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타자화(打字化)된 문자의 발화성(發話性) 획득이 갖는 의미

        김우필 ( U Pil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구술문화는 개연성, 첨가성, 상황성을 바탕으로 기억정보를 짜깁기하는 스토리텔링 문화다. 반면 문자문화는 인과성, 선형성, 체계성을 바탕으로 기억정보를 해석하는 내러티브 문화다. 그런데 인쇄매체가 기술적 매체와 결합하면서 문자문화에 청각성이 부각되었고, 문자문화와 구술문화 사이에 트랜스미디어 현상이 나타나면서 제2의 구술문화가 등장했다. 특히 디지털미디어는 문자언어의 기록-저장-소통방식에 변화를 일으켜 시각중심적인 문자를 복합적 감각을 추구하는 멀티미디어콘텐츠로 변모시켰다. 이 과정에서 문자문화와 구술문화는 기술적 매체와 문화적 대중의 이해관계로 상호보완관계를 형성했다. 오늘날 대중문화는 인쇄매체, 방송매체, 전자매체로 형성된 문자성과 구술성이 서로 경합하고 융합하면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뉴욕타임스≫와≪아시아경제≫(인쇄매체), EBS FM 라디오(방송매체), 버즈피드와 트위터(전자매체)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먼저 EBS FM <책 읽어주는 라디오>는 문자문화가 구술매체로 재매개화가 되는 현상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매체의 형식적 변화만으로는 내용의 변화를 충족시킬 수 없다. EBS FM은 문자문화를 재활용하여 대중문화를 교양화하려 했지만 구술문화의 장점과 문자문화의 가치 모두를 활용하는 데 실패했다. 한편 문자매체를 기반으로 하지만 구술문화의 장점인 친밀감을 바탕으로 신뢰의 관계망을 구축한 버즈피드와 트위터는 트랜스미디어의 성공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가까운 관계(인접성)와 공감하는 관계(신뢰성)에 주로 의존하여 수많은 정보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려는 경향이 있다. 버즈피드와 트위터는 이러한 구술문화의 특징을 매체의 기술적 개념으로 적극 활용했다. 또한 ≪뉴욕타임스≫와 ≪아시아경제≫의 스토리텔링 뉴스는 디지털미디어에 적합한 뉴스의 생산-소비 방식이 더이상 내러티브에만 의존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대중매체의 핵심콘텐츠인 뉴스마저도 구술문화의 전통을 기술적으로 재현하고 있으며 의식화와 오락성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문자성과 구술성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The patchwork storytelling culture to remember information based on probability, additivity, and situation oral culture. While the narrative culture to interpret the remember information based on causality, linearity, and system character culture. However, the nature of the text was highlighted auditory culture media and technology combined with print media, emerged between the character appears on the trans-media culture and oral culture is an oral culture phenomenon of the second. In particular, the change Caused stored, the recording, the digital media is a communication method of written language, was transformed into a multimedia content to pursue a combination of visual sensory central character. In this process, form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interest in culture media and technology culture is an oral culture and character. Conflict with each other have been developed and formed by the fusion of print media, broadcast media, electronic media, popular culture, character and oral character today. To examine these changes, “New York Times” and “Asian economies” (print media), “EBS FM radio” (broadcast media), were analyzed in cases with “Buzz Feed” and “Twitter”(electronic media). Shows a typical phenomenon remediated character culture to the oral media first, EBS FM <to read the book Radio> is. But it can not meet the change of the content of the media changes are formally. Failed to take advantage of all the value of character cultural benefits of oral culture and trying to recycle educated character culture popular culture, but the EBS FM. The character is based on the medium, but can be called successful examples of trans-media, and building trust based on the closeness of the advantages of oral culture Buzz Feed and Twitter. The technical concept leverages the features of the oral culture of the media Buzz Feed and Twitter. Also showed that it can not rely on narrative methods suitable for digital media news production and consumption more than the "New York Times" and the "Asian economic" storytelling news. Even the content of the news media is a key technology to reproduce the tradition of oral culture, so the fusion of the character and orality attempt to meet all of conscious and entertain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1960년대 대중매체 보급과 미의식의 근대화 양상 -김수영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우필 ( U Pil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2 No.-

        4.19혁명으로 민주적 이념이 고취되면서 1960년대는 국민들의 대중문화 욕구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 시기이다. 제1공화국 시기까지 한국사회는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하는 엘리트 문화가 대중문화를 지배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제3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라디오, TV 같은 방송매체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방송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대중화 단계로 한국사회의 문화 환경이 빠르게 변하게 된다. 제3공화국을 수립한 박정희의 군부정권은 정부의 경제발전정책을 선전,선동하기 위한 홍보수단으로 방송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1960년대 한국은 50% 가까운 높은 문맹률과 빈곤 때문에 쉽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라디오를 중심으로 방송매체가 확산되었다. 라디오 이후 TV가 보급된 것도 군부정권의 파시즘적 대중정치의 정당화를 위한 방편으로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렇게 정치적 의도로 활성화된 방송매체의 보급 탓에 1960년대는 소비대중문화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방송매체의 갑작스런 보급으로 소비대중문화가 나타났지만 대중문화는 콘텐트가 부족하여 여전히 인쇄매체문화에 기댈 수 밖에 없었다. 더구나 지식인 엘리트들은 새롭게 등장한 방송매체 중심의 대중문화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문화적 갈등을 일으켰다. 인쇄매체와 방송매체를 중심으로 각각 대중문화의 헤게모니 갈등이 나타날 때 김수영은 새로운 매체 의식을 알레고리적으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김수영은 소비대중문화가 빠르게 전파되면서 등장한 키치를 저급한 스노비즘으로, 아방가르드를 고급한 스노비즘으로 보았다. 1960년대 문화, 정치, 경제 분야 모두에서 전면적으로 등장한 스노비즘은 피할 수 없는 미의식의 근대화 양상이었다. 식민지 조선 때부터 이미 등장했던 교양주의는 전후에 교양속물주의로 확장되었고 1960년대에는 대중들과 엘리트모두를 잠식하면서 스노비즘 사회가 전면적으로 등장했다. 김수영은 이러한 스노비즘을 완전히 거부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고급한 스노비즘으로서 아방가르드를 새로운 미의식으로 제기하였다. A democratic idea be inspired by april 19 revolution, it was time to appear that desire about popular culture of people in earnest. Until The First Republic, A Korea society governed by elite`s culture base on printed media. But After The Third Republic established, As a broadcast media the same thing Radio and TV has came into wide use, Cultual environment of Korea society became quickly to base of broadcast media. The Park regime who The Third Republic established has made use of broadcast media to advertising for propagate economic developement policy of government. As it has problem of fifty percent illiteracy rate highly and poverty in the 1960s, a broadcast media spread of radio mainly. After radio`s spreadable, it was happening that popular rule of fascism justify oneself TV has came into wide use too. Because the broadcast media was active for political intention, In the 1960s was up popular consumer culture period. Kim Su-young recognized kitsch when it appeared with popular consumer culture as vulgar snobbism, avant-garde as classy snobbism. The advent of snobbism was unavoidable modernization aspect of aesthetic. The culturalism which it appear already since colonial Joseon spread as cultural snobbism in postwar and snobbism society appeared completely as encroach all people and elite in the 1960s. Kim So-young recognized snobbism as unavoidable completely, raised avant-garde as classy snobbism as new aesthetic.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과학,기술 담론에 나타난 근대성 -인문주의 대 과학주의 합리성 논의를 중심으로-

        김우필 ( U Pil Kim ),최혜실 ( Hye Sil Choi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4 No.-

        근대성은 근대화의 목표이자 결과로서 모든 근대성은 합리성을 지향한다. 몽테뉴와 같은 16세기 인문주의자들은 문화, 예술 분야에서 근대성을 추구하였고, 데카르트와 같은 17세기 자연철학자들은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근대성을 추구하였다. 서양은 대표적인 이 두 합리적 근대성을 각각 발전시켰다. 서양보다 비교적 늦게 근대화가 시작된 일본은 서구의 과학적 합리성을 근대성의 주된 목표로 설정하였다. 일본을 모델로 삼았던 식민지 조선 역시 과학적 합리성을 근대의 목표로 삼았다. 한말 개화기 당시 동학운동은 인본주의를 내세우면서 인문적 합리성을 공론화하려 했으나 결국 실패하면서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은 과학과 기술을 추구하는 과학적 합리성이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펼친 애국계몽운동의 과학교육이 주된 역할을 수행했다. 일제 식민지가 본격화되면서 민족주의 계열은 과학보다 기술중심의 담론을 펼쳤고, 사회주의 계열은 기술보다 과학중심의 담론을 펼치게 되었다. 식민지 조선의 기술담론은 인문주의를 배제한 부르주아적 근대성으로 전개되었다면, 과학담론은 인문주의와 결합한 지식노동자 계층의 근대성 추구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만규·한인석·이정섭 등과 같은 과학자들의 실증주의적 과학담론이 박영희·양명·박용회·김창세 등과 같은 인문주의자들의 비판적 과학담론보다 한국의 정치적 현실 때문에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인문주의를 상실한 채 기술중심의 과학주의가 한국 근대화의 목표가 되었다. The modernity as purpose or consequence of modernization, these aim for rationality and reasonableness. A humanist the same as Montaigne in the 16th century did seek modernity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he arts, A natural philosopher the same as Descartes in the 17th century did seek modernity in the field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Japan which started modernization relatively late than the West set up the main purpose of modernity to Western scientific rationality. Colonial Chosun also had been made Japan their model set up the purpose of scientific rationality. Japanese colonization was going along gradually, nationalism parts conducted technology-oriented discours than science, socialism parts were to conduct science-oriented discours than technology. Assume that technology discourse of colonial Chosun was becoming into bourgeois modernity to the exclusion of humanism, science discourse was becoming to pursuit modernity of white-color workers with humanism. However positivistic science discourse of scientist like Lee Mangyu, Han Inseok, Lee Jeongseop and others could hold a dominant position than critical science discourse of humanist like Park Yeonghui, Yang Myeong, Park Yonghoe, Kim Changse and others because of the political reality in Korea. In result, technology-oriented scientism was been the aim of modernization of Korea losing humanism.

      • KCI등재

        문화산업과 저널리즘의 탈근대적 대중미학의 발견

        김우필(Kim U-Pil)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0

        문화산업과 미디어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치적ㆍ윤리적 차원에서 미학과 저널리즘의 문제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대 산업사회 이후로 노동은 산업(경제)의 영역이고, 유희는 문화(예술)의 영역이었다. 그런데 20세기 초 문화산업의 등장과 함께 노동과 유희의 경계가 해체되기 시작했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벤야민은 이 문제를 상품의 미학으로서 문화산업, 임화는 기술과 예술의 자기동일성 추구로서 미디어산업(저널리즘)의 문제로 보았다. 그리고 20세기 초 예술작품은 복제기술을 통해 대량으로 복제되면서 일반 대중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품이 되었다. 문화산업은 누구나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대중문화를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화산업과 대중문화는 20세기 파시즘 등장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 대량복제 기술은 차이의 문화를 소멸시켰고, 획일화된 문화적 환경을 조성하여 선전ㆍ선동의 대중조작 정치인 정치의 심미화를 불러 일으켰다. 한편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저널리즘의 대중화를 이끌었고, 문화산업은 그러한 저널리즘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미디어 저널리즘은 점차 대중의 정치적 욕구와 밀접해지면서 문화예술 영역의 주요 기제로 작동하게 되었다. 임화는 식민지 말기 저널리즘, 문화운동, 비평의 윤리 문제에 천착했다. 특히 그는 잡지와 신문의 비평행위가 문화예술에 대한 단순한 해석행위가 아니라 정치행위가 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문화운동으로서 저널리즘이 문화산업을 이끌지 않는다면 대중문화는 파시즘과 결합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파시즘 시대의 한 복판에 서 있었던 임화는 소설로 대변되는 상업적인 문화예술 상품화와 상업자본에 점점 종속되기 시작한 미디어를 문화산업 자본주의로 단정하기보다 근대 시민사회 문화운동의 토대이자 환경으로 인식하였다. 나아가 문화산업과 미디어 저널리즘에서 근대적ㆍ민주적 시민사회를 구축할 미적 근대성의 기제를 발견하였다. 임화는 문화산업과 미디어 저널리즘이 대중문화와 대중예술의 새로운 미의식을 만들어 낼 가능성을 보았다. 따라서 문화산업이 대량으로 복제한 예술상품을 획일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대중 스스로가 예술상품 창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들 때 문화산업은 문화예술의 양적ㆍ질적 발달을 이끄는 탈근대적 대중미학의 산업형태가 될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access on aesthetics and journalism for understand the essence of cultural industry and media in the political and ethical level. After modern industrial society, a labor belongs to the economy and a play belongs to the Art.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labor and play began into break when cultural industry appeared. M. Horkheimer, T. W. Adorno and Walter Benjamin recognized this problem to be cultural industry as aesthetics of commodity, Imwha recognized this problem to be journalism as pursuit identity of Art and technology. In the beginning 20th century a work of art was reproduced a large quantity by copy technique and then that was commodity which everybody people could be close easily. But this cultural industry and popular culture took a role to promote the advent of fascism. Meanwhile development of media technique conducted to popularization of journalism, so cultural industry have grew up its roots in such a journalism. Media journalism did more and more close to political desire of the masses, and that became main mechanism of the cultural arts. Imwha did concern himself about journalism, cultural movement, ethical critics. He did agitate that critical action of magazine and newspaper must be political action not simple explain about the cultural arts in particular. Imwha’s idea was that popular culture could combine to fascism in case journalism as cultural movement do not lead cultural industry. In age of fascism, Imwha recognized media to base or condition of cultural movement in modern civil society than cultural industry for capitalism. Furthermore, he did find a mechanism of aesthetic modernity to construct modern and democratic civil society in cultural industry and media journalism. Therefore if a cultural industry make the masses by oneself to take part actively for a creation of art commodity, it will be an alternative industry which conduct a cultural art to development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