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측 개방 근위 경골 절골술 후 통증 조절에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와 내전근관 차단술의 효과 비교

        김옥걸(Ok-Gul Kim),김도훈(Do-Hun Kim),서승석(Seung-Suk Seo),이인승(In-Se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목적: 내측 개방 근위 경골 절골술 후 통증 조절에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와 내전근관 차단술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개방형 내측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 예에서 척추 마취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직전 선제 약물 투여 후 정맥내 자가 통증 조절 장치를 시행하였다. 30명의 환자(I군)는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를 맞았고, 다른 30명의 환자(II군)는 내전근관 차단술을 시행 받았다. 두 그룹에 대해 수술 후 통증 수준, 추가적인 tramadol hydrochloride 주사의 빈도, 자가 통증 조절 장치 사용 총량 및 버튼을 누른 횟수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2주째까지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scale)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가 tramadol hydrochloride 주사의 빈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가 통증 조절 장치 버튼을 누르는 횟수와 평균 총 fentanyl 소비량에서도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내측 개방적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의 급성기 통증 조절에 있어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주입 및 내전근관 신경 차단술은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efficacy of periarticular multimodal drug injection and adductor canal block after a medial opening-wedge high tibial osteotomy was compared in terms of the postoperative pain level. Materials and Methods: From November 2016 to March 2017, 60 patients underwent a medial opening-wedge high tibial osteotomy under spinal anesthesia. Preemptive analgesic medication,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esthesia were used for pain control in all patients. Thirty patients received a periarticular multimodal drug injection (group I), and 30 patients received an adductor canal block (group II). These two groups were compared regarding the postoperative pain level, frequency of additional tramadol injections, total amount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d number of times that the patients pushed the patient-controlled analgesia button at each time interval. Results: The visual analogue scale scores over the two-week postoperative period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frequency of additional tramadol hydrochloride injections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over time. The mean number of times that patients pushed the patient-controlled analgesia button was similar in two groups over time. The total amount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over tim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ntraoperative periarticular multimodal drug injections and adductor canal block may have a similar effect on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a medial opening-wedge high tibial osteotomy for unicompartmental osteoarthritis of the knee.

      • KCI등재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환자에서 부프레노르핀 경피 패치의 적용부위에 따른 수술 후 통증 조절 효과 비교 :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

        김옥걸(Ok-Gul Kim),이상욱(Sang-Wook Lee),김현민(Hyun-M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6

        목적: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 후 통증 조절을 위한 부프레노르핀 경피 패치(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BTDP)의 흉부 적용 및 무릎 적용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TKA를 시행한 231명 중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20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BTDP를 적용하기 전후에 Numeric Rating Scale (NRS), 부작용 및 순응도를 측정하였으며 흉부 적용군(A군=100명)과 무릎 적용군(B군=100명) 사이의 모든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BTDP 적용군 간의 휴식 시 NRS는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B군의 술 후 2, 3일째 오후, 5일, 6일, 7일째 휴식 시 NRS는 A군의 NRS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BTDP 적용 후 중추신경계, 위장관계 부작용은 B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심혈관계, 피부의 부작용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조절을 위한 지속적인 BTDP 유지에서도 B군이 A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TKA 후 BTDP를 통증이 있는 무릎 관절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술 후 초기 통증 조절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기존의 흉부 적용 방법보다 부작용 빈도를 줄여 환자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a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BTDP) on the chest and knee for pain contro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8 to August 2019 on 231 patients who underwent TKA. Two hundred cases were selected considering age, sex, and body mass index.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BTDP,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adverse effects and compliance were measured. All measurements in the chest application group (group A=100) and knee application group (group B=100) were compared. Results: NRS was similar in rest between the groups treated with BTDP, but at two days and three days afternoon, five, six, and seven days postoperatively in group B, the N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A. The adverse effect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gastrointestinal system after applying BTD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B than in group A.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verse effect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and skin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maintenance of BTDP, group 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A. Conclusion: The direct application of BTDP after TKA to painful knee joints showed excellent results in early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can be a useful method for increasing patient compliance by reducing the frequency of adverse effects.

      • KCI등재

        고령의 대퇴골 전자간부 분쇄골절에서 대전자부 재부착 기구를 이용한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김진완 ( Jin Wan Kim ),고영철 ( Young Chul Ko ),정철용 ( Chul Young Jung ),은일수 ( Il Soo Eun ),최현수 ( Hyeon Soo Choi ),김옥걸 ( Ok Gul Kim ),김영준 ( Young June Kim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대퇴골 전자간부의 불안정성 분쇄골절이 있는 고령 환자에 대하여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 시 전위된 대전자부 골절편을 대전자부 재부착 기구 (GTRD)로 견고하게 고정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1월까지 70세 이상 대퇴골 전자간부 분쇄골절에 대해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하고 1 cm 이상 전위된 대전자부 골절편을 GTRD로 고정한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임상적으로는 Harris 고관절 점수와 Johnston의 일상 생활 기능 평가를 사용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는 술 후 골절편과 GTRD의 전위 유무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술 후 Harris 고관절 점수는 평균 71.6점 (53~82점)이었고 일상 생활 기능 평가에서는 보통 이상의 결과가 27예 (84.4%)였으며, 골절편의 1 cm 이상의 전위는 2예 (6.3%)에서 발생하였다. 1예에서 심부 감염이 발생하여 양극성 치환물을 제거하고 항생제 함유 골시멘트를 삽입하여 감염을 조절한 후 인공 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고령의 대퇴골 전자간부 분쇄골절에서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할 경우 전위가 심한 대전자부 골절편을 GTRD로 고정하여 양호한 결과와 조기 재활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of the greater trochanter reattachment device (GTRD) as firm fixation method for displaced greater trochanter fragment in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January 2008, 32 patients above 70 years old treated with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the GTRD as fixation method for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with greater trochanter bone fragment displaced above 1 cm. They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Clinically, the postoperative Harris hip score (HHS) and daily activities of life of Johnston et al were evaluated, and radiological, any displacement of greater trocharter bone fragments and/or GTRD.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HHS was 71.6 (range, 53~82) points. In rating the daily activity of life, twenty seven (84.4%) patients` postoperative results were above fair. Two patients (6.3%) had displacement of the greater trochanter bone fragment above 1 cm. One patient had a deep infection, so we removed the bipolar head and inserted antibiotics-loaded cement block instead, and after the infection was controlled, conversion to total hip arthroplasty was done. Conclusion: In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with displaced greater trochanter bone fragment, GTRD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 and early rehabilitation.

      • KCI등재후보

        젊은 당뇨 환자에서 신경병성 관절병증 종골 견열 골절의 자연 경과(1예보고)

        고영철,은일수,정철용,김진완,최현수,김옥걸,Ko, Young-Chul,Eun, Il-Soo,Jung, Chul-Young,Kim, Jin-Wan,Choi, Hyeon-Soo,Kim, Ok-Gul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8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2 No.2

        The avulsion fracture of the calcaneal tuberosity is rare injury. Usually, it occurs from indirect trauma in old patients with osteoporosis or in patients with diabetic neuropathy. Especially, the bone and joint damage occurred in active patient with severe sensory loss or arthropathy related to nerve damage regardless of the cause is referred to neuropathic arthropathy. Generally, a patient with nondisplacement or minimally displacement is treated by conservative therapy and a patient with severe displacement is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e experienced a 33 years-old woman with diabetes mellitus who had the displaced avulsion fracture of the calcaneal tuberosity without significant trauma and did not treat. We report upon this case at the 2 years follow-up.

      • KCI등재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에서 골유합과 관련된 인자와 외측 피질골 골절 시 이식물에 따른 비교

        서진혁(Jin-Hyeok Seo),김도훈(Do-Hun Kim),서승석(Seung-Suk Seo),김연구(Yeon-Gu Kim),김옥걸(Ok-Gul Kim),박병윤(Beyoung-Y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5

        목적: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서 환자 관련 인자들과 외측 피질골 골절이 발생한 경우에 골이식물 종류가 골유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Kallgren-Lawrence 2단계 이하의 환자 54명, 58예를 대상으로 2012년 5월부터 2014년 6월까지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2개월(14-38개월)이었다. 환자 관련 인자들이 골유합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외측 피질골 골절이 발생한 하위 집단에서 골이식물 종류(동종골, n=6; beta-tricalcium phosphate [β-TCP], n=6)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하여 술 후 6주, 3개월, 6개월, 1년에 방사선적, 임상적 평가 및 garding of van Hemert를 비교하였다. 결과: 하위 집단의 두 군 간에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grading of van Hemert는 술 후 6개월, 1년에 동종골 이식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비흡연 환자군과 외측 피질골 손상이 없는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골유합 등급을 보였다. 결론: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서 외측 피질골 손상 시에 동종골 이식이 β-TCP보다 술 후에 더 나은 골유합을 보이며, 흡연과 외측 피질골 손상이 골유합을 지연시키는 위험 인자임을 관찰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tient factors including smoking, body mass index, correction angle, graft material, presence of lateral cortex fracture, and age for the effect on bone union after open-wedge high tibial osteotomy and the effect of graft material used for lateral cortex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54 patients and 58 cases with osteoarthritic change Kallgren-Lawrence grade 2 or less from May 2012 to June 2014.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2 months (14–38 mont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atient related factors and graft materials (allograft, n=6; beta-tricalcium phosphate [β-TCP], n=6) used for lateral cortex fractures and were analyzed for the relationship with bone union after open-wedge high tibial osteotomy. Radiographic and clinic analyses were performed, and van Hemert grading was used for grading bone union at 6 weeks,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postoperatively. Results: The non-smoking group and the group without lateral cortex fractur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ne union rates tha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clinical or radiologic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12 cases and the allograf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union at 6 months and 1 year postoperatively according to the van Hemert grading. Conclusion: Smoking and the presence of a lateral cortex fracture is a risk factor for nonunion in medial open-wedge high tibial osteotomy. The use of allograft material rather than β-TCP for lateral cortex fractures is thought to result in better bone 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