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위일체 안에서의 발현에 관한 블라디미르 로스키의 신학

        김옥주 ( Okjoo Kim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7

        칼 바르트는 성령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의한 하나님의 자기 계시 위에 확고히 고정된 삼위일체 신학을 제시한다. 그는 아버지-아들 관계의 공동연대로서의 성령의 사역은 그리스도의 사역을 인간의 주관성으로 이월하는 관점에서 해석된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본 연구자는 그리스도의 계시의 객관적 실재가 성령의 주관적인 사역 없이는 생각할 수 없다는 바르트의 견해에 동의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바르트는 아들-성령 사이의 관계의 복잡성을 간과하였고 따라서 경륜적 삼위일체 안에서의 성령의 지성적 기능 이외의 성령 사역의 가능성을 간과하고 말았다. 그것은 바르트가 두려워했던 것처럼, 구원의 새로운 길이나 성자와는 별개로 성령의 독립적인 활동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동방신학에서의 블라디미르 N. 로스키가 취한 입장에서 시작한다. 본 연구자의 관점에서, 로스키는 바르트보다 넓은 방식에서 아들과 성령의 구원사적 역할을 설명한다. 그는 현대 동방신학 안에서 삼위일체론에 관한 부흥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팔라마스주의, 즉 알 수 없는 하나님의 본질과 하나님 자신을 알게 하는 신적인 에너지(현시 또는 활동) 사이의 구별 교리를 강화하는 신학적 추진력을 이끌었다. 본 논문은 성령의 발현, 아버지의 모나키, 그리고 역사 속에서 아들과 함께한 성령의 불가분하지만 독특한 역할에 대한 그의 신학적 전제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로스키의 아포파틱 방법과 신성한 에너지에 대한 관련 개념을 탐구할 것이다. Karl Barth presents a Trinitarian theology that is concretely anchored in God’s self-revelation by Jesus Christ in the Holy Spirit. He strongly holds that the work of the Spirit, the common bond of the Father-Son relationship, is interpreted in terms of carrying over the work of Christ into human subjectivity. This study agrees with the Barthian claim that the objective reality of Christ’s revelation is unthinkable without the subjective work of the Holy Spirit. Yet, lamentably, Barth overlooks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 and the Spirit and, thus, the possibility of the Spirit’s work other than her noetic function in the economic Trinity. This does not mean the introduction of either a new way of salvation or an independent activity of the Spirit apart from the Son―these results are not what Barth expects from his own theological reflections. In this light, this paper draws insights from the positions taken by Vladimir Lossky on the Eastern side. From my perspective, he explicates the work of the Spirit in respect to the Son and to the history of salvation in a broader way than Barth. He not only has contributed to the resurgence of interest in Trinitarian theology but also has provided a theological impetus for reinforcing Palamism in contemporary Eastern Orthodox thought which affirms Gregory Palamas’ distinction between the essence of God, which is unknowable, and the energies, manifestations, or operations of God, by which God makes God-self known. This article will explore Lossky’s apophatic method and its related notion of the divine energies, while focusing on his theological premises of the doctrine of the Spirit’s procession, the monarchy of the Father and the inseparable yet distinctive role of the Spirit with the Son in the history of salvation.

      • KCI등재

        아들로부터 성령의 발현에 관한 이해

        김옥주(Okjoo Kim)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80 No.-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s procession grounded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e Dominican friar, Thomas Aquinas. He established an influential teaching of how one might speak of plurality in God in light of confirming His oneness, combining Aristotelian metaphysics with Christian belief. In order to demonstrate the dynamic movements of the three Persons in the divine simplicity, Thomas argues that the divine Persons differ through the relations of origin to one another. Their unity is based on the divine substance, which the Son and the Spirit both receive from the Father, the principle of the whole divinity. Following Augustine who regards the Holy Spirit as the Bond of the Love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Thomas develops systematically the doctrine of the procession of the Spirit from the Father and the Son. For the dominican friar, the procession of the Spirit from the Son is not only based on Jesus" own statements in the Bible but also even necessary for the Spirit"s salvific work that leads people to conform to the sons and daughters of God as well as brings them through the Son to the Father. Thus, Thomas insists that the filioque is true and defensible. However, his views on the procession of the Spirit from the Son provide targets for criticisms that pneumatology seems to be a second-class doctrine compared to Christology. The friar completely overlooks the active work of the Spirit in the Incarnation event and does not pay proper attention to the linguistic difference when ?κπορε?ω(exporeusis) is translated into the Latin term processio. In Greek, the former is a personal word, one that is descriptive of the Spirit alone and not the S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s procession grounded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e Dominican friar, Thomas Aquinas. He established an influential teaching of how one might speak of plurality in God in light of confirming His oneness, combining Aristotelian metaphysics with Christian belief. In order to demonstrate the dynamic movements of the three Persons in the divine simplicity, Thomas argues that the divine Persons differ through the relations of origin to one another. Their unity is based on the divine substance, which the Son and the Spirit both receive from the Father, the principle of the whole divinity. Following Augustine who regards the Holy Spirit as the Bond of the Love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Thomas develops systematically the doctrine of the procession of the Spirit from the Father and the Son. For the dominican friar, the procession of the Spirit from the Son is not only based on Jesus" own statements in the Bible but also even necessary for the Spirit"s salvific work that leads people to conform to the sons and daughters of God as well as brings them through the Son to the Father. Thus, Thomas insists that the filioque is true and defensible. However, his views on the procession of the Spirit from the Son provide targets for criticisms that pneumatology seems to be a second-class doctrine compared to Christology. The friar completely overlooks the active work of the Spirit in the Incarnation event and does not pay proper attention to the linguistic difference when ?κπορε?ω(exporeusis) is translated into the Latin term processio. In Greek, the former is a personal word, one that is descriptive of the Spirit alone and not the Son.

      • KCI등재

        러시아 정교회의 소피아론 ― S. 불가코프를 중심으로

        김옥주 ( Kim Okjoo ) 한국조직신학회 202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9 No.-

        소피아( חכמה , 지혜)는 수 세기 동안 성서적, 신학적, 신비적 형상으로 자리하였으나, 그리스도교적 틀 안에서 교리로 발전시키고 정교화하는 데 심혈을 기울인 학자는 러시아 정교회 사제이자 신학자인 S. N. 불가코프(1871-1944)이다. 소피아론(Sophiology)은 하나님과 창조 사이의 연계가 세상 안에서 만들어지고 드러나는 방식에 특히 관심을 둔다. 사실 교부신학의 지배적인 의견은 신적인 지혜, 소피아는 성경(고전 1:24)에서 잘 알려진 대로 그리스도와 동일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불가코프는 하나님과 세계 사이의 중재는 인격화된 소피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고, 이러한 주장은 정통주의 가르침과는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본 논문은 한국 그리스도교에 생소한 불가코프의 소피아론을 포용적 관점에서 [정교회] 전통과의 연속성, 범재신론 그리고 삼위일체론적 사랑을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 소피아론이 신적인 실재(소피아)와의 인격적 만남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인격적 관여, 말하자면, 신적인 세계와 관계하는 그리고 그것의 부분으로서의 창조 세계 안에서 신적인-인성의 연합을 보여주는 교의적 수단임을 주장할 것이다. While the term Sophia( חכמה , wisdom) has stood for a variety of biblical, theological and mystical images over the centuries, the most significant attempt to develop and elaborate a doctrine of Sophia within an explicitly Christian framework belongs to Russian priest and theologian S. N. Bulgakov (1871-1944). Sophiology is preeminently concerned with the way in which the link between God and creation is effected and manifested. In contrast to the dominant patristic view, whereby Sophia, the Divine Wisdom, is identified with Christ in accordance with a well-known scriptural passage(1Cor. 1:24), Bulgakov argues that the mediation between God and world is accomplished through the hypostasized Sophia which has for this reason been open to charges of incompatibility with accepted Orthodox teaching. The present paper will examine the doctrine of Sophia, focusing on con- sistency with Orthodox tradition, panentheism and Trinitarian love in Bulgakov which has been unfamiliar to Korean Christianity. It will be argued that Sophiology for Bulgakov is a doctrinal means not only to express his personal encounter with the divine reality(Sophia) but also to uncover God’s personal engagement, that is, the unity of Divine-humanity in the created world in its relation to and as part of divine world.

      • KCI등재

        칼 라너의 공리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

        김옥주 ( Okjoo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3 No.-

        칼 라너는 인간과 초월적 하나님이 구원적 경험의 장 안에서 조우하는 삼위일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자신의 유명한 공리에서 자신의삼위일체론적 전제를 제시한다: “경륜적 삼위일체는 내재적 삼위일체이며 내재적 삼위일체는 경륜적 삼위일체이다.” 이러한 신학적 견해는 신-스콜라주의로 경직되어 있던 로마 카톨릭 신학계에 매우 혁신적 반향을 일으켰다. 본 논문은 라너의 공리를 중심으로 그가 의도했던 경륜적 삼위일체와 내재적 삼위일체 사이의 동일성이 갖는 의미를 추적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것이 단순히 두 삼위일체의 동일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경륜적 영역에서 세 위격 사이의 관계들은내재적 영역에서 세 위격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는 인식론적 일치였음을 결론적으로 이끌어 낼 것이다. 이를 위해 라틴적 삼위일체론에대한 라너의 비판과 그 대안으로 제안한 그의 공리의 내용을 살펴 본후, 그것이 그리스 신학과 유사하면서도 근원적으로 상이한 점을 고찰하도록 하겠다. Karl Rahner develope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e stage of salvific experience where humanity and the transcendent God encounter each other. He proposes his trinitarian premise through the so-called Rahner`s axiom: “the economic trinity is the immanent trinity and vice versa.” This theological perspective created an innovative sensation in the Roman Catholic Church`s theological circle that neo-scholasticism rigidly dominated over.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observe the meaning of what Rahner actually intends to mean the identity of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Furthermore it will conclude that the axiom does not merely show literal(ontological) identity but epistemological identity that the relations of the three Persons in the economic level correspond to that of the immanent level. For doing this, I will examine on the one hand Rahner`s criticism of the Latin theology and the axiom`s content and on the other h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s theology and the Greek theology.

      • KCI등재

        성령에 관하여: 갑바도기아 교부들과 영산을 중심으로

        김옥주 ( Kim Okjoo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2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381년)는 “성령은 아버지로부터(ἐκ) 나오시며(ἐκπορευόμενον), 아버지와 아들과 함께(σὺν) 동일한 경배와 영광을 받으신다.”라고 선언함으로써 삼위일체론 논쟁의 종식을 선포하였다. 성부, 성자와 함께 창조에 참여한 성령은 구속 사역을 위해 아버지로부터 아들과 함께 파송되었다. 성령은 예수의 수태고지로부터 시작해서 그의 공생애, 십자가-부활 및 승천하는 기간 동안 존재하지 않은 때가 없었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신학의 계보를 잇는 라틴/서방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단번에 그러면서도 완전하게 구원을 이룬 구속자로서의 모습을 강조함으로써 성령의 역할과 지위를 위축시키는 데 일조한다. 이러한 그리스도-편향성은 전 우주의 구원사역을 위해 세 위격들의 연합된 사역, 즉 삼위일체 하나님의 웅장한 신-드라마(theo-drama)를 온전하게 드러내지 못한다. 다행스럽게도 20세기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 대표적 사례가 그리스 신학의 유입과 오순절 교회의 가시적 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둘의 공통분모는 성령이다. 전자는, 라틴 신학과 비교해서, 구원 사역의 종결자로서 성령을 (보다)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후자는 교회 성장의 결정적 원인이 성령의 역동적 활동에 있다. 이런 점에서 정통 삼위일체론의 토대를 세운 4세기 갑바도기아 교부들과 한국의 오순절 운동을 주도적으로 펼친 영산 조용기 목사(이하 ‘영산’)의 삼위일체론적 성령론을 함께 살펴보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영산의 사역은 고질적으로 위축되고 주변화된 성령의 위격(Person)과 그의 사역을 교회와 신앙인의 삶의 중심 자리로 가져옴으로써 라틴[한국] 신학계에 온전한 삼위일체론을 세우는 데 공헌하였다. 본 논문은 그들이 성령의 신성을 확증하는 데 있어 중점을 두었던 부분을 살펴봄으로써 한편으로는 삼위일체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앞으로의 삼위일체론에서 발전시켜 나가야 할 점을 고찰하도록 하겠다. The 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 (A.D. 381) put an end to the Trinitarian controversies by stating that “the Holy Spirit, Who proceeds (ἐκπορευόμενον) from the Father, Who with (σὺν) the Father and the Son is together worshiped and equally glorified.” The Holy Spirit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with the Father and the Son was sent with the Son from the Father for the salvific work. The Spirit has always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Annunciation of Jesus, his public life, and the Cross/Resurrection-events to the Ascension. However, the Latin Church, also known as the Western Church rooted in the tradition of Augustinus made the Spirit’s role and work constricted by stressing the portrait of Jesus as the Savior who made the full and complete redemption at once. This Christ-penchant fails to demonstrate appropriately the splendid theo-drama of the Trinity. Fortunately the twenty century brought in many changes. The influx of Greek theology and remarkable growth of Pentecostalism represented good examples for it. Here the Spirit is the common factor in both cases. The former, compared with the Latin, shows its tendency that the Spirit is the perfector to finish the salvific work. The latter refers to the determining cause of the dynamic work of the Spirit. In this light, it is a clearly meaningful task to examine both the Trinitarian Pneumatology through the Cappadocian Fathers in the 4th century who established the orthodox Trinitarian foundation and Rev. Yonggi Cho (hereafter ‘Youngsan’) who has led the Korean Pentecostal movement in the twenty-first century. Especially Youngsan’s works have contributed to building sound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e context of the Latin/Korean theology by placing the significance of the marginalized doctrine of the Spirit at the heart of the church and people. Exploring in which they lay their emphases on in order to convince the Holy Spirit’s divinity,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promote Trinitarian understanding on the one hand and investigate the needs of its further develop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