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對金飮子가 알코올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간 지방 병증과 면역억제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

        김정자(Jeongja Kim),서부일(Buil Seo),최홍식(Hongsik Choi),김승모(Seongmo Kim),우창훈(Changhoon Woo),구진숙(Jinsuk Koo),박규열(Gyuryeol Park) 한국한의학연구원 2010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6 No.2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s of Daekumeumja on fatty degeneration of liver and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alcohol in rats. Method : Except for the normal group, we fed rat on 25% alcohol for 55 days. And Daekumeumja(DK) extract was administrated for the same period. We measured the serum component in rat's blood, weight of internal organs, liver triglyceride contents, histomorphometry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f internal organs. Results : 1. In the change measurement of serum components,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AST, ALT, albumin, ALP and triglycerid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2. In the change measurement of internal organ's weight,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relative body weights of liver, thymus and splee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3.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hepatic triglyceride content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4. In histomorphometrical changes of liver,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numbers of hepatocytes occupied by over 10 % lipid droplets, percentages of regions occupied by lipid droplets and mean diameters of hepatocyt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In histomorphometrical changes of thymus,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lobular thickness and cortex thicknes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In histomorphometrical changes of spleen,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splenic thicknesses, numbers of white pulps and mean diameters of white pulp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5. In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liver, DK group(50 ㎎/㎏, 200 ㎎/㎏) showed effective inhibition of severe fatty chang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ymus and spleen, DK group(50 ㎎/㎏, 200 ㎎/㎏) showed effective inhibition of atrophic chang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Conclusions : Reviewing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appears that Daekumeumja have pharmaceutical preventive efficacy on fatty degeneration of liver and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alcohol in rats.

      • KCI등재

        뇌병변 장애인의 건강관심도가 주관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건강관련 행동의 매개효과

        김정자 ( Jeongja Kim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4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비교할 때 건강에 대한 격차를 경험한다. 이러한 격차의 잠재적인 이유는 장애인의 건강은 비장애인보다 더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결정되는 복잡한 구조와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보건기구의 ICF 모델을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큰 뇌병변 장애인 표본을 활용하여 그들의 건강관심도와 건강 수준의 관계에서 건강관련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참여한 뇌병변 장애인 중 연구의 목적에 맞는 632명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건강관심도가 건강 수준과 건강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기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건강 수준에 대한 건강 관련 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를 좋게 평가하였으며, 건강관리 운동에 더 많이 참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관심도와 주관적 건강평가에 대해 건강관리 운동의 부분매개효과(β=.011, 95% CI=.003~.023)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건강관심도는 건강관리 운동을 증진하며, 건강관리 운동은 주관적 건강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뇌병변 장애인의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관심도와 건강관리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과의 연계 및 지속적인 참여에 관한 추가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People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health disparities whe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out disabilities. A potential reason for this disparity is that the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a complex structure and system that is influenced and determined by more various factors than those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related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and self-rated health using a relatively large sample of people with brain injuries based 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CF model. Data from 632 people with brain injuries who met the purpose of the study among those with brain injuri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disability survey were selected for this secondary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for the effect of health concern on self-rated health and health-related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related behavior on self-rated health was analyzed through bootstrapping based on the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health concern, the better the self-rated health, and the more health management exercise. Also,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β=.011, 95% CI=.003~.023) of health management exercise on health concern and self-rated health.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health concern promotes health care exercise, and health care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rated health.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connection wit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s may be necessar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ealth care exercise and health concern that affects th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brain injuries.

      • KCI등재

        독자 기반 피드백에 의한 작문 지도 실행 연구

        김혜연 ( Hyeyoun Kim ),김정자 ( Jeongja Kim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1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진 작문 피드백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독자 기반 피드백이 실행되는 과정 및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성찰을 통해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엘보우(Elbow, 1998)의 독자 기반 피드백 개념을 글쓰기 교수-학습 실행을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대면 상담과 온라인 상담을 통해 학생들의 글에 대해 독자의 입장에서 피드백을 주었다. 학생들의 글쓰기 과정과 결과물, 면담 등을 필자로서의 주체성 측면과 독자 고려 능력 측면에서 독자 기반 피드백의 효과를 찾을 수 있었다. 이는 교수자의 일방적 첨삭 피드백이 아니라 교수자 피드백-학생 반응-교수자 재피드백으로 이루어진 대화적 순환을 통하여 더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글쓰기 교육 본연의 목적과 학생의 요구에 따라, 학생 글의 오류를 바로잡아 주는 교정자의 시각 역시 독자로서의 시각과 함께 여전히 유지되어야 하므로 독자 기반 피드백의 교수자는 다층적인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독자의 입장에서 학생의 글을 읽고 반응해야 한다는 관점을 유지하면서 교수자와 독자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조화시킬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ive writing feedback by giving “reader-based feedback” proposed by Elbow (1998) at a university writing center and inspecting its process and result. We gave feedback on the output of 7 college students by the instructors adopting the point of view as a reader through face-to-face and on-line consultations. By analyzing the process, output, and interviews made by students, we could ascertain some effects on self-awareness as a writer and on competence in considering readers. Furthermore, these effects were enhanced by a conversational cycle, that is, not as a unilateral correction from an instructor, but as a cycle of feedback-response-refeedback. However, in terms of the process of exchange, an instructor cannot avoid expressing the voice of a teacher during dealing with errors students make, since writing feedback cannot be accomplished without educational purposes and students`` needs. Thus, the role as an instructor who fulfills reader-based feedback should be recognized as multilayered. There should be discussion on how we reconcile a role as an instructor with a role as a reader, maintaining the main perspective as a reader when giving feedback.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배명진 ( Myeongjin Bae ),이후경 ( Hookyung Lee ),김정자 ( Jeongja Kim ),이성모 ( Seongmo Lee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4

        매년 장애인체육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늘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스포츠 선수를 위한 연구기반 과학적 훈련과 지원체계 구축이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김지태, 홍미화, 오아라, 서은철, 2016; 김태홍, 박철형, 제갈윤석, 2015).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스포츠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수행된 연구 결과를 데플림픽, 스페셜올림픽, 패럴림픽으로 나누어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장애인스포츠과학의 필요성과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문헌검색은 PICO-TSS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를 KISS, RISS, DBpia, PubMed, Eric, MEDLINE, Academic Search Complete을 이용하여 1980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출판된 국문 또는 영문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의 경우 세 가지 주요대회를 기본으로 장애인선수, 장애유형, 경기력 관련 용어를 서로 조합하여 검색을 진행하였다. 문헌선정 흐름도(PRISMA)에 따라 1차 검색된 1808편의 논문은 최종 26편의 논문으로 추출되었다. 최종 선정된 논문 중 6편의 무작위대조실험설계 논문은 Cochrane's Risk of Bias Tool을 이용하여 비뚤림 위험 평가를 시행하였다. 패럴림픽 논문 총 16편, 스페셜올림픽 논문 총 7편, 데플림픽 논문 총 3편이 추출되었고, 무작위대조실험설계연구(RCT)는 패럴림픽 논문 3편, 스페셜올림픽 논문 2편, 데플림픽 논문 1편으로 확인되었다. Perret(2015)의 모델을 이용하여 각 연구의 경기력 결정요인을 범주화한 결과, 체력 및 기술 훈련요인(n=3), 체력훈련요인(n=8), 기술훈련요인(n=2), 코칭요인(n=4), 환경요인(n=2), 심리요인(n=6), 회복요인(n=1)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장애인스포츠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체계화된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다양한 종목을 대상으로 스포츠과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increasing support for disability sports every year, scientific training and support systems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are still insufficient(Kim, 2016; Kim,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need of sport science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rection of related follow-up research through systematic review in Deaflympics, Special Olympics, and Paralympics. Literature search targeted Korean or English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1980 to September 2019 using KISS, RISS, DBpia, PubMed, Eric, MEDLINE, and Academic Search Complete for research issues selected by PICO-TSS. For search words, three major competitions wer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types and performance-related terms. According to PRISMA, 1808 papers were initially selected and finally extracted to 26 papers. Among the final papers, six papers that employ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 were evaluated for risk of bias using Cochrane's Risk of Bias Tool. A total of 16 Paralympics papers, 7 Special Olympics papers, and 3 Deaflympics papers were included, and RCT design was applied in 3 Paralympics, 2 Special Olympics, and 1 Deaflympics studies.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determinants of athletic performance based on the model of Perret (2015), physical and technical training(n=3), physical training(n=8), technical training(n=2), coaching(n=4), environmenta (n=2), psychological(n=6), and recovery(n=1) factors were found.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ailore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to effectively improve performance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a scientific approach in different disability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