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류와 반한류

        김익기(Kim Ik Ki),장원호(Jang Wonho) 지역사회학회 2013 지역사회학 Vol.14 No.2

        본 논문은 중국에서 한류가 어떤 계기를 거쳐서 시작되었으며 그에 따른 반작용으로 반한류가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가에 기본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대중문화는 아시아를 비롯하여 서구와 미주는 물론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걸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의 대중문화가 외국에 수출되고 있는 현상을 '한류'라고 통칭하고 있는데, '한류(韩流)'라는 용어는 중국에서 가장 처음 사용되었다. 중국에서의 한류는 2005년 후난 위성TV에서 방영된 <대장금>으로부터 가열되기 시작하였고, 드라마의 성공에 힘입어 케이팝(K-Pop) 및 패션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중국에서 한류에 대한 열정이 강해질수록 이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가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한류관련 문헌을 근거로 한류의 전개와 확산에 관한 모델을 제시하고, 세 명의 전문가 심층면접과 16명의 초점집단토의 (Focus group discussion)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초점집단토의는 중국의 수도 북경에서 4개 집단(남자대학생, 여자대학생, 30대 이상 남성, 3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각 집단별로 4명의 참가자를 초청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문화수용의 다차원성에 주목하며 심층면접과 초점집단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성별, 세대별 특징에 주목하면서 한류의 흐름 및 문화수용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한국문화가 중국에 접변되면서 나타나는 문화접변(acculturation)의 제반현상에 주목하고 한류의 영향력과 반한류의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중국사회에서 한류의 지속적인 성장과 한중 상호문화교류의 증진을 위해서 문화접변의 단계를 넘어서 어떻게 혼종화의 과정을 겪어야 하는지에 관한 시론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basically to concern with the adoption procedure of the Korean wave (Hallyu) and the situation of the anti-Korean wave in China. Korean wave has been diffused to Asian countries first, then to Europe and Latin America, and to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many African countries. The concept of 'Korean wave' has first been named in China. Korean wave in China has flourished since the broadcasting of the Korean drama, 'Daejangum' in 2005. However, with increasing popularity of Korean pop culture, anti-Korean wave has also been appearing in China. From the reviews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this study shows the diffusion model of Korean wave.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professionals and the four focus group discussions(FGD) such as: 1) group of 4 male students; 2) group of 4 female students; 3) group of 4 males aged over 30; and 4) group of 4 females aged over 30. In analyzing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mainly discusses multi-dimensional aspects of cultural reception and the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In addition, the research focuses on the procedures of diffusing Korean culture from acculturation to hybridization. Lastly, the study discusses how Korean wave should be hybridized to make Korean wave sustainable and to extend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조선족 청소년의 한국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김익기(Kim, Ik-ki)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3 No.-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글로벌 역량강화 및 세계 여러 국가에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 청소년 인적자원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본 논문은 중국내 조선족 청소년의 실태를 조사 연구한 자료를 이용하여 조선족 청소년들이 최근에 한류의 핵심적인 내용이 되고 있는 한국드라마를 어느 정도 시청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과의 직접적인 관계가 조선족 청소년이 한국드라마를 보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접촉이론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한 자료를 근거로 이루어졌다. 문헌연구에서는 조선족 청소년들 연구의 배경자료가 될 내용들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중국에서 조선족들이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있는 5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선족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5개 지역은 연변자치주, 북경, 산동성(청도, 연태 등), 요녕성(대련, 단동, 심양 등) 및 기타지역(흑룡강성, 상해 등)으로 분류되었다. 본 조사는 2007년 5월부터 8월까지 3개월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조사대상자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한정하였으며 810명을 최종 응답자수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족 청소년들이 최근에 한류의 핵심적인 내용이 되고 있는 한국드라마를 어느 정도 시청하고 있는가를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해서 분석해 보았다. 여기에서는 특히 한국과 좀 더 직접적인 관계가 많은 연변지역 출신의 조선족 청소년과 한국과 직접적인 관계가 비교적 소원한 기타지역 출신 조선족 청소년의 경우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족 청소년가운데에서 한국과 더 빈번한 접촉가능성이 있는 청소년이 기타 청소년보다 한국드라마를 더 선호할 것이다”라는 가설이 설정되었다. 전반적으로 거의 대부분의 조선족 청소년들이 한국드라마를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조선족 청소년들이 한국드라마를 시청하는 상황은 성별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연령별로는 별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연변이 고향이거나 현재 연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의 경우가 한국드라마를 더 자주 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문화유사성 이론과 접촉이론이 유용한 설명근거로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dealing with the situation of watching Korean drama by young Korean Chinese. This study adopts contact theory in explaining watching Korean drama of young Korean Chinese by comparing the different pattern between respondents in Yanbian area and those in other areas.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which was carried out in 5 areas in China in 2007. Five areas are as follows: Yanbian Autonomous District, Beijing, Shandong Province, Liaoning Province, and others areas (Heilongjiang, Shanghai and others). 810 cases out of 84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cross tabulation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survey, almost all the respondents have watched Korean drama. Sex is important but age is not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different pattern of watching Korean drama. Geographically, the proportion of watching Korean drama by respondents who live in Yanbian District (and whose home town is Yanbian) is much higher than those who live in other areas. Contact theory seems to be applicable in explaining the watching Korean drama of young Korean Chinese.

      • KCI등재

        한국의 인구변천과 환경변화

        김익기(Ik Ki Kim) 한국인구학회 1995 한국인구학 Vol.18 No.2

        이 글은 한국의 인구변천이 환경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있다. 이 관계는 기본적으로 경로모형(path model)의 틀로서 설명되고 있다. 인구증가는 그 자체만으로도 직접적으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인구증가는 또한 각각 도시화 및 산업화를 유발시킴으로서 환경오염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도시화와 산업화는 서로 상승작용을 통해서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한국의 인구성장, 도시화 및 공업화의 추세를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이 환경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의 변화양태를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그리고 폐기물의 변화추세로써 살펴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변화의 결과가 한국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가 논의되고 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transition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Korea. The basic framework of this study is a path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n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doing this, this study illustrates the changing patterns of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also shows the changing pattern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cusing on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wastes. Fin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sequences of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nging quality of life in Kore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多水準分析方法에 依한 韓國婦人의 出産行爲研究

        金益基(Ik Ki Kim) 한국인구학회 1988 한국인구학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fertility behavior in Korea by developing a model which simultaneously takes into account both individual and community-level differences. It especially focuses on the micro-macro nexus of fertility behavior depending on social contexts. This study utilizes micro data obtained from the 1974 Korean National Fertility Survey(KNFS), and macro data obtained from Korean government statistics. The framework of the model is formalized as a set of structural equations modelling the fertility process. The model is formed on a cohort-specific processual basis and is restricted to five-year birth cohorts. Three cohorts of women are studied: those aged 30-34, 35-39, and 40-44. The model includes three fertility-process components : age at first birth, early fertility, and later fertility, which are defined by reference to the age of the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results in increased age at first birth and reduced numbers of children per couple.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al change, Korea's fertility decline is found to be facilitated by family planning programs. As expected, the effect of family planning on fertility is greater among better-educated women than among poorly educated women. The inconsistent but suggestive result, however, is that the effect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on fertility is greater among less-privileged women than among more-previleged women.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청소년의 한민족일원 자부심정도에 관한 연구

        김익기(Ik Ki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글로벌 역량강화 및 세계 여러 국가에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 청소년 인적자원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 중국내 조선족 청소년의 실태를 조사연구 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조선족 청소년들이 한국인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밝히고, 이들이 한민족 후손으로서 한민족의 일원이라는 자부심이 어느 정도인가를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방법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문헌연구는 중국조선족의 이주와 정착에 대해서 설명하고 조선족의 중국에서의 지위와 역할 등에 관한 자료를 소개하고 있다. 한편, 설문조사는 중국에서 조선족들이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있는 5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선족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한정하였으며 810명을 최종 응답자수로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조선족 청소년들은 한국어나 한민족배경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은 선조들의 모국인 한국과 한국 사람들에 대해서 비교적 좋은 느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선족 청소년들은 자기가 한민족 후손이라는 것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works on the life conditions of young Korean Chinese in China. In dealing with this matter, this paper first illustrates some attitudes of young Korean Chinese towards Korean people. Then, this paper systematically shows their pride in terms of the Korean nationality by using cross-tabulation and logit regression methods. This paper is composed of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the surveyed data. Literatures review the migration and living patterns of the Korean Chinese as well as the status and role of them in China.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five areas where relatively many Korean Chinese have lived. The respondents for the survey are students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The total sample size for the survey turned out to be 810.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young Korean Chinese are very positive in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language and Korean background. In addition, they are very favorable for Korean people. As a result, they have a very high level of pride that their ancestors are Korean people.

      • KCI등재후보

        전시 군수물자의 효율적 분배와 수송을 위한 TC 위치선정 방법론 연구

        정병호,김익기,Jung, Byung-Ho,Kim, Ik-Ki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2009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ol.35 No.2

        전시 공군은 각 지역에 거점부대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에서 동원되는 품목별 물자를 인수하고, 물자가 부족한 지역의 거점부대에 잉여물자를 분배하여 전체 부대가 일정한 군수지원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또한, 지역 거점부대는 해당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군소 운영부대들에 대한 DC(Distribution Center)의 역할도 담당하여 지역에서 동원되는 물자들과 타 지역 거점부대로부터 인수한 해당 지역 부족물자들을 군소운영부대에 분배한다. 하지만, 전시 동원물자 수송은 물자가 많이 동원되는 지역의 거점부대가 물자가 적게 동원되는 부대로의 분배 및 수송을 책임지기 때문에 동원물자들의 생산특성에 따라 지역 거점부대별 수송부담의 불균형과 다빈도 수송으로 인한 수송 자산(병력, 수송수단)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공군본부나 군수사령부와 같은 상급부대는 전체적인 동원물자의 분배와 수송을 효율적인 방향으로 조정 통제하는데 대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지역에 TC(Transfer Center)를 설치하여 물자를 분배하고 수송하는 방법론을 제시고자 한다. During wartime, the Air Force have to plan where, and how much, and what need to be distributed to surrounding local area from a chosen central bases. Each base, which has surplus more than needed amount of a certain material collected from near area of the base, is expected to distribute such surplus to other bases in shortage of it. By sending such surplus to other bases in shortage of the material, every base may get sufficient amount of all kinds of materials needed for each base during wartime. Because number of items of materials needed in each military bases during wartime are usually quite large and the frequencies of delivery from a place to other place are also pretty large if each item is delivered from a surplus place to other places in shortage, the Head Quarter of Air Force or the Logistics Command will face to difficulty to decide a reasonable delivery plan between bases for efficient and fast allocation of all materials needed to all bases during wartim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solving algorithm with an established TC (transfer cente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center for all materials) to solve such a distribution and transportation problem.

      • 지방부의 내부 교통존 세분화 방법론 제시

        김정인(KIM, Jung In),김익기(KIM, Ik Ki)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2 No.-

        한국교통연구원은 수도권 및 광역권의 기종점 자료를 행정동 단위로 교통존을 세분화하여 배포하고 지방부는 자료의 한계로 시군구 단위로 교통존을 구축하여 배포한다. 도로 및 철도사업에서 사업 주변 지역에 정교한 통행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내부 교통존을 세분 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시군구 단위의 지방부 내부 교통존을 행정동 단위로 세분화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수도권 및 광역권 기종점 자료의 공간적인 통행분포 패턴을 수학적으로 모형화하고 이를 지방부에 적용하여 세부존 간 통행량을 산출하였다. 즉, 수도권 및 광역권 자료를 토대로 직접수요모형과 중력모형의 파라미터를 정산하고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통행분포 패턴을 잘 설명하는 모형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Power function을 저항함수로 정산한 중력모형이 내부 통행패턴을 우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또한, 인구 밀도를 범주화하여 모형의 파라미터를 재정산하고 이를 지방부의 내부 교통존에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세부존 간 통행 량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분화 방법론을 이용하여 도로 및 철도 사업 주변 지역에 통행패턴을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