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권력세습과 유교의 성군(聖君)신화

        김윤경(Kim, Youn Gyeo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0 No.-

        21세기 중국이 시진핑의 ‘중국몽’의 기치 아래 유교를 기반으로 하는 ‘신중화주의’를 표방하고 있다면 북한은 북한식 사회주의 모델을 위해 유교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이 논문은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를 위해 ‘유교’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의 체제 안에서 유교는 봉건종교이지만 유교의 도덕적 가치들(충과 효)는 계승되어야 할 ‘전통적 윤리’로서 활용되었다. 동아시아에서 ‘충’· ‘효’의 규율은 정치권력에 의해 오랫동안 동아시아인들에게 내면화 되어 있었고, 북한이 이를 사회주의 체제 유지를 위해 적극 활용하였다. 둘째 북한은 유교의 가족주의를 강화시켜 체제의 정당성 확보와 체제 안정을 확대해 가고 있다. 셋째 북한 정권의 김정일 신격화·우상화는 유교의 성인 통치 즉 성군(聖君)의 요청과, 권위주의 정권을 수용할 수 있는 유교적 사회 분위기 아래에서 가능하였다. 넷째 김정일의 ‘백두광명성’의 상징은 ‘유교’에서 새로운 왕의 등장을 알리는 친숙한 메타포이며, 김정일의 권력 세습과정은 유교의 유토피아 요순(堯舜)시대의 왕권승계 신화 구조와 유사하다. 이상의 연구는 유교적 실천도덕과 성군신화가 사회주의 체제 안에서 새롭게 재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북한식 사회주의체제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이며, 전통종교가 어떻게 ‘파시즘’ 형성에 기여했는가의 문제로 확대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북한식 사회주의의 핵심이론들이 어떠한 동양사유의 근간에서 재구성되었는가를 밝히는 것은 적대적 요소의 강화가 아닌 전통사상을 통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평화적 방식의 확대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한다. 지평을 넓히는 평화적 방식의 확대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한다. How does North Korea develop Confucianism for its socialist regime during the 21st century, while China is insisting on a Neo-Sinocentrism(新中華主義) based on Confucian nationalism under the slogan of "Chinese Dream(中國夢)"? The paper examines how " Confucianism " played for the North Korean socialist regime and specifically how it uses concrete aspects of Confucianis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North Korean society, Confucianism was a feudal religion, but it was used as a " traditional ethic " that should be inherited by Confucianism. 2. North Korea has strengthened Confucianism’s universal Familism, secured the legitimacy of the system,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regime. 3. Kim Jong-il"s deification and idolization were creat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like the salvation of Confucian sage, as well as, It was possible under the Confucian social atmosphere that allowed an authoritarian regime to embrace authoritarian leaders. 4. The symbolism of Kim Jong-il"s " Kwangmyongsong(光明星) above Mount Baekdu " is a familiar metaphor for the introduction of a new king in Confucianism and Kim Jong-il"s hereditary succession is similar to the succession structure in the era of the Confucian Utopia, namely the era of Emperor Yao(堯) and Shun(舜). This study examines how practical morality and Confucian mythology relevant to the sage are being newly reorganized within the socialist framework and how the traditional religions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Fascism.

      • KCI등재

        북한도교의 전승과 재구성

        김윤경(Kim , Youn-gyeo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6

        21세기에도 여전히 냉전시대의 연장선에서 북한 관련 뉴스는 ‘핵무기’ ‘전쟁’ 등의 이미지로 소비되며, 국제사회에서 ‘깡패국가’ ‘전체주의국가’ ‘독재국가’로 규정된다. 북한이 개인의 다양한 정치적 목소리를 억압하고 표현할 수 없게 한다는 측면에서 위의 규정은 타당할 수 있다. 그러나 ‘깡패국가’와 같은 선정적 표현은 북한사회의 특수성을 배제하는 폭력적 표현이기도 하다. 한 국가’의 정치형태는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정의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내부적 요인보다는 외부적 요인 즉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 주변국가와의 역학 관계, 나아가 강대국들 간의 파워게임등의 요소가 주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에서 북한은 조롱과 ‘희화화’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신격화(神格化)이다. 북한의 삼대 세습은 ‘유교사회주의’로 명명되고 그 정치사회적 특징들이 다양하게 연구되었지만, 김일성 김정일 신격화의 도교적 요소는 지금까지 연구된 바가 없다. 대표적으로 김일성 전기에서 항일운동 시기 김일성은 다양한 도교적 능력을 갖춘 초인적 인간으로 묘사된다. 뛰어난 한 인간의 능력을 ‘도사’ 혹은 ‘신선(神仙)’의 능력으로 표현하는 것은 조선시대 고전 영웅소설 속 도교적 능력을 갖춘 비범한 인간의 묘사와 유사하다. 1980년 대 이후 김일성의 신격화과정에서 그는 도교적 메타포 안에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존재로 묘사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의 도교는 중세의 반동종교로 규정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너머에 있는 북한 도교의 실체에 다가가기 위해 다음의 4가지 도교측면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조선철학사와 교과서에서 규정하는 도교는 상층지배계급의 욕망을 반영하고, 신선사상 장생불사(長生不死)와 같은 종교적 특징은 봉건적 지배와 착취를 보장해 주는 반동적 사상이다. 둘째, 북한사회는 도교를 반동종교라고 하지만 도교의 외단(外丹)은 조선의 중세과학기술사에서 수용하고 있으며 내단(內丹) 수련법의 양생법(養生法)은 전통의학에서 계승되고 있다. 이러한 계승은 전통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나아가 강한 민족적 자부심으로 포장되는데 특히 미국 유엔의 경제제재로 인한 의료품 보급의 어려움을 전통의학을 통해 극복하려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북한의 동학과 대종교 연구는 주체사상의 확립이라는 목표 아래 민족주의를 고양시키는 민족종교로서 연구되고 있다. 민족고유의 사상에 대한 논의 확대를 위해 고유의 신선사상이 등장한다. 넷째 북한 권력은 조선도교 메타포의 친연성(親緣性)을 활용하여 권력세습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김일성 김정일과 관련된 도교신화를 새롭게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지점은 남북분단 후 북한의 민족주의가 열강 사이에서 체제유지를 위한 생존과 결사의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 요컨대 북한 도교는 주체사상의 확립이라는 목표 아래 ‘민족주의 강화’ 요소로서 변용되고 있는 것이다. 남북한의 전통 사상과 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비교연구는 평화담론 확대를 위한 하나의 주요한 교류 연구가 되기라고 생각한다. In the 21st century, North Korea-related news is saturated with terms such as “nuclear weapons” and “war” as a continuation of the Cold War era. North Korea is defined as a “gangster nation”, a totalitarian state, and a dictatorship. However, these are violent expressions, which ignore many aspects of North Korean society. The political form of a nation is hardly defined by a single expression or ideology. This misrepresentation can be blamed on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geopolitical importanc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dynamic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power struggle amongst powerful countries. These external factors are more influential on the world’s opinion of North Korea than any internal facto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 is portrayed as a ridiculous caricature, largely because of the deification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lthough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North Korea is called “Confucian Socialism” and its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the Daoist elements related to Kim Il Sung’s and Kim Jong Il’s divinity have never been studied. For example, Kim Il Sung is described as superhuman with diverse Daoist abilities like the magical ability to shorten distances during the anti-Japanese movement. Expressing a superior human ability with the power of ‘Daoist’ or ‘Sinsun(神仙)’ is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an extraordinary human being with Daoist abilities in the classical hero novel of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1980s, the process of the deification of Kim Il Sung has portrayed him as a transcendent person by employing Daoist metaphors. North Korea’s Daoism is defined as the reactionary religion of the Middle Age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four aspects of Daoism have been examined in order to approach the reality of North Korean Daoism beyond its sanctioned text. First, Daoism, as described in North Korea`s philosophy of history and textbooks, reflects the desire of the aristocratic level, and Daoist elements such as longevity and immortality are reactionary ideals that guarantee feudal rule and exploitation. Second, despite North Korean society referring to Daoism as a reactionary religion, the extra-alchemy of Daoism is accepted by the academic area of Joseon mediev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ultivation of the internal-alchemy is inherited by the field of traditional medicine. This succession is reflected in the glorification of tradition as a point of national pride. Especially, it seems that the state has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the lack of medical supplies by focusing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face of economic sanctions imposed by the by US and UN. Third, Donghak(東學) and Daejonggyo(大倧敎), as they are studied in North Korea, are examined as national religions used to strengthen nationalism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the ideals of Juche (主體思想). In order to expand the debate on the ideology of the nation, the state insists that Korean Daoism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Fourth, the North Korean state is producing new Daoist myths related to Kim Il Sung in order to secure the legitimacy of its hereditary succession by utilizing the affinity between Korean Daoist metaphors. This point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North Korea’s nationalism as a survival strategy employed in order to maintain their own system in the face of being surrounded by powerful countries after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South. In conclusion, North Korean Daoism is being transformed as an element of ‘nationalism’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the Juche ideology. At a point in time when North and South Korea need to make efforts based on the exchange of traditional ideas and peaceful discours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tudy of North Korean Daoism will only strengthen their mutual sensitivity.

      • KCI등재

        조선 전기 도가사상 연구 -심기리편(心氣理篇)과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도가"를 중심으로-

        김윤경 ( Youn Gyeo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3

        조선 도가사상 연구는 지금까지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다루어져 왔다. 조선시대 5권의 『노자』주석서와 2권의『장자』 주석서가 모두 임진왜란 이후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선전기의 도가사상 전개를 고찰하기 위한 1차 작업으로 개국초기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정도전의 「심기리편」과 『조선왕조실록』의 『태종실록』에서 임란 이전까지 200여년 간의 사료 안에서 도가 사상에 대한 언급을 발췌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정도전과 권근은 도가를 ‘도덕이 없는 양생술의 추구’로 비판하였다. 도교와 불교의 비판 위에서 성리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조선왕조실록에서 도가는 세 가지 단계로 變容된다. 첫째는 ‘노자’를 장생의 사술, 신선의 방술, 도교의 최고 신으로 환치시켜 이단시하고 배척하는 단계이다. 둘째는 1차적인 배척의 논의에서 벗어나 도가사상의 핵심으로서의『노자』와 ‘신선술’ 및 기복신앙의 대상이 되는 ‘도교 신’인 ‘노자’와 분리해서 보려는 단계이다. 셋째 3차 논의는 『노자』의 정치술과 처세술에 대한 존숭으로 드러난다. 즉 조선 전기 도가 사상은 건국초기에서 15~16세기에 이르기까지 초기의 강력한 벽도불에서 벗어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전개된다. 이러한 점은 조선 전기의 도가를 단순히 성리학의 도통관에 따른 이단논리로 해석할 수 없는 지점이다. 건국 초기의 벽이단론에서 도가에 대한 온정적 태도를 취하게 되고, 유학과 사상적으로 융합되는 처세술과 정치술을 수용하는 변화를 보인다. 즉 ‘老子’는 비도덕적인 長生不死의 탐욕을 가진 異端에서 유교국가의 처세술과 정치술로 수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은 조선 후기로 가면 道家書에 대한 적극적 해석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Until now, the studies researching the Taoism theories of Joseon Dynasty have mainly dealt around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The reason for that was because the 5 cribs of a book Lao Tzu and the 2 crib of a book Changzi were produced after the Imjin-Year Korean-Japanese War(壬辰倭亂,Imjin Waeran). Therefore this thesis extracted the mentions about Taoism from about 200-year history records from Jeong Do-Jeon`s Theory, which w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arly days of Joseon`s foundation and the history book King Taejong`s Annals(太宗實錄) contain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analyzed the extracted historic data as the first work contemplating how the Taoism theories were developed during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drew out the findings as follows. Jeong Do-Jeon and Gwon Geun sharply criticized the Taoism for that it pursued for the techniques of longevity for oneself without moral. They tri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neo-Confucianism on the foundation criticizing the Taoism and the Buddhism. Since then, the Taoism was transformed through the 3 stages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first stage was the stage transformed ‘Lao Tzu’ as the witchcraft master of long-live, the technique of the taoist hermit and the super god in Taoism, and regarded the Taoism as heresy and excluded the Taoism. Second stage was the stage trying to see the book Lao Tzu as the core of Taoism theory separately from the ‘Hermit Witchcraft’ and the ‘Taoist gods’ the target of fortune-pursue religion beyond from the primary discussion of exclusion. Third stage was revealed as the respects on the art of politics and the art of living described in the book Lao Tzu. That is, the Taoism theories in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was developed with various spectrums from the early days of Joseon`s foundation to 15~16 centuries beyond Joseon`s strong suppression against the Taoism and the Buddhism in early days. That is the point that the Taoism in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can`t be simply interpreted in the neo-Confucianism. During the firs half of Joseon Dynasty, the warm attitude toward the Taoism was created differently from the attitude against suppressing it as a cult, which had been created in the early days of Josen`s foundation, and there appeared the changes accepting the art of living and the art of politics theoretically integrating with the Confucianism theories. That is, the book ‘Lao Tus’ became accepted as the Confucian country`s arts of living and politics from a cult book pursuing for immoral log and immortal life. Such acception is revealed as the appearance actively interpreting the books about Laoism in the latter half o Joseon Dynasty.

      • KCI등재

        『老子想爾注』, ‘心’의 종교적 변모

        김윤경(Kim, Youn-Gyeong) 한국동양철학회 2012 동양철학 Vol.0 No.37

        道數에서는 인간의 육체를 ‘精,氣,神’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고 ‘心’도 ‘精, 氣,神’의 관계 속에서 규정한다. 이 때 ‘心’은 육체의 구성요소이면서, 동시에 수련의 주요 관문을 통과할 수 있는 필요조건이자,수련의 구체적 단계로 인식된다. 『노자』에서 ‘心”이 중심개념으로 논의된 것은 『老子 想爾住』부터라고 추측된다. 『노자』는 초간 『노자』,(Be 4세기)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약 600년 후인 東漢 말기(AD 2세기)에 ‘五斗米道’라는 초기 도교 집단에 의해 큰 변모를 하게 된다 이들의 경전인 『노자상이주』는 ‘心’에 세 가지 의미를 담았다 첫째『노자상이주』의 ‘心’은 ‘양생론’과 합치하여 수련 금융의 극대화를 위해 강조되었다 둘째, ‘心’이 수련단계로 제시된다. 인간의 ‘정’과 ‘기’를 지켜내면 저절로 ‘閒心’이라는 수련 단계에 이르게 된다고 말한다. 셋째 『노자상이주』의 ‘心’은 수련자의 경지를 드러내는 표현이다 『노자 상이주』에서는 神心이 합일 되어야 精을 보존해서 쾌락에 빠지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 ‘心通이라는 최고의 경지를 표현하였다. 다만 이 때 ‘心’은 우주론 혹은 본체론의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지 않는다. 『노자상이주』는 『노자』 경문의 개조와 재해석을 통해 초기 도교의 양생의 논리를 ‘心’과 관련하여 체계화 시켰다. Taoism regards the human body as consisting of the components such as‘Jeong (material), Qi (energy), Sin (mental activity)’ and defines ‘mind’ in relation of ‘Jeong, Qi, Sin’. At this time, ‘mind’ is the constituent element of the body and is recognized as a necessary condition which can pass through the main gate of training and a specific step of training at the same time. It is guessed that from『Nojasangiju』, ‘mind’ was discussed as the central concept in『Lao-tzu』. Based on the first edition of『Lao-tzu』(BC 4<sup>th</sup> century),『Lao-tzu』was significantly changed by the early Taoist group called ‘Ohdumido’ in the late of Dong Han (Eastern Han) (AD 2<sup>nd</sup> century), after approximately 600 years.『Nojasangiju』, the sculpture of them, contained three kinds of meaning in ‘mind’. First, being consistent with ‘Yangsheng Theory (nourishing life theory)’, ‘mind’ of『Nojasangiju』was emphasized in order to maximize training discipline. Second, ‘mind’ is presented as a training step. It is said that defending human ‘Jeong’ and ‘Qi’ naturally leads us to a training phase called ‘Pyesim (closed mind)’. Third, ‘mind’ of『Nojasangiju』is an expression revealing the state of a practitioner.『Nojasangiju』argued that when Sin and mind are united, one cannot fall into pleasure by preserving Jeong. It also expressed the highest state called ‘Simtong (mind consolidation)’. But, at this time, ‘mind’ does not extend to the realm of cosmology or ontology. Through reorganization and reinterpretation of『Lao-tzu』text『Nojasangiju』systemized the logic of Yangsheng of early Taoism with respect to ‘mind’

      • KCI등재

        모리스 꾸랑의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eenne)』에 수록된 도교경전 연구

        김윤경 ( Youn Gyeo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본 연구는 모리스꾸랑의『한국서지』 ‘도교’ 관련 해제들에 대한 고찰이다. 모리스꾸랑은 전임공사인 쁠랑시의 조언과, 한학에 능한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3000종이 넘는 도서들을 수집하여 『한국서지』(1896)를 집필하였다. 모리스꾸랑은 도교관련 경전들을 분류하면서 ‘경서류’, ‘관성제군·문창제군·부우 제군에 대한 숭배의식’, ‘기타’의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모리스꾸랑의 『한국서지』에 담긴 도교 부분은 다음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19세기 말 관제신앙의 유행과 삼성신앙의 확대이다. 그의 도교서지는 대부분 19세기 말 조직화 되었고, 삼성신앙을 기반으로 하는 ‘무상단’에서 출판한 책들을 중점으로 다루었다. 둘째 모리스꾸랑이 자생적인 도교경전을 찾으려 노력했다는 점이다. 그는 한글본『도덕경』을 찾으려 노력했고, 한국에서 새롭게 만들어 진 ‘조선난서’인 『문창제군몽수비장경(文昌帝君夢授秘藏經)』 등을 다루었다. 셋째 그의 연구를 통해 당대의 도교의 지형도를 살필 수 있다는 점이다. 그가 살던 시기, 관묘를 중심으로 하는 도교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고, 최초의 도교교단이었던 ‘무상단’이 조직적으로 활동했으며, 『번석자문(飜惜字文) 』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적 사회실천 모임이 있었다는 것을 살필 수 있었다. 1890년대 조선은 열강사이에서 나라의 주권을 잃어가고 있는 시기였다. 이러한 시기 왜 대량의 민간도교경전이 간행되고, 사회의 지도층까지도 삼성신앙을 가졌던 것인가? 이러한 지도층의 태도를 선교사들은 ‘무당들과 주술사들이 이 나라를 그리고 지배자들까지를 지배하고 있으며, 고종이 역술 가에게 포위된 채 생활하였다’라고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민간도교에 기반한 ‘대종교’는 항일운동의 구심점이 되기도 하였다. 아직 까지도 조선후기 난서의 유행과 삼성신앙에 기반한 민간도교의 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1890년대 초 조선을 다녀가『한국서지』를 남긴 모리스꾸랑을 연구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ere are two ways of viewing the Taoism of the Joseon dynasty. One is to view it from the point of view in Joseon, another is to view it from the outside of Joseon, i.e. foreigners`` point of view. Maurice Courant(maurice courant,1865~1935)``s Bibliographie Coreenne is the Korean first bibliography(書誌) recorded from the latter``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examined the Taoist scripture in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Maurice Courant classified the Taoist scripture of the Joseon into three: ``1. Sacred books(經書類)’, ‘2. Worship of Gwanseongjegun(關聖帝君), Munchangjegun(文昌帝君), Buwoojegun (孚佑帝君)’, ‘3. Various works’. Through this category, it was determined that the belief in three gods (Gwanseongjegun· Munchangjegun· Buwoojegun) was widely prevalent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chapter 1, he composed the books of representative Taoist scripture as Lao-tzu and Chuang-tzu, ``God(太上)’, and ‘King of heaven(九天上帝)’. Maurice Courant determined in chapter 2 that 1890s`` Joseon Gwanwoo (關帝) belief was activated, and mentioned ``Musangdan(無相壇)``, namely, Joseon``s first religious organization. However, he could not determine that the scriptures relevant to three gods were recorded to be divine revelations uttered by gods. 19th century``s ``Musangdan`` was not introduced by being imported with Chinese Taoist scripture, but was published with the Joseon Taoist scripture through Gangpil(降筆: recording divine revelations uttered by gods). Also, through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the point that ``belief in three gods`` was prevalent in the social leader group during that period could be determined. The reason how such research could be possible seems, because Maurice Courant had Korean assistants who were good at Chinese classics. In chapter 3, Maurice Courant arranged the books based on Taoist ethic and the scriptures on Taoist social practical movemen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aoism bibliographies included in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first, it could be determined that belief based on the three gods(三聖信仰) was prevalent during the 19th century, second, there were lots of the Taoist scriptures made in the late Joseon, third, the first Taoist religious organization and Taoist social movement form could be investigated.

      • KCI등재

        도가의 유토피아 - 조선후기 및 일제강점기, `소국과민`과 `무하유지향`에 대한 이해 -

        김윤경 ( Youn Gyeong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7 東洋哲學硏究 Vol.89 No.-

        이 논문은 `도가`의 이상향에 대한 고찰이다. 『노자』의 대표적 이상향이 `소국과민(小國寡民)`이라면, 『장자』의 대표적 이상향은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이다. 『노자』와 『장자』는 오늘 날에도 여전히 새롭게 해석되는 고전으로 자리하고 있고, 도가의 유토피아에 대한 논의들은 오늘 날에도 유효한 담론들을 담고 있다. 노자는 2000년의 시간 동안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불교가 융성하던 시대에는 불교의 사유로 해석되었고, 도교가 융성하던 시대에는 도교의 논리로 해석되었으며, 성리학이 융성하던 시기에는 성리학으로 이해되어 왔다. 오늘 날 서구에서 노자는 다양한 처세술로 읽혀진다. Living the Wisdom of the Tao(2008) 같은 저서들은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현재 『노자』가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를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소국과민`과 `무하유지향`의 원론적 의미들을 살펴보고, 이 두 개념들이 조선후기와 일제강점기(20세기 초)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자』의 `소국과민`은 전쟁이 격화되었던 전국 말기에 등장하여 정치제도를 비판하고 치세의 대안을 말한다면, 『장자』의 `무하유지향`은 `무명인(無名人)` 즉 약자의 입을 통해 냉혹한 현실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이상사회`를 말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소국과민`을 요순의 태평시대로 이해하고, 위정자 혹은 개인의 `질박함`의 회복이라는 유학적 내적성찰의 단계에서 이해하였다. 그리고 `무하유지향`은 현실도피 혹은 세속의 욕심을 버리고 도달하는 이상향, 즉 무릉도원과 같은 관용표현으로 이해하였다. 셋째, 일제강점기 `소국과민`은 기존의 문물과 제도를 혁파하려는 무정부주의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무하유지향`은 서구의 `유토피아`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용어로서 대체되기도 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concepts of Taoist Utopia developed during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ee key will be examined in this study: Firstly, Sogukgwamin小國寡民[Small Government and Small People], namely, Laozi`s Utopia, it was appeared to be a critical aspect of the political system and an alternative political theory for the aristocratic level at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戰國時代) while Muhayujihyang無何有之鄕describes the ideal socity which can be survived through brutal wars for the individual level. Secondly, Joseon Confucianists understood Sogukgwamin小國寡民to the Period of emperors Yao and Shun(堯舜) as one of the Confucian Utopias and described to regain a Sobak朴[Primitive simplicity] based on the level of Confucian meditations. As well as, they understood that Muhayujihyang無何有之鄕is an ideal world such as Mureungdowon武陵桃源, an idiomatic expression of Taoist Utopia. Thirdl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gukgwamin小國寡民tend to be interpreted in anarchism, Muhayujihyang無何有之鄕was also replaced by one term to understand Western Utopia.

      • KCI등재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김윤경 ( Youn Gyeo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5

        본 연구는 조선후기 민간도교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해 왔는가를 고찰하고, 민간도교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논구 하려는 것이다. 조선 후기 관제신앙이 관우를 중심으로 하는 민간신앙이라면, 선음즐교(묘련사)와 무상단은 조직을 갖춘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妙蓮社)의 경우 ``善陰즐``은 『書經·周書』의 洪範傳에서 유래한 유학의 천관을 담고 있지만 수행의 방법으로는 보살성호(예-관세음보살)를 주문으로 수행하고, 신앙의 대상은 三聖(관제, 문창, 부우)이다. 이러한 점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삼교합일적 현상을 보여준다. 임란 이후 왕실의 주도로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되었던 관제신앙은 민간에서 확고히 자리 잡게 된다. 조선 후기 關帝는 충과 효의 화신이면서 유 불 도의 삼교 교권을 집장하며, 생사 죄과 명운을 관장하는 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신의 위력과 가피력이 민간에 경전으로 유포되면서 관제신앙은 벽사와 구복의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선음즐교 ``묘련사``는 명청대 ``白蓮社``를 모방한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는 염불을 통한 신과의 ``感應``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종교적 엑시터시(ecstasy)의 상태에서의 降筆을 飛鸞으로 표현하였다. 飛鸞이란 扶鸞扶계라고도 하는데, 종교결사에서 경전을 만드는 방법으로,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의 강필을 의미한다. 선음즐교는 부주수행을 통해 신과의 합일 상태를 추구하였으며,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 강필한 경전을 교단의 중심 교리로 삼았다. 선음즐교의 난서 『濟衆甘露』의 서문을 장식한 여순양이 강림한 곳이 ``無相壇``이다. 무상단은 徐珽, 丁鶴九, 劉雲, 崔星煥이 주축이 된 독립된 교파로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의 三聖帝君을 숭배하면서 鸞書와 善書를 편찬하고 간행 보급하였다. 조선후기 민간도교 경전은 크게는 鸞書와 善書로 구분할 수 있다. 鸞書는 飛鸞時의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 강필서이고, 善書는 『태상감응편』과 『공과격』같은 선행의 표준을 보여주고 권면하기 위한 책이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이유로 지어진 관묘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관제신앙은 구복과 벽사의 대상으로 민간에 널리 확산되었다. 둘째 조선 후기에는 묘련사와 무상단이라는 구체적인 민간도교단체가 등장했다. 이들은 ``감응``을 통한 靈性의 고양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 鸞壇道敎였다. 셋째 조선의 민간도교는 청대 민간도교의 유불도 합일과 종교결사의 조직형태 난단도교 등의 영향을 받았다. 넷째 조선의 민간도교 경전은 鸞書와 善書로 구분되는데, 조선에서 직접 만들어진 鸞書는 민간도교의 특징을 밝혀 줄 열쇠가 되리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in what form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has existed and discus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aspects forming the foundation of private Taoism. While Guan Yu Belief(關帝信仰)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is a folk belief focusing on Guan Yu, Seoneumjeulgyo(善陰즐敎) and Musangdan(無相壇) are religious groups with organization. In case of Seoneumjeulgyo(善陰즐敎), ``Seoneumjeul`` contains perspective of Tian(天觀) of Confucianism but the ascetic practice method is to practice by reciting the name of the Buddha and the targets of a belief are Gwanje, Munchang, Buwoo. This shows the unified phenomenon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Guan Yu Belief started at the national level led by the royal family of Chos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firmly settled in non-official circles. Guan Yu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is expressed as the incarnation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s well as God controlling life, death and fate. As this divine power and empowerment were spreading as scriptures among people, Guan Yu Belief was settled as a target to defeat the evil and invoke a blessing. Seoneumjeulgyo is the religious group that imitated ``Paekryunsa(白蓮社)`` of Ming Qing time of China. Seoneumjeulgyo emphasized ``sympathy`` with God through chanting. And it expressed writing written in the state of religious ecstasy as ``Binan(飛鸞)``. Binan is also called as revelation and means to be revealed from heaven in the state united with God. Seoneumjeulgyo pursued the state united with God through a recitation of a spell and made scriptures written in the state united with God as its central doctrine. Musangdan published and spread Nanseo(鸞書, Book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and Seonso(善書) while worshipping Sam Sung Je Kun(三聖帝君). The scriptures of Folk Taoism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Nanseo(鸞書) and Seonso(善書). Nanseo is a book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and Seonso is a book to the standards of good deeds and encourage a person to do them such as Taishangganyingbian(太上感應篇) and Gonghwagyuk(功過格).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a shrine of Guan Yu built for political reasons played a central role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Second, specific private Taoist groups such as Temple Myoryonsa and Musangdan appeared in the late of Choson Dynasty. These are Nandan Taoism(鸞壇道敎) that pursued the unity of God through ``sympathy`` with God. Third, private Taoism of Choson was influenced by the unity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with private Taoism in the Qing Dynasty of China and religious organization form etc. Fourth, the Folk Taoism scriptures of Choson are divided into Nanseo and Seonso and Nanseo directly made in Choson is expected to be the ke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oism.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시대 『노자(老子)』 주석서에서 "인의(仁義)"와 "사(私)" 개념의 전개

        김윤경 ( Youn Gyeo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1

        조선시대 『노자』 주석의 특징은 ``유학자의 노자 읽기(以儒釋老)``로 대표된다. 그러나 조선사상사 안에서 『노자』 주석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기 위해서는 좀 더 미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학과 대립되는 『노자』의 ``仁을 끊고 義를 버린다(絶仁棄義)``, ``성인은 어질지 않다(聖人不仁)`` 등의 사유가 5종의 『노자』 주석서에서 어떻게 해석되는가를 살피고, 나아가 시대에 따른 해석의 변화과정에 주목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仁義``는 당대 사회의 윤리적 표지이며, 모두가 따라야 할 공동체의 선이었다. 이이·박세당·홍석주가 『노자』 텍스트 상의 ``仁義`` 부정에 대해 儒者의 입장에서 비판하거나, ``仁義``를 적극 변호한다면, 서명응과 이충익에 이르면 ``仁義``는 ``공공선``의 위상에서 벗어나, 판단 주체의 도덕적 자각이 요구되는 도덕률로 언급된다. 또한 율곡과 홍석주가 ``天理의 公``으로서의 ``仁義``의 추구가 ``無私``라고 본다면, 이충익에게서 ``無私``란 개체의 이익을 위해 仁義를 따르는 것을 반성해야 되는 상태이다. 이 때 반성의 주체는 사회공동체가 아닌 개인이다. 요컨대 조선시대 『老子』 주석사 안에서 ``도덕률``에 대한 인식변화는, 天理의 당위성이 강조되는 중세시기에서 근대로 넘어가면서, ``공동체의 善``이 해체되는 과정을 보여 준다. 이 안에서 개인은 도덕률의 순종자에서 도덕률의 판단 주체로 변모하였다. 서명응 이충익의 이러한 새로운 시도에는 18세기 정치 이데올로기화 된 정주학에 대한 반성과 극복의 과정이 투영되어 있다. In this paper we show how the perception of heavenly principle(天理) and definition of individual desires(私慾) in the five commentaries on Daodejing(道德經) was changed over time. The five commentaries on Daodejing(道德經) composed during Choson are ``Sooneon(醇言) by Lee, Yul-gock (李珥, 1536∼1584), ``SinJoo-DoDuckKyung (新註道德經) - or New Commentary on Daodejing(道德經) - by Park, Se-dang(朴世堂, 1629∼1703), ``Dodukjigi(道德指歸)`` by Suh, Myoung-euing(徐命膺, 1716∼1787), ``Chowondamro (椒園談老)`` by Lee, Chung-ik(李忠翊, 1744∼1816), and ``Jungro(訂老)`` by Hong, Suk-joo (洪奭周, 1774∼1842). The course of history in understanding the book, "Daodejing(道德經)," demonstrated that by the late of Chos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the notion of ``the moral law for the community`` has changed. Neither Suh, Myoung-euing nor Lee, Chung-ik emphasized ``the necessity for the truth of the heavens.`` Instead, they focused more on the ``individuals`` who followed the moral law than the moral law itself. They did not see the individual desire as the object that had to be discarded. Within the context of this framework, the individual`s role had changed from the person who had to be obedient to the law to the subject who judged the moral law all by him/herself. This process of breaking up ``the goodness of the community`` led the Choson Dynasty of the 18th century in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In other words, it was the time when the introspection of the ``moral law`` prevailed in the Choson Dynasty occurred naturally and spontaneously among the Confucian scholars, which implied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self-awareness`` or ``the point of view on the individual`s self-desire`` was occurred in the context of academic development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 KCI등재

        『장자』의 ‘몸’ ‘장애’ 그리고 자유 ― 『장자』 「덕충부」를 중심으로 ―

        김윤경 ( Kim Youn-gy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0 No.71

        『장자』 안에서 몸에 관한 담론은 크게는 장애와 신체의 기형과 자유와의 관계 그리고 신선으로 대표되는 완벽한 신체와 최고의 정신 경지를 논한 것이 있었다. 이 논문은 온전히 하나의 장이 신체적 장애와 기형을 바라보는 관점으로 가득 차 있는 『장자』의 ‘덕충부(德充符)’를 중심으로 ‘장애’와 ‘몸의 기형’에 관한 시각과 자유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장자의 「덕충부」는 장애와 기형 관련하여 세 가지 관점을 보여준다. 첫째 『장자』의 「덕충부」는 사회적 편견에 기반 한 장애에 대한 ‘혐오’ 문제를 비판한다. 둘째는 『장자』 속 장애인은 자신의 ‘장애’를 신체적 결함으로 부정 인식 하지 않으며, 장애를 평등의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덕’의 힘에 대해 논의한다. 셋째 『장자』는 ‘장애’가 아닌 인간 내면의 온전한 덕을 보는 관점을 통해 세상의 상대적 가치세계로부터 해방되는 경험을 이야기 한다. 이 때 장애의 문제는 인간이면 누구나 당면해야할 ‘질병’과 ‘노화’ ‘죽음’의 보편적 문제로 확장되며, 이의 극복을 통한 인간의 자유를 논한다. 나아가 장애의 문제를 국가와 위계질서에 의한 억압의 관점에서도 바라보며, 육체에 대한 인식 해방을 통한 자유를 말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active meaning of 'disability' and 'liberty' in the Zhuangzi. Chapter 5 Deokchungbu(德充符), Symbols of Integrity Fulfilled) of the Zhuangzi not only has a variety of insights on a chapter but also presents alternative perspectives on disabilities and discrimination. Chapter 5 Deokchungbu(德充符) shows three perspectives concerning disabilities. First, 'Deokchungbu' consisting of stories and anecdotes criticizes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for 'disability' based on social prejudice. Second, the disabled people who have main roles in 'Deokchungbu' discuss the power of 'virtue(德)', as well as they do not realize their disability as a physical defect, furthermore to view disability from the perspective based on equality. Third, the Zhuangzi emphasizes an experience of a human being liberated from the world of relative valu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seeing the internal virtue(德) within a human being rather than a 'disability'. At this time, the problem of disability expands the universal problems of 'disease', 'aging' and 'death' to which every human being must face, and discusses human liberty through overcoming them. Furthermore, it deals with the problem of disabi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oppression by the state and hierarchy and refers to it as the liberation of awareness of the body.

      • KCI등재

        고구려 고분 벽화와 금단(金丹) 도교의 세계관 - 오회분4호묘와 강서대묘를 중심으로 -

        김윤경(Kim, Youn-gyeo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20 사회와 철학 Vol.0 No.39

        5세기 고구려 고분 벽화 속 신선과 도교의 상징물은 7세기 도교가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다는 가설을 반박한다. 사실 도교가 가지고 있는 토테미즘 샤머니즘적 특징, 산에 제사를 드리며 복을 구하는 무속적 특징, 장생불사에 대한 욕망 등은 동아시아의 보편적 사유이다. 본 논문은 ‘고구려 고분벽화’ 속 ‘약사발’의 상징과 오회분 4호묘와 강서대묘에 등장하는 ‘황룡(黃龍)’의 의미를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에 저술된 것으로 추측되는 발해 도교 문헌 『금액환단백문결(金液還丹百問訣)』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구려 고분벽화 속의 약사발은 수은과 납의 결합을 통해서 만들어진 약물을 담는 도구를 상징한다. 둘째, 오회분 4호묘(7세기)와 강서대묘(6세기 말 7세기 초)의 황룡은 ‘외단’인 ‘금단’이며, 사신도는 금단의 재료인 ‘수은’과 ‘납’을 상징하고, 금단이 완성되는 법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금단도교의 세계관을 표현한 것은 수은과 납의 결합이 혼과 백의 결합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며, 이것은 죽음 뒤에라도 불사의 신선이 되기를 희구한 것이다. 넷째, 6-7세기, 동아시아의 지배계층에서 불사의 꿈을 실현하고자 했던 사회적 열풍이 있었고, 그 열망이 고구려 고분 벽화 속에 투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Goguryeo tomb murals from the 5th Century portraying Daoist immortals and Daoist symbols are evidence which rebut the assumption that Daoism came from China in the 7th Century. In truth,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are widely held general ideas throughout East Asian religious thought, such as those of totemism and shamanism. They can be found in Korean shamanism (musok) in the ritual ceremonies performed to mountains and in the praying for luck, among others, which indicate the desire for immortality.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aidan Daoism(外丹道敎) in Goguryeo tomb murals. First, I consid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mbol of Daoist alchemy bowls in Goguryeo tomb murals and Waidan Daoism. Second, I consider the symbolic meaning of the Gold Dragon(黃龍) painted in Kangso Three Tombs, a major controversy in the interpretation of Goguryeo tomb murals. Between the 6th and 7th Centuries, Goguryeo tomb murals expressed the world view of Waidan Daoism as follows. The royal class in Goguryeo tried to fulfill their desire of immortality through Jindan (金丹, golden elixir). They wanted to attain immortality by taking a potion, which was a mixture of mercury and lead. They believed that they could enter into the world of Daoist immortals in the afterlife. This study will offer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of Korean Daoism between the 6th and 7th Cent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