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용 수심측량 라이다를 활용한 3차원 하상데이터 취득 가능성 분석

        김재학(Kim, Jae Hak),허현수(Heo Hyun Su),위광재(Wei Gwang Jae),이동하(Lee, Dong Ha)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보다 효율적인 하천 및 연안지역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상에 대한 정밀한 3차원 하상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3차원 하천 모니터링 및 방재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하상데이터는 저밀도의 점형 혹은 선형 데이터로 이를 통해 제작된 3차원 하상모델은 실제와 큰 차이가 있어 시뮬레이션 결과에 신뢰성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하천 관리를 위해서는 목적하는 하상 전체를 연속적으로 관측하여, 면형식의 정밀한 3차원 하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취득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hiroptera 4X 항공수심라이다 장비를 이용하여 국내 하천 3개소 및 해안 3개소 지역에 대해 점군 형태의 하상데이터 취득을 수행하고, 각 점군데이터를 지역별 최대 수심 및 평균 탁도 정보와 연계·분석하여 항공수심라이다를 정밀한 3차원 하상 모델링 및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하천의 경우 낮은 수심대역의 하상에 대해서는 항공수심라이다를 통한 3차원 점군데이터의 안정적 취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 되었고, 연안지역의 경우에는 수심보다는 평균탁도가 낮은 동해안에서 보다 넓은 범위의 점군데이터 취득이 가능하였다. 추후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항공수심라이다를 활용한 하천 및 연안지역 측량 계획 및 장비 운용방안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perform more efficient river and coastal area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observe precise 3D river- and sea-bed data and use it to perform more reliable 3D river monitoring and disaster prevention simulation etc. However, the currently used river-bed data is only point-type or line-type with low observation density, so the 3D river-bed model produced through it has a big difference from the actual one,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results is very lowered. To achieve more efficient and accurate river and coastal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observation technique that can produce raster- or point-cloud-type data with high observation density and precision for the entire observation area. In this study, we used the Chiroptera 4X Airborne Bathymetry Lidar (ABL) equipment for observing river- and sea-bed 3D point-cloud data at 3 rivers and 3 coastal areas in Korea with maximum depth and average turbidity information of each observed area. By analyzing then the observed data, it was judged whether the ABL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for precise 3D river- and sea-bed modeling and monitor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he case of river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observed 3D point-cloud data through the ABL for the river-bed in the low depth area. In the case of coastal areas, it was only possible to observe 3D point-cloud data stably in East Sea area where the average turbidity was lower than West Sea are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iver- and sea-bed survey plans and equipment operation plans using ABL b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수평흐름식 여과기술의 CSOs 적용을 위한 공정 최적화 연구

        김재학(Jae-Hak Kim),양정하(Jeong-Ha Yang),이영신(Young-Shi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강우사상이 발생함에 따라 시설용량을 초과하여 미처리된 상태로 방류수계에 직접 배출되는 합류식 관거 월류수(Combimed Sewer Overflows, CSOs) 및 분류식 관거 월류수(Separated Sewer Overflows, SSOs)의 관리는 집중호우가 잦아지는 근래에 들어 그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에 적용성이 유리한 여과기술은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SOs에 적용된 사례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프형 섬유여재가 적용된 Pilot 규모의 수평흐름식 여과장치를 CSOs에 적용하기 위해 공정최적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와 하수를 적용한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에서 여재 자체의 손실수두는 약 1.1cm정도로 분석되었고, 선속도 10m/hr 증가에 따라 약 0.1cm 정도의 손실수두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S 제거효율은 81.4% 정도로 안정적이었고, 여과지속시간은 6시간 이상 유지되었으며, 공기역세척만으로도 98% 정도의 손실수두 평균 회복율을 보였다. 하수를 적용한 현장평가에서는 여재의 조기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전처리공정으로 벨트형 미세스크린(450mesh 이상)를 적용했을 때 2시간 내외의 여과지속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고, 평균 83.9%의 SS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CSOs 및 SSOs에 여과공정 적용을 위해서는 효율적 측면보다 여과지속시간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수리적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서 전처리공정과의 조합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건기와 비교하여 우기의 유입하수 수질은 다소 낮은 보였으며, 이는 분류식 관거 비율이 높은 배수구역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우기와 건기의 유입수질에 따른 제거효율 차이는 미미하였다.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and Separated Sewer Overflows(SSOs) discharge directly to the effluent system in an untreated state, which occurs when the facility capacity is exceeded due to heavy rai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recent years as the heavy rain becomes a regular phenomenon. Despi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filtration technology, targeting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CSOs are rarely appli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ptimize the process to apply CSOs in a pilot-scale horizontal flow filtration system with a rope-type synthetic fibe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a preliminary study using artificial samples and a field study using sewage. In the preliminary study using an artificial sample, head loss of the filter media itself was analyzed to be approximately 1.1cm, and the head loss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0.1cm as the linear velocity was increased by 10m/hr. In addition, the SS removal efficiency was stable at 81.4%, the filtration duration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recovery rate of 98% was obtained by air backwashing only. In the on-site evaluation using sewage, the filtration duration was approximately 2 hours and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83.9% was obtained when belt screen (over 450 mesh) was applied as a pre-treatment process to prevent the premature clogging of filter media. To apply the filtration process to CSOs and SSO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with the pre-treatment process was important to reinforce the hydraulic dimension for the stable maintain of operation period, rather than efficiency. Compared to the dry season, the quality of incoming sewage was lower in the rainy season, which wa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inage area with higher sanitary sewera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nfluent quality of the wet season and dry season was small.

      • KCI등재

        UAV 영상을 활용한 3D 건물 객체 데이터 갱신 및 관리 시스템 개발

        김재학(Kim, Jae Hak),이동하(Lee, Dong Ha)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3

        스마트 시티, 디지털 트윈 등 4차 산업에 공간정보 기술이 핵심 기술로 떠오르면서 많은 기술적 발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 기술의 핵심적인 방향이 가상세계를 현실처럼 실감나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고, 효율적인 3차원 건물 객체 구축과 갱신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밀한 3차원 건물 객체 갱신을 위해서는 대용량의 관측데이터가 이용되지만, 이러한 관측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manned aerial vehicle(UAV) 관측데이터를 기준으로 3차원 건물 모델링에 필요한 원시데이터 및 다양한 형태의 보조적인 공간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3차원 건물 객체 모델링에 포함되는 불필요한 공정 및 작업시간을 줄이고, 신속한 3차원 건물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발된 시스템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 여의도중학교 주변의 관측데이터를 적용시켜 테스트한 결과, UAV 원시데이터 및 3차원 건물 모델링에 관련된 데이터 모두 서버에 정상 저장 관리되고 있었으며, 모델링 완료 후 시스템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획득할 수 있어 수정 및 보완 작업이 용이하였다. As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has emerged as a core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y such as Smart City and Digital Twin, there are many technological advances. Since the core direction of this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aims to construct the environment in a realistic way like a virtual world, the demand for more precise and efficient 3D building object construction and renewal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a large amount of observation data is used to accurately update 3D building objects, but interest in a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such observation data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raw data required for 3D building modeling and various forms of auxiliary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AV observation data. Through this system, it is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processes and working hours included in 3D building object modeling, and to support rapid 3D building modeling. As a result of testing by applying observation data around Yeouido Middle School in Seoul to verify the developed system, both raw UAV data and data related to 3D building modeling were normally stored and managed in the server. After the modeling was completed, the system was able to easily obtain the necessary data, making it easier to modify.

      • KCI등재

        핀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보급형 라돈 검출기의 구현

        윤성하(Sung-Ha Yun),김재학(Jae-Hak Kim),김규식(Gyu-Sik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6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3 No.11

        라돈이 기관지나 폐포에 머무르게 될 때 라돈의 붕괴로 인해 자핵종(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등)들이 생성되면서 이것들이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세포의 염색체에 돌연변이를 일으켜 폐암을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폐암의 원인이 라돈가스 때문이라기보다는 흡수된 일부 라돈의 붕괴로 인해 생기는 부산물이 방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이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의 82%가 자연방사선에 의한 것인데 그중 대부분이 라돈이다. 실내의 라돈 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면 폐암의 발생확률을 30%나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아직까지 실내의 라돈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는 외국의 라돈센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 라돈 방출량에 대한 데이터 구축과 국내에 맞는 실용적인 라돈측정기기를 개발하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IN Photodiode를 이용하여 라돈의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검출기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서, PIN photodiode의 라돈 센서 모듈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When radon is staying at alveoli and bronchial tubes, the collapse of radon creates progeny nuclides (alpha ray, beta ray, gamma ray, etc.). They emit radiation causing a mutation in the chromosome of the cell, resulting in lung cancer. In other words, the main cause of lung cancer is radiation emitting as the result of radon collapse rather than radon gas. The 82% of radiation exposed to people is the natural radiation. Most of the natural radiation is radon. If we properly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radon indoors,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lung cancer could be decreases to be 70%. Until now, to measure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mported radon sensors are needed. So, DB construction of indoor radon emission and popular radon measuring apparatus should be develop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radon detecting method using PIN photodiode. Also, we confirmed the PIN photodiode could be used as radon sensor module through some experiment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