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RESS 방수유출장치 공막 유출부의 섬유성 폐쇄를 보인 1예

        김영휘(Yung Hui Kim),성미선(Mi Sun Sung),박상우(Sang Woo Park)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6

        목적: Ex-PRESS 방수유출장치삽입술을 시행한 후 공막유출부의 섬유성 막힘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7세 남자 환자가 안압상승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좌안 망막정맥폐쇄에 의한 망막허혈소견이 있어 레이저광응고술 후 경과관찰하던 중 안압상승 소견을 보여 약물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안압이 조절되지 않아 전원되었다. 좌안의 신생혈관녹내장 진단하에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주사하고 최대 약물치료를 하였으나 안압상승이 지속되어 좌안에 Ex-PRESS 방수유출장치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2주 후에도 넓은 여과포와 5 mmHg 미만의 안압, 그리고 얕은 전방을 보여 공막편 재봉합을 시행하였고 안압은 10-15 mmHg 사이로 조절되었다. 수술 후 2개월째, 안압이 다시 상승하고 여과포형성이 관찰되지 않아 여과포 복원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중 30 gauge needle을 이용하여 결막과 상공막 사이의 섬유성 유착을 제거한 후에도 방수 유출이 보이지 않아 공막편을 열어 Ex-PRESS 방수유출장치의 공막유출부가 섬유성조직에 의하여 막힌 소견을 확인하였다. 섬유성조직을 제거한 후 공막유출부를 통한 방수 유출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 후 수술을 종료하였다. 이후 좌안의 안압은 만족할 만한 수치로 감소하였다. 결론: Ex-PRESS 방수유출장치 삽입술 후 다시 안압이 상승하는 경우 공막유출부의 폐쇄 여부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6):1022-1025> Purpose: To report a case of fibrotic obstruction of scleral orifice in Ex-PRESS shunt. Case summary: A 57-year-old male presented with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in his left eye. In the past, laser photocoagulation was performed at a local clinic due to retinal venous occlusion in his left eye. During observation, he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due to uncontrolled intraocular pressure despite antiglaucoma medications. He was diagnosed with neovascular glaucoma in the left eye. Since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with maximal medical therapy did not lower the intraocular pressure, an Ex-PRESS shunt device was implanted. Two weeks postoperatively, the bleb was flat and diffuse with shallow anterior chamber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below 5 mm Hg. Therefore, we performed scleral flap revision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sustained between 10 and 15 mm Hg. Two months postoperatively, the patient experienced high intraocular pressure and no elevated bleb, thus we performed bleb revision. During the surgery, although we removed fibrotic adhesions between the conjunctiva and episclera using a 30-gauge needle, aqueous outflow was not observed. Therefore, we opened the scleral flap and found the scleral orifice of the Ex-PRESS shunt was obstructed by fibrous scar tissue. After scar tissue removal and achieving aqueous outflow through the scleral opening, intraocular pressure decreased to a satisfactory level.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after implantation of the Ex-PRESS shunt, the scleral opening of the Ex-PRESS shunt should be examined for obstru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6):1022-1025

      • KCI등재

        플라시도원반 방식의 비디오각막경을 이용한 각막곡률 및 난시측정과 기존의 각막곡률계와의 비교

        김영휘(Yung Hui Kim),이영(Ying Li),이효석(Hyo Seok Lee),윤경철(Kyung 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2

        목적: 플라시도 원반 방식의 비디오각막경을 이용한 각막곡률 및 난시측정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기존의 각막곡률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들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백내장 수술이 예정된 45명 45안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플라시도 원반 방식의 비디오각막경(Keratograph?? 5M), 자동각막곡률계(KR-8900??), 수동각막곡률계(B&L Manual Ophthalmic Keratometer??), 플라시도 원반-세극등주사 각막곡률계(ORBscan II??), 샤임플러그 각막곡률계(Pentacam??) 및 저간섭성 반사계(Lenstar??)를 이용하여 각막곡률 및 난시를 기기당 1안에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기기별 반복성 및 신뢰성 비교는 변동계수, 표준편차 및 군내연관계수를 통해 분석하였고 기기 간 측정치 평균 차이 비교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일치도 평가는 Bland-Altman plot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각막곡률 및 각막난시의 측정에 있어 Keratograph?? 5M과 다른 기기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J0, J45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Bland-Altman plot으로 분석한 Keratograph?? 5M과 다른 기기 간 일치도에서 95% limits of agreement (LoA) 값이 각막곡률은 -0.78~0.55D로, J0은 -0.72~0.88D로, J45는 -0.39~0.47D로 나타났다. 결론: 각막곡률 및 난시의 측정에 있어 Keratograph?? 5M은 기존의 각막곡률계와 비교하여 서로 비슷한 재현성을 나타냈으며 다른 기기들과 상호보완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corneal power and astigmatism measurements using placido-based video keratography were evaluated and the agreement with other keratometers were compare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45 patients (45 eyes) scheduled to undergo cataract surgery between November 2015 and January 2016. Three sets of corneal power and astigmatism were measured using placido-based video keratometer (Keratograph?? 5M), automatic keratometer (KR-8900??), manual keratometer (B&L manual keratometer??), Placido-scanning-slit keratometer (ORBscan II??), Scheimpflug keratometer (Pentacam??), and low coherence interferometry (Lenstar LS900??). Reliability of each device was analyzed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tandard deviation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device comparison of mean absolute difference. The agreement between the devices was evaluated with 95% limits of agreement (LoA) and Bland-Altman plots. Results: The mean corneal power, astigmatism and power vector analysis (J0, J45)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evices (p > 0.05). In the Bland-Altman plot analysis, the 95% LoA of corneal power, J0, and J45 when comparing Keratograph?? 5M with others ranged from -0.78 to 0.55 D, from -0.42 to 0.45 D, and from -0.39 to 0.47 D, respectively. Conclusions: Keratograph?? 5M showed good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corneal power and astigmatism measurements and was interchangeable with other keratometers.

      • KCI등재

        한국인의 GSTM1, GSTT1 유전자와 당뇨망막병증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김영휘(Yung Hui Kim),양지명(Jee Myung Yang),장재용(Jae Yong Jang),지영석(Yong Sok Ji)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3

        목적: 제2형 당뇨병 환자의 Glutathione-S-transferase (GST) 유전자의 변이와 당뇨망막병증 발생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당뇨망막병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131명과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당뇨망막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105명, 그리고 당뇨병이 없는 정상대조군 45명을 대상으로 환자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GSTM1 및 GSTT1 유전자 분석을 위해 사전 동의하에 말초혈액에서 얻어진 혈액샘플로부터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각 유전자의 결손 유무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변량분석에서 당뇨망막병증이 발생한 군이 발생하지 않은 군보다 제2형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었고(p=0.004), HbA1c 값이 더 높았다(p=0.004). GSTT1 유전자결손은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GSTM1 유전자결손은 당뇨망막병증이 있는 군에서 더 낮은 비율을 보였다(p=0.017).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당뇨의 유병기간(p=0.013), 높은 HbA1c (p=0.007), GSTM1 유전자결손이 없는 경우 (p=0.012)가 당뇨망막병증 발생의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결론: 한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본 연구에서 GSTT1 유전자결손은 당뇨망막병증 발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반면, GSTM1 유전자결손은 당뇨망막병증 발생의 억제와 연관이 있었다. 향후 이에 대한 대다수의 환자 대조군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Glutathione-S-transferase (GST) genes and diabetic retinopathy (DR)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M). Methods: In this case-control study, 13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R, 105 diabetic patients who did not have DR, and 45 nondiabetic controls were examined from January 2013 to November 2015. To analyze deletion of the GSTT1 and GSTM1 genes, polymerase chain reactions of DNA in a buffy coat from peripheral blood were performed via electrophoresi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or spherical equivalent between the 236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he 45 normal controls (p > 0.05). In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he duration of type 2 DR was longer (p = 0.004, p = 0.013), and HbA1c was higher (p = 0.004, p = 0.007) in the DR group than in the non-DR group. Presence of a GSTM1 deletion is associated with a lower frequency of DR (p = 0.017, p = 0.012). Conclusions: Deletion of the GSTT1 gene is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R, whereas GSTM1 deletion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DR in patients with type 2 DM in the Korean population. Additional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nd different types of GST gen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study.

      • KCI등재

        건강한 환자에서 구리금파리 구더기에 의해 재발한 눈구더기증 1예

        김영휘(Yung Hui Kim),윤경철(Kyung Chul Yoon),최원(Won Choi)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4

        목적: 건강한 환자에서 구리금파리 구더기에 의해 재발한 눈구더기증 및 귀구더기증 1예를 최초로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과거력상 7개월 전에 눈구더기증으로 본원에 입원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고 완치되었던 72세 남자 환자가 내원 10일 전부터 시작된 양안의 눈물흘림, 충혈, 이물감 및 통증을 주소로 타 병원에서 구더기 제거술을 시행 받았으나 시력호전을 보이지 않고 좌측 귀의 불편감을 호소하여 내원하였다. 선행하는 기저질환 및 특이소견은 없었다. 내원 시 양안의 최대교정시력은 안전수동이었고, 세극등 검사상 각막실질침윤 및 상피결손이 관찰되었으나 타 병원에서 구더기를 제거하여 안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학적 검사상 좌측 하안검의 내측 하방에 가피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비인후과적 이경 검사상 좌측 외이도에서 여러 마리의 움직이는 구더기와 함께 고막천공이 관찰되었다. 항생제 점안액을 1시간마다 사용하였고 전신적 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이비인후과적으로 귀 내시경을 통해 좌측 외이도에서 6마리의 구더기를 제거하였다. 제거한 구더기는 법의학적 검사상 구리금파리 3령으로 판명되었다. 1개월 후 각막실질침윤 및 상피결손은 호전되었으나 각막혼탁으로 인해 양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1이었다. 결론: 건강한 환자에서도 열악한 위생 조건하에서는 구리금파리 구더기에 의한 재발성 눈구더기증과 이에 동반된 귀구더기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예방 및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recurrent external ophthalmomyiasis caused by Lucilia sericata Meigen in a healthy patient. Case summary: A 72-year-old male, who was diagnosed 7 months earlier with ophthalmomyiasis and obtained permanent relief by surgical treatment, presented with severe tearing, redness, foreign body sensation, pain in both eyes and aural discomfort in the left ear. On presentation, visual acuity in both eyes was hand movement. On slit lamp examination, total corneal epithelial defect with stromal infiltrations was observed. However, there were no motile organisms in his eyes due to previous removal of maggots at a local clinic. On physical examination, eschar change was observed at the inferomedial area of the left lower eyelid. On otorhinolaryngological examination, several motile organisms with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 were observed in the left external acoustic meatu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opical antibiotic eye drops hourly with systemic antibiotics, and 6 larvae were removed from the external acoustic meatus using otoscopy. Microscopic findings of the removed larvae revealed L. sericata in their third stage of development. After 1 month, corneal epithelial defect and stromal infiltration improved. However, visual acuity in both eyes was 0.1 due to remaining stromal opacities. Conclusions: In a healthy patient without any predisposing factors, recurrent ophthalmomyiasis accompanied with aural myiasis can develop under poor hygiene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