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퓨이에 노테이션의 시대문화적 배경 중 17C 서유럽의 보편언어 추구 움직임에 대한 연구

        김수인 ( Sue In Kim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0 무용예술학연구 Vol.30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which is a method of inscribing Belle Dance, and a series of project towards universal language in the seventeenth-century Europe. In dance history,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contributed to a universal acceptance of Belle Dance and its writing system throughout many European countries.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the search for a better language and the upsurge of interest in language-building occurred throughout Europe. In the subject era, development of various scientific languages aimed for being “universally understandable, philosophically based on correspondences between thoughts and things, written in empirical notation signifying ‘real characters.’ In this study, I elaborate on how the inventions of new and universal languages significantly correspond to the development of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Like other universal language projects,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sought universal laws of movement and translated basic movement ideas into signs and symbols in order to allow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traditions. Such a design seemed possible because it assumed universal reason or universal notions among diverse language speakers. Also, by focusing on the sense qualities and by trusting mathematical principle, Belle Dance and Feuillet notation acquired a status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bove other national languages of the time. Under the influence of scientific positivism, true and real knowledge should be clear and distinct one, which would be achieved by systematic observation and mathematical procedure. Universal language projects and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achieved such clarity and distinctness by relying on immediate representation of sense perceptions and geometrical formation of sign. From above discussion, I examine a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Situated in a larger context,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shares its premises and worldview with empirical science.

      • KCI등재

        몸, 미(美), 그리고 예(禮): 카라밧지오 시대 미술과 무용 비평 언어를 중심으로

        김수인 ( Sue In Kim ) 한국무용예술학회 2006 무용예술학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카라밧지오(1573-1610)의 예술을 중심으로 16, 17세기 미술과 무용의 이론가, 평론가, 역사학자들의 언어를 비교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많은 카라밧지오의 그림은 여러 미술 평론가들로부터‘예의 없는, 천격한’ (indecorous)이라는 평가를 받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당시의 예의와 미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미술에 대한, 그리고 무용과 매너에 대한 원문들에서 드러나는지 살펴보고 그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카라밧지오의 예술에 대한 묘사와 해석에 나타난 예의와 미의 개념은 무용과 예의범절에 관한 글에서 나타나는 신체 자세, 차림새, 제스쳐, 포즈와 일치한다. 앞으로 내밀어진 맨발은 가장 예의바르지 못한 요소로 간주되며 특히 여성의 경우 부도덕의 표시로 생각되어진다. 부드럽고 흐르는 듯한 자세는 바람직한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이집트로의 탈출」의 천사가 취하고 있는 부드럽고 흐르는 듯한 자세는 아름다운 신체와 품행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준다. 아르보와 카스틸리오네의 글에서 역시 예의와 아름다움에 대한 동일한 묘사를 볼 수 있다. 무용의 움직임 구조뿐 아니라 움직임 특질 또한 카라밧지오 예술의 묘사, 해석, 평가에서 되풀이 되는 일정한 미와 예의의 개념을 충족시킨다. 두 예술-- 무용과 시각예술-- 은 그 중심에 인간을 위치시킨다는 점에서 서로 상호적으로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위의 논의에서 밝힌 바와 같이, 두 예술의 텍스트는 서로를 비추는 거울이 된다. 한편으로 Fermor는 미술사가들의 이야기는 댄스 마스터들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Fermor가 언급했듯이, ‘움직임에 대한 논의와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에의 적용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들’은‘미술작품 속의 움직임에 대한 묘사, 그리고 가장 주목할 만한 Vasari의 『미술가 열전』’에서 나타난다. 다른 한편에는 사람들이 시각 예술로부터 무엇이 ‘미’인가를 배운다는 사실을 인지한 아르보가 있다. 무용과 그림에 대한 비평적 언어들은 매우 밀접하게 상호 의존성을 드러낸다. 그러기에 미술과 무용에 대한 보다 나은 시각을 가지기 위해서 뿐 아니라 그 중심에 서 있는 인간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두 예술의 서로에 대한 관심과 탐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탈영토화·재영토화가 무용사 연구에 주는 시사점: 한반도 통일 전망을 위한 독일 통일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인 ( Sue In Kim )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 무용역사기록학 Vol.60 No.-

        이 연구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경계선의 이동이 문화예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춤과 국경의 문제를 다루어보고자 한다. 먼저 탈영토화와 재영토화라는 개념·용어의 의미와 문화예술 관점에서 그것의 시사점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분단과 통일을 경험한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무용사의 경우를 전망할 때 참고할 논점들을 고찰한다. 여기에서는 통일 후 서방의 우세로 말미암아 사그라지는 동독예술의 역사를 되돌아보기, 나와 다른 상대를 타자화하지 않기 위해 내가 서있는 토대를 질문하기, 공식적 서사가 놓칠 수 있는 개인사의 복잡성을 포용하는 균형잡힌 시각으로 기억하기, 분단의 국경 뿐 아니라 통일의 국경 너머를 폭넓게 조망하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다.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issues of dance and national borders focusing on the impact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border movements on art and culture. First, I examine the concep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and discuss their implications on art and culture. Next, I review the case of German Reunification, to draw parallels with its experience with division and reunification to Korean dance history. Here, I explore the historiography of East German art that faded due to the predominance of the West after reunification. I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ask questions about the foundation on which I stand in order not to otherize myself and others. A balanced perspective shall be sought to embrace the complexity of personal history that an official narrative may miss. I finally propose to have a broad view that goes beyond not only the borders of division but also the borders of unification.

      • KCI등재

        학문분과로서 무용의 다면성에 대한 고찰 : 무용의 신체, 교육, 예술, 학문의 사회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김수인 ( Kim Sue In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6 무용예술학연구 Vol.60 No.3

        This study discusses the multilateral nature of dance as an academic field. Highlighting the roles of universities in establishing dance as an academic field, I examine how particular rules and expectations of universities have directed dance programs’ goal and curriculums in three academic fields and/or college systems: physical education, art, and humanities. First, dance program had its inception within a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which used dance for women students’ recreational activity. Second, dance in art colleges aimed to train students to be a professional artist and performer. Third, the recognition on the lack of its academic aspects led dance scholars to seek facilities of humanities. With the crisis of humanities of today, dance in university has to redefine its academic and educational capacities. I suggest that the multilateral nature of dance contributes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what dance study is and what it should be.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무용학회지의 질적 연구와 학문적 글쓰기 동향 : 나와 본 연구자 사이

        김수인 ( Kim Sue In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4 무용예술학연구 Vol.49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academic writing from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Dance Research Journal of Korea, Korea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Research of Dance Education, Dance Research Journal (DRJ), Dance Chronicle: Studies of Dance and Related Arts (DC), Journal of Dance Education (JODE) from 2009 to 2013. Of 873 research articles, 70 qualitative studies articulate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methods, data analysis methods, reflection on research process, methods of validation, and methods of ethical issue treatment. In addition, I examine the academic writing styles, focusing on research title, expressions referring to the researcher(s), and reflections on researchers themselves. The analysis of qualitative study methods suggests that Korean and American dance scholarships are more or less similar. The analysis of academic writing styles suggests that American dance scholarship shows relatively higher percentage of qualitative writing characteristics in the all three areas.

      • KCI등재

        춤의 언어화, 문서화, 기록보관을 둘러싼 담론의 역사적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김수인 ( Sue In Kim ) 대한무용학회 201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1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discourse on dance writing, in which the tension between the ephemeral nature of dance and literary practice of writing contributes the conception of dance scholarship. The traditional dance studies with the modernist theories considers the ephemerality of dance to be overcome in order to acquire literacy, whereas the new dance studies with postmodern positions focuses on the paradigm of the way dance is written. Challenging the idea of objective and academic writing practice, the new dance studies embraces experimental narrative styles such as fictionalization of dance history, which incorporates subjectivity, memory, and imagination.

      • KCI등재

        댄스 리터러시에 있어 비판적 문화읽기의 중요성과 무용교육 사례에 관한 고찰

        김수인 ( Kim Sue In ) 한국무용예술학회 2021 무용예술학연구 Vol.84 No.4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riticality and reflexivity in the concept of dance literacy, this study discusses the influence of post-theories and cultural studies that have become the basis for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literacy. First, I examine the major academic discourses of cultural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literacy, focusing on the constructive nature of meaning, various possibilities of reading, and the power relationship. Next, I analyze four cases of critical dance studies, which recognize dancing body as a text in the areas of dance analysis, dance anthropology, dance pedagogy, and dance history. Finally, I propose class activities and techniques that help critical and reflective understanding of dance phenomenon by applying the critical literacy class technique. By reading and writing diverse versions of a dance, students understand that the meaning of the dance is selectively constructed depending on the context.

      • KCI등재

        무용 영화 속 신체, 섹슈얼리티, 사회적 차이에 대한 비판적 읽기 : 「더티 댄싱」, 「스텝 업 2」, 「블랙 스완」을 중심으로

        김수인 ( Kim Sue In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6 무용예술학연구 Vol.58 No.1

        This study undertakes a critical reading of three dance movies 「Dirty Dancing」(1987), 「Step Up 2: The Streets」(2008), 「Black Swan」(2010). By applying a lens of critical theory, cultural studies, and feminist theories as expressed in writings by Roland Barthes(1957), Laura Mulvey(1975), Richard Leppert(2000), Sherill Dodds(2001), and others, this investigation questions how dance movies represent dancing body, sexuality, and social differences, which reflect, construct, and distribute various kinds of myth about dance and the body. First, dancing bodies in the movies show a typical formula of popular screen, which display dancing bodies, female bodies in particular, to be looked at, controled, tamed, and consumed. Second, the movies reproduce a time-old myth of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sexuality, both of which reciprocally feed each other. Third, the movies represent dance as a utopian site where social differences such as class, race, and gender are easily resolved or a transcendental site over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 dance movies embed cultural meanings and relationships, which reproduce myths of dancing body, sexuality, and social difference.

      • KCI등재

        「댄싱9」 시즌 2의 언어적 표현 내용을 통해 구성된 경쟁에 대한 내용 분석

        김수인 ( Kim Sue In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4 무용예술학연구 Vol.51 No.6

        This study investigated a reality survival TV show 「Dancing9」 Season2, conducting a contents analysis of its linguistic contents. The data collection included transcribing ten episodes of the show. A cumulative coding process yielded seven categories, one of which was competition. The category of competition and its subcategories were weaved through a thematic narrative. Competition was accelerated by dramatic expressions such as war, mortal enemy, battle, survival, etc. Participants used “bad” and “fearful” strategies and speech acts. Participants competed not only with the opponent team(s) but also within their own team. However, the reality TV show with auditioning format brought in another layers of competition, which was constructed by the vote of the viewers. Viewers focused on participants’ personalities, which include consideration, concession, and team-spirit as valid components for competition. Since the show took in viewers’ votes in determining the winner, amity and reservation constructed the landscape of competition along with rivalry.

      • KCI등재후보

        공간 속에 움직이는 신체의 시각적 형태: 바로크 댄스, 퓨이에 노테이션, 그리고 데카르트파의 개념

        김수인 ( Sue In Kim ) 한국무용예술학회 2006 무용예술학연구 Vol.17 No.-

        퓨이에 노테이션과 데카르트 학파의 개념은 유사한 선호 요소를 드러낸다. 제스쳐, 스텝, 신체부분으로 움직임을 분해하는 퓨이에 노테이션의 분석적 시스템은 구별에 중점을 두는 수학적 방법에 비견될 수 있다. 해부학의 발달과 함께, 바로크 댄스와 퓨이에 노테이션은 움직임과 신체를 최소 단위로 분해하는 체계적이고 데 카르트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움직임을 구축한다. 추론이 실험을 선행하는 연역적이고 분석적인 방법은 퓨이에 노테이션이 야기한 기록이 춤에 선행하던 독특한 현상과 유사하다고 보여진다. 퓨이에 노테이션과 바로크 댄스에 잠재되어 있는 신체의 기계적 운용은 데카르트의 신체와 정신의 이분법에 근접하다. 시각성에 대한 강조와 함께, 움직임의 복잡성은 공연자의 신체에서 상징성을 대체한다. 결과적으로 공간속에 움직이는 신체의 시각적 형태를 포착하는 퓨이에 노테이션은 매테리얼리즘을 그 선호요소로 취한다. 또한, 퓨이에 노테이션은 수학적 방법과 이분법을 지지하는 데카르트 학파의 개념을 공통분모로 가진다. 바로크 문화의 영향력 있는 철학의 한 지류로, 데카르트 학파 개념은 신체, 움직임, 그리고 춤을 바라보는 문화적 인식과 정의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