental immanence. This Kingdom should thus be perceived under the tens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is also shows the range of mission. Moreover, this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e needs of the present times and of the transcendental being of God. The mission of God is fulfilling the Kingdom of God. The mission without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His Kingdom cannot be considered as the mission of God. Hence, the Kingdom of God is where God resides and reigns, and where His laws and principles exist. Secondly, this Kingdom of God is seen under universal elitism. The attempt to comprehend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e Synoptic Gospel without Jesus Tradition confuses the readers, because it is not evident whether the Kingdom of God mentioned is referring to the one exclusively for the Israelites only or to a more universal one, which is for all nations and tribes. Nonetheless, the Q source clearly states the Kingdom of God from the universal elitism. Thirdly, this Kingdom of God is in completeness and geared towards perfection. God is perfect and complete. On the other hand, human beings, who are not perfect. But they can move toward completeness by the grace of Christ. Moreover, completeness is the portrayal of the ultimate stage of maturity that humans should aspire. Missionaries should also aim for completeness in their mission work. In order to not only overcome the historical distance between the Jesus Tradition and the 21st Century churc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God’s heart and His will. In the Old Testament, the recognition of God varied among God’s chosen people and the prophets according to their faith. Except direct revelation, the illustration on the perception of God differed for God’s servants were the means of vision and revelation— perceived God. Inde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also differed. The Kingdom of God is both in present- and future-oriented. The Kingdom of God arrived with the coming of Jesus Christ to earth, and it is proceeding to the universal completion. This Kingdom of God is comprehended in missiological perspective in the body of the thesis; however, since this thesis study is not i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but rather in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now the duty to apply concretely this understanding in the mission field—which is the field for practice̵

      • KCI등재

        선교사 멤버 케어의 현재와 개혁 방향

        김종성(Abraham J. S.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1 No.-

        세계 선교 역사에 있어서 종교 개혁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오랜 세월 동안 ‘종교 개혁’은 선교학에서 중요한 이슈로 다뤄진 적이 거의 없다. 전통적인 선교관을 가지고 그 당시를 평가하면 종교 개혁자들에게서 세계선교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그리고 하나님의 선교가 태동하기 이전의 ‘선교에 대한 이해’, 선교 신학과 신앙에 근거해서 종교 개혁 시기의 선교를 평가하면 선교가 전무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오늘날 Missio Dei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종교 개혁 시기가 세계 선교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감당했는지에 대한 평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종교 개혁 500주년을 맞이해서, 특별히 한국교회의 세계선교가 정점을 찍고 하향 곡선을 그리면서 내려가는 현시점에서 “한국 선교와 개혁의 과제”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무엇보다 특집의 소주제 5가지 중 “선교사 멤버 케어의 개혁”은 아직 꽃을 피워보지도 못하고, 성숙되지도 아니한 ‘멤버 케어’라는 영역을 ‘개혁’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으로 이율배반적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더 나은 한국 선교의 미래를 소망하면서, 이 부분에 대한 이해, 평가, 한계성, 그리고 개혁해야 할 영역을 연구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의 ‘멤버 케어’에 대한 이해는 자신이 속한 사회나 단체의 성격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케어의 범위, 대상 또한 달라진다고 본다. 세계 선교와 관련해서 멤버 케어는 선교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선교사 자신, 파송 교회, 선교단체, 동료 사역자, 멤버 케어 전문가-의 책무이다. 멤버 케어에 대한 시기, 범위, 대상 등을 살펴볼 때 멤버 케어는 전인적 멤버 케어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멤버 케어의 성서적 근거의 두축은 ‘그리스도의 몸’, ‘상호 돌봄’, 즉 ‘서로서로’의 개념이다. 예수님의 멤버 케어는 성경적인 모델이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사역의 단계별로 접근하는 멤버 케어가 필요하다. 그래서 필자는 멤버 케어가 선교사의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교회의 멤버케어와 개혁이라는 주제로 연구한 결과 개혁되어야 할 부분을 크게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파송을 위임받은 주체(교회, 교단 선교부, 선교단체)들의 선교적 이해, 인식의 틀의 개혁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멤버 케어에 대한 한국교회의 인식이 개혁되어야 한다. 둘째로 위임받은 자의 선교적 이해에 대한 개혁이 필요하다. 한국교회가 멤버 케어 사역을 잘 감당하게 되면 선교사의 중도 탈락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선교사들이 영적으로, 정신적으로, 육적으로 안정된 가운데 사역을 감당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