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회공간의 빛과 강대상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김정오 ( Jungo Kim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 배경 및 목적) 현대 교회는 예배전실공간을 예배 후 성도들과 성직자들이 교제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 예배전실공간은 오늘날 교회의 독특한 경향에 따라 제단 위 강대상으로부터 떨어져 놓이게 되어 목사나 성직자가 그 뒤에 서서 예배 중 많은 시간동안 회중석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예배전실공간에 들어서면 외부와 구별되는 교회예배공간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교회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 강대상은 회중석과 예배전실공간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오랜 역사 동안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자 소재였다. 특히 교회 공간은 하나님과 성도가 교류하는 장소이며, 소통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실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교회 공간에서 강대상과 빛을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표현된 대상을 인식한다는 것은 지각의 문제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빛의 연출로 보여 지는 강대상의 형태가 인식하는 이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기본 전제로 설정한다. 강대상을 통하여 반사되는 빛에 따라 회중석에 앉은 성도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빛에 의하여 다양화된 상징성을 통하여 교회공간에 강대상과 빛의 의미를 고찰하여 빛의 연출에 따른 강대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 교회들의 교회 공간 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강대상과 빛의 사용을 알아보았다. (결과) 연구에서는 빛으로 강대상의 형태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기본 가설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장이론, 루이스 칸, 제임스 터렐, 안도 다다오, 르 꼬르뷔제의 빛의 개념을 언급하여 기본 가설의 타당함을 찾아내고자 한다. (결론) 빛 연출에 따른 강대상의 표현에 맞는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빛의 특성에 관하여 고찰함으로 강대상과 빛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교회 공간 디자인에 적용하는 강대상의 역할과 중요성을 확실히 하는 것에 의의를 가지며, 향후 이것을 바탕으로 교회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강대상디자인과 빛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churches use the front chamber of the main chapel as a space for interaction between the congregation and clergy. Following this trend, the front chamber has been separated from the podium’s pulpit to allow the pastor or cleric to observe the congregation for most of the service. Passing through this front chamber, one can enter into the chapel, a space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In creating church space, the pulpit has been an important focal point since it can be used as a medium to connect the congregation and the front chamber. A church space is regarded as a place of interaction between God and man. Therefore, a number of experiments have already been undertaken to determine how to design this space to facilitate communication. Consequent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 design method whereby the pulpit and light can be applied to church space. (Research Method) Recognition of a depicted object is a matter of sensory perception. Thus, the study’s hypothesis states that the shape of the pulpit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way it is perceived. The effect of light on a pulpit’s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through an investigation regarding meanings of the pulpit and light; further, observation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congregation and the pulpit as a result of light reflecting off of it were conducted. Subsequently, various representations of the pulpit were created. Additionally, the use of pulpits and light was investigated through a case study of modern church space designs. (Result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states that light can be seen as a material object rather than a non-material object. Accordingly, the field theory and light theories of Louis Kahn, James Turrell, Ando Tadao, and Le Corbusier provided theoretical evidence for validating the hypothesis.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pulpit and the effect of light based on theoretical evidence linking the expression of the pulpit with the display of light.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in concretely defin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pulpit in designing church space. Building on this concept, continued research regarding pulpit design and light and their influence on the church environment is recommen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