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밀 임상도를 이용한 1:5,000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구축 가능성 검토

        김유훈 ( Yu Hoon Kim ),최재용 ( Jaeyong Choi ),윤정호 ( Jeong Ho Yoon ),오석 ( Oh Seok Kim ),근한 ( Geunhan Kim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1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1:5,000 스케일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작 필요성이 재기됨에 따라 2013년 보령시를 시작으로 1:5,000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1:5,000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8개 환경생태적평가 항목 중 ‘자연성’ 및 ‘군집구조의 안정성’은 지자체에서 구축하고 있는 도시생태현황지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시생태현황지도는 전국 230여 지자체중 88곳에서만 제작되어 있어, 도시생태현황지도가 없는 142개 지자체의 1:5,000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구축을 위한 ‘자연성’ 및 ‘군집구조의 안정성’의 대체 평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 항목 중 ‘자연성’ 및 ‘군집구조의 안정성’을 1:25,000의 5차 임상도, 1:5,000의 도시생태현황지도의 현존 생도, 1:5,000의 정밀 임상도를 이용하여 구축해보고 해당 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정밀 임상도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했다. 1:5,000의 현존식생도를 이용한 ‘자연성’, ‘군집구조의 안정성’ 평가 결과와 1:5,000의 정밀 임상도를 이용한 ‘자연성’, ‘군집구조의 안정성’ 평가 결과의 등급 변화를 비교한 결과 평가 등급이 동일한 지역은 44.99%와 58.77%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등급이 다르게 나타난 지역들을 살펴본 결과 현존식생도에서 비 식생 지역으로 분류되어 평가에 미 반영되었으나, 정밀 임상도에서는 산림 지역으로 구분되어 신규로 평가된 지역이 있었다. 그리고 현존식생도에서 식생 지역으로 구분되어 평가에 이용되었지만, 정밀 임상도에서는 비 산림지역으로 구분되어 평가에 미 반영되는 지역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에 대해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한 평가를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리고 현존식생도와 정밀 임상도를 이용한 평가 결과 등급이 다르게 나타난 지역들이 있었다. 이 지역들은 1:25,000의 5차 임상도를 이용한 평가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평가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평가 결과의 비교를 통해 검토한 결과 현재 현존식생도를 이용한 1:5,000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자연성’, ‘군집구조의 안정성’ 평가 항목은 정밀 임상도를 이용한 평가 항목으로 대체하여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necessity of producing 1:5,000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has increased especially in fields of national land and environmental planning, 1:5,000 ECVAM has been established starting from Boryeong city in 2013. Among the 8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items consisting ECVAM, ‘Naturalness’ and ‘Stability’ are based on the Biotope map created by each local governments. However, only 88 out of 230 local government have constructed the Biotope map, urging an alternative assessment approach for the rest 142 local governments to assess ‘Naturalness’ and ‘Stability’ of 1:5,000 ECVAM.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1:5,000 precise forest type map by comparing results using 1:25,000 5th forest type map, 1:5,000 actual vegetation map of Biotope Map, and 1:5,000 Precise Forest Type Map as an alternative layer in assessing ‘Naturalness’ and ‘Stability’ of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ult of ‘Naturalness’ and ‘Stability’ using 1:5,000 actual vegetation map and 1:5,000 precise forest type map, the area remaining the same assessment grade occupied 44.99% and 58.77%, respectively. Areas showing differences in grades were because it resulted with either forest areas and non-vegetation area or vegetation area and non forest area. To assess such areas, we suggested to apply the high-level land cover classification. Areas showing difference in grades between results using actual vegetation map and precise forest type map, the applicability were review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using the 1:25,000 5th forest type map. Through the comparison of assessment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precise forest type map is suitable for an alternative of biotope map in assessing the ‘Naturalness’ and ‘Stability’.

      • KCI등재

        도시관리자와 여론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 강서지역 특수학교 설립 과정을 사례로

        김유훈 ( Yoohoon Kim ),박희태 ( Hee Tae Park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도시공간 내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주는 도시관리자와 여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리주의 도시이론 개념을 서울시의 한 사례지역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제 도입 등 사회의 전반적인 민주화 이후 성장한 여론은 다양한 경로와 방법을 이용하여 정책 관련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주체가 되었다. 둘째, 도시관리자들은 그들의 지위와 직(職)을 수행할 수 있는 권능이 여론에서 나온 것임을 인식하고 도시자원을 배분함에 있어서 여론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도시자원 배분과정을 통해서 ‘비(非)도시관리자’의 적극적 개입이 가능해졌고, ‘비(非)도시관리자’에 의한 ‘간접적 도시관리행위’가 실현될 수 있었다. 셋째, 도시관리자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여론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으며, 그들에게 합법적인 권한을 위임한 여론을 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즉 도시관리자들은 정체성과 자율성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여론을 고려하며, 이에 따라 그들이 선택한 도시자원의 배분 방식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른 나라에 비하여 특수성을 지닌 시·도 교육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리주의 도시이론을 현재 우리나라에 적용시켜 도시관리자들의 정체성에 따른 분화과정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pplied the concept of urban managerialism to a case area in Seoul to learn the interaction between urban managers and public opinion that affec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cit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 opinion that has grown since the democratization, such as the introduction of direct election, has become a subject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policy decisions using various routes and methods. Second, urban managers recognize that their status and power to perform their role and duties are attributed to public opinion. It influences the allocation of urban resources. This enables non-urban managers to interact with process of distributing urban resources, so ‘indirect urban management acting’ by ‘non-urban managers’ can be realized. Third, urban managers are considering public opin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ut they give priority public opinion that delegated legal authority to themselves. In other words, urban managers consider public opin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identity and autonomy, and the distribution method of urban resources they choose is also differ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applied urban managerialism to our nation at present to identify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urban managers’ identity and it was conducted to analyz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that has speci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 KCI등재

        신도시 특성과 거주경험에 따른 신도시 이주자들의 주거이동 성향

        김유훈 ( Yoohoon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6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수도권 2기 신도시 형성 이후 나타나는 2기 신도시로의 주거이동 성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기 신도시들의 특성과 이주자들의 거주경험이 2기 신도시로의 주거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지역인 2기 신도시들은 서울 및 1기 신도시와의 연계성에 따라 독립적인 경우와 서울 의존적인 경우, 1기 신도시 의존적인 경우로 구분되었다. 둘째, 2기 신도시로의 이주성향은 2기 신도시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독립적인 경우는 접근성에, 서울 의존적인 경우는 사회적 요인에, 1기 신도시 의존적인 경우는 경제적 요인에 주목하는 성향이 강하였다. 셋째, 2기 신도시로의 이주성향은 이주자들의 거주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전 거주지에서의 거주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신도시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거주환경을 중요시하는 성향이 강하였다. 이는 신도시 건설에 따른 인구이동 현상을 주택공급과 주거수요의 관계로만 볼 것이 아니라, 지역적 맥락과 행위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접근하는 등 다양한 차원에서 고려해야 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characteristics of second new-towns and residential experience of the residents influenced relocation toward second new-town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relocation tend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econd new-towns are categorized into three cases according to the connectivity between Seoul or first new-towns and them. One is independent, another is dependent on Seoul, and the other is dependent on a first new-town. Secondly, the relocation tendencies toward second new-town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 newtowns. While those who relocate to the independent case pay more attention to accessibility, those who relocate to the dependent case on Seoul pay more attention to social factors. And those who relocate to the dependent case on a first new-town pay more attention to economic factors. Thirdly, the relocation tendencies toward second new-town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experience of the residents. Those who have longer time at the previous habitation and had lived in the first new-towns pay more attention to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suggests that attention to other sides of the demand and supply of housing is recommended to properly comprehend the phenomen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new-towns.

      • KCI등재

        프러시안블루가 함침된 일라이트 기반 흡착제의 합성과 용존 방사성 세슘(<SUP>137</SUP>Cs)의 흡착 평가

        솔(Sol Kim),강성원(Sung-won Kang),복성(Bok-seong Kim),오대민(Dae-min Oh),영석(Youngsug Kim),정윤선(Yoon-suhn Chung),유훈(Yuhoon Hwang),위효빈(Hyobin Wei)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1

        Prussian blue (PB)는 세슘에 대하여 선택적이고 높은 흡착특성을 가지지만, 흡착 후 회수가 어려우며 2차적인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지체인 분말 일라이트에 PB의 안정적인 고정화를 위하여 acrylic acid (AA)를 가교물질로 사용하여 분말 일라이트의 표면을 개질한 소재(AA-illte)에 안정적으로 PB가 고정된 흡착제(AA-illte-PB)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AA-illte-PB의 XRD 및 FT-IR 분석결과에서 일반적으로 PB의 특성을 나타내는 피크들이 관찰됨으로써 PB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흡착제의 고분자와 PB 함유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TGA 분석 실시하였다. 또한 SEM (EDS)분석을 통해 AA-illte 표면에 AA가 효과적으로 합성되었다고 판단하였다. 합성된 AA-illte 표면에 다량의 PB를 고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NaCl을 이용한 전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합성한 AA-illte-PB의 세슘흡착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NaCl 전처리를 수행한 AA-illte-PB의 경우 세슘 최대흡착량은 5.09 mg/g로 나타났으며, NaCl 전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AA-illte-PB의 세슘 최대흡착량은 2.01 mg/g로 나타났다. 또한 <SUP>137</SUP>Cs 표준선원용액을 이용한 흡착실험 결과 NaCl 전처리를 수행한 AA-illte-PB의 경우 99%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NaCl 전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AA-illte-PB의 경우 88%의 방사성 세슘 제거효율을 보여 NaCl 전처리를 수행한 AA-illte-PB가 세슘흡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AA-illte의 표면의 PB의 탈착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UV-vis 분석을 수행하였다. Acrylic acid 처리 없이 PB를 일라이트에 부착한 소재(illite-PB)의 경우 5회에 걸친 세척시 다량의 PB가 탈착되었으며, AA-illte-PB의 경우 최초 1회 세척시 소량의 PB가 탈착된 후 탈착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중의 Cs을 제거하기 위한 PB가 안정적으로 고정화된 흡착제가 개발되었다. Prussian blue (PB) is a selective and highly adsorptive material for cesium.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over after adsorption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study, the surface of illite powder was modified by using acrylic acid (AA) as a crosslinking agent for stable fixation of PB to illite powder. The aim of this study was development of adsorbent with stabilized PB at illite using AA (AA-illte-PB). In XRD analysis and FT-IR analysis results of AA-illte-PB, PB characteristic peak was founded. Those results show presence of PB in AA-illte-PB. TGA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polymer and PB content of the adsorbent. It was judged that AA was effectively synthesized on the surface of illite modified with AA (AA-illte) through the SEM (EDS) analysis. The PB adsorption performance of AA-illte-PB was evaluated after pretreatment of NaCl for immobilization of PB on AA-illte surface. In the case of AA-illte-PB pretreated with NaCl,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 of cesium was 5.09 mg/g and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 of cesium in AA-illte-PB without NaCl pretreatment was 2.01 mg/g. Also, results of cesium adsorption analysis using <SUP>137</SUP>Cs standard source solution showed 99% removal rate for AA-illte-PB pretreated with NaCl and 88% for AA-illte-PB un-pretreated with NaCl. The efficiency of AA-illte-PB pretreated with NaCl found to be effective for cesium adsorption. UV-vis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sorbeed PB during washing. Illite attached with PB without AA (illite-PB) was detached from a large amount of PB through 5 washes. AA-illte-PB showed a small amount of PB desorbed by the first wash. As a result, an adsorbent with stable PB immobilization was developed.

      • KCI등재

        환경친화적 풍력단지 평가체계 구축을 통한 입지선정 및 잠재량 분석

        은영 ( Eun Young Kim ),전성우 ( Seong Woo Jeon ),김유훈 ( Yu Hoon Kim ),이정원 ( Jung Won Lee ),송원경 ( Won Kyong Song ),현구 ( Hyun Goo Kim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4

        Wind power which is one of renewable energies is higher economical efficiency and technical maturity than other renewable energies. Recently, the government of ROK announc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through the National Energy Plan. Also, industry required to deregulate for large-scale wind power a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is introduced. Wind power whereas the eco-friendly energy, is a serious level of dama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opography when the wind power is located. Therefore, the study selected the indicators required for site selection of wind power and proposed the feasible area for wind power based on wind resource map. We selected the 15 indicators including 12 legal protected area, Ecology and Nature Map, rarity, and connectivity (National Ecological Network). After site selection, we should be considered slope and altitude at the stage of design for wind farm to mitigate the environmental impact.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22.3% of wind resource map is available to locate wind power in real. Through the field survey we had verified the accuracy of the results was significantly corr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