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식포털기반 대학지식경영시스템 구축

        김세인,Kim, Se-Ihn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3 情報學硏究 Vol.6 No.1

        대학의 지식조직이다. 지식경영을 통해 지식자원을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적절히 전략화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학생, 교수, 직원 그리고 대학관계인을 중심으로 한 지식그룹을 지식커뮤니티로 통합하여 지식이전 및 공유 나아가서 지식창출이 활성화될 수 있는 대학환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식사용자의 개인별 정보맞춤서비스와 다양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식포털기술을 이용하여 대학의 “지식” 자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은 새로운 지식공유 및 유통환경, 지식창출문화 그리고 대학커뮤니티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학의 이미지제고와 경쟁우위의 대학발전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양착생생물의 출현 양상 및 패턴 분석을 통한 수중증거물 투기시간 추정연구

        김세인,이한성,김남율,추민규 한국해양경찰학회 2022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2 No.3

        오늘날 해양변사체 발견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조수·수온·수심·조류 등복잡한 해양 환경에서의 변사자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과학수사기법들은 육상 변사자를 기준으로 연구되어 해양 환경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해양에 특화된 수사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사건을 해결하는데 주요 단서가 될 수 있는 해양생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해양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존재하며, 특히 어느 기질에 붙어 생활사를 이어가는 생물을 착생생물이라고 한다. 착생생물은 특징상 계절변이가 심하고, 개체가 소멸될 때까지 처음에 위치했던 곳에서 존재하며, 소멸되더라도 그 흔적이 남기 때문에 시간추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착생생물을 이용하여 변사자 뿐만 아니라 해양에 버려진 증거물의 입수시간을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을 대상으로 착생 패턴을 연구하였다. 한반도의 해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전국 4개 지역에 침지시험장을 구축하고, 30일 간격으로 시료를 침지하여 분석하였다. 시간변화에 따라 해양생물 천이가 달라지므로, 이를 통한 시간 추정이 가능하며, 생물이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길이의 변화, 중량의 변화, 형태의 변화를 이용할 경우 해양에 노출된 시간 추정이 가능하다. 각 지역의 착생생물 출현 종, 무게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 화한 결과 환경에 따른 착생생물의 특징적인 분포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착생생물 출현종 중 외형이 뚜렷하여 종판별이 쉽고 광범위 자생하는 종을 선정 하여 출현양상 및 연중 성장률을 분석한 결과, 각 지역별 지표종을 이용한 해양 입수 추정시간 방정식을 산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담수 환경에서의 연구들과 달리 해양환경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 며, 특히 한반도 해양에 자생하는 해양생물을 지표종으로 하여 그 정확도를 높였다. 또한 시간에 따른 군집변화를 규명하여 증거물의 해양 입수시간 추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으며, 법생물학 연구의 데이터를 제시함으로써 관련 후속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인삼가격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金世寅,姜信正 中部大學校 農業開發硏究所 1996 農業開發硏究論文集 Vol.4 No.-

        This papers studies the time series analysis about Ginseng prices. The source data is Goksam (4 year, 300g) and Susam(4 year, 750g) which collected in Gumsan Ginseng market during 1981-1994. The forecasting method estimated is the weighted moving averages, exponential smoothing model with trend, Holt's two-parameter liner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exponential smoothing adjusted for trend and seasonal variation(Winter's model) and ARIMA analysis etc. Using a QSB and a Box-Jenkins computer program, we found below. 1. Susam prices moves seasonally more than Goksam prices. 2. Goksam forecasting model deemed ARIMA(1 1 0) process. 3. Susam forecasting model deemed ARIMA(0 1 0)(0 1 1)12 process.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we can propose another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example transfer function analysis, multivariable analysis.

      • KCI등재

        중소제조기업의 내부역량이 스마트제조 수준에 미치는 영향: 외부교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세인,김성수 한국산업경영학회 2022 경영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 도입 과정에서 내부자원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내부자원이 스마트제조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의한정된 자원을 보완하기 위한 외부교류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내부자원과 스마트제조 수준 간 외부교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국내 스마트제조를 도입한 129개 중소기업 제조업체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개발을 제외한 스마트제조 인프라, 인적자원, 흡수역량은스마트제조 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제조 내부자원 및 활동과 외부교류 간 분석으로 인프라, 연구개발, 흡수역량은 외부교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인적자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외부교류는 스마트제조 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마트제조 내부자원 및 활동으로서 인프라, 연구개발, 흡수역량이 스마트제조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부교류의 매개역할로 그 영향 정도가 증가하였으나, 인적자원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정적인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 도입에 있어서 내부자원 요소별 스마트제조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로서 이론적, 실용적 의미가 크다. 또한, 자원기반이론에 근거하여외부교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 KCI등재
      • 2023년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컨설팅 결과보고서

        김세인,김민성,이승연,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3 정신건강연구집 Vol.13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고 전문적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현안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조사 및 근거 자료를 바탕으로 정신 건강 환경변화에 맞춰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운영 전반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가 정신건강 정책 방향성 및 서울시 정신건강 및 자치구별 현황을 기반으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사례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KOSIS 국가통계포털 등을 활용한 기본 현황뿐만 아니라 자치구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별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MHIS) 현황, 집중사례관리서비스(ICM) 현황 등 정신건강복지센터 중심의 환경 및 현황 전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2022년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일반상담(접수상담)은 총 185,274건(평균 7,411건)으로 전년 대비 50,417건(평균 2,017건) 감소하였다. 전년과 동일하게 우울증 관련 상담이 가장 높았으며, 전화 상담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재난 상담의 영향으로 정보제공 비율이 가장 높았던 전년과 달리, 2022년에는 지속상담이 4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등록회원은 총 9,775명(평균 391.0명)으로 20대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일반상담(접수상담)과 달리 50대가 21.2%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F30코드의 비율이 45.5%로 가장 높았으며 전년 대비 많은 증감(1.4%p▲)을 보였다. 신규 등록회원은 2,643명(평균 105.7명)으로 신규 등록률은 27.0%로 나타났으며, 연계 회원은 2,032명(평균 81.3명)으로 연계율은 20.8%로 나타났다. 퇴록회원은 2,788명(평균 111.5명)으로 퇴록율은 22.2%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종결로 인한 퇴록이 57.1%로 가장 높았고, 세부 사유로는 본인 희망이 52.0%로 가장 높았다. 개별상담은 총 165,195건(평균 6,607.8건) 진행되었고, 이 중 대면상담 건수는 72,298건으로 전체 상담 건수 중 43.8%를 차지하였다. 연간 1회 이상 ISP를 수립하지 않은 대상자는 334명(평균 13.4명)으로 전체 등록회원 중 3.4%를 차지,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회원은 대부분 ISP를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ISP 수립 실인원 11,282명(평균 451.3명) 중 관리 구분 기간을 초과한 대상자는 3,039명(평균 121.6명)으로 26.9%를 차지하였다. 집중사례관리 서비스(ICM) 연인원은 대상자 10,460명(평균 418.4명), 사례관리자 2,701명(평균 108.0명)으로 사례관리자 1인당 대상자 3.9명을 관리하였다. 선정 사유는 불안정한 정신질환자가 1,022명(평균 40.9명)으로 51.9%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으며, 기능 향상으로 인한 종결이 640명(평균 25.6)으로 47.6%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다. 평균 개입 기간은 200.0일(약 6.7개월)로 나타났다. ▪결론: 정신건강 사업 관련 국가 동향 및 서울시 현황을 기반으로 2022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제공된 일반상담(접수상담), 등·퇴록 회원, 직접 서비스 등 MHIS 현황, ICM 현황 등을 중심으로 서울지역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일반상담(접수상담) 대상자는 주로 2·30대가, 등록회원은 주로 50대가, 신규 등록회원은 1·20대가 많은 특징을 보이며, 최근 주요 관심 이슈 중 하나인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 등을 위해 비교적 젊은 층의 신규 등록 대상자가 많은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일반상담(접수상담) 정신건강 문제 종류는 우울증이, 등록된 회원의 진단 코드는 F30코드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한 점 역시 특징적으로 보이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감소되었던 대면상담의 비율이 조금씩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신건강 관련 이슈의 증가 및 지속적인 정신 응급상황 발생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불안정한 인력 현황은 지속적인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최근 이상 동기 범죄와 정신건강 문제를 연결 짓는 등 관련 이슈가 다양해지면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역할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지역사회 내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본연의 업무인 정신질환자 대상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과 정신건강 위기 상황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문 기관에서 연계되는 대상자의 유입체계를 단일화하고 전문적인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후 증상이 안정화되면 지역에서 다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주요용어: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사례관리, 집중사례관리 ▪Purpose: This study examined current issues to ensure the stable operation of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while upholding their professional functions. Utilizing various surveys and evidence, this study aimed to support the overall functioning of these centers by assessing the current state of such welfare centers in alignment with the evolving mental health landscape and providing insights into future directions. ▪Methods: We analyzed the case management status of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Seoul spanning the years 2021 to 2022. This analysis was based on the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directives and considered the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specific dynamics of autonomous districts within Seoul.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fundamental statistical data provided by the KOSIS national statistics portal, the study encompassed an assessment of the broader environment and the status of such centers. This included the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system (MHIS) and the intensive case management service (ICM) provided by autonomous district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 Findings: In 2022, basic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recorded a total of 185,274 general consultations, which are intake consultations. On average, there were 7,411 consultations conducted throughout the year. This marked a decrease of 50,417 consultations (average of 2,017)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Similar to the previous year, consultations related to depression remained the most common. Telephone consultation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se interactions. However, in contrast to the previous year, when information provision was the most frequent owing to disaster counseling, in 2022, ongoing counseling was most prevalent, comprising 47.8% of the total consultations. There were 9,775 registered members, with an average of 391.0 members per center. Unlike general counseling (intake counseling), where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was among individuals in their 20s, in 2022, the rate wa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50s, at 21.2%. Notably, the percentage of F30 diagnostic codes was the highest, at 45.5%, indicating a significant increase (1.4 percentage points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Regarding membership, there were 2,643 and 2,032 new and affiliated members on average, representing a new registration rate of 27.0% and 20.8%,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2,788 withdrawals, averaging 111.5 withdrawals per center, a withdrawal rate of 22.2%. Of these, 57.1% were due to service termination, while 52.0% were initiated by the members themselves. In 2022, there were a total of 165,195 individual consultations, with an average of 6,607.8 consultations per center. Of these, 72,29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ace-to-face, accounting for 43.8%. A total of 334 participants (average 13.4) did not establish an Individualized Service Plan (ISP) at least once a year, representing 3.4% of the total registered members. This indicates that the majority of registered members at the basic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are actively engaged in the establishment of an ISP. Among the 11,282 participants (average 451.3) who did not establish an ISP, 3,039 (average 121.6) exceeded the management separation period, comprising 26.9% of this group. The ICM population comprised 10,460 clients, with an average of 418.4 clients per center, and 2,701 case managers, with an average of 108.0 case managers per center. This resulted in a ratio of 3.9 clients per case manager. The most common reason for selecting clients for ICM was unstable mental illness, accounting for 1,022 cases (with an average of 40.9), representing 51.9%. Additionally, closure due to functional improvement was a common reason, with 640 cases (with an average of 25.6), accounting for 47.6%. On average, the duration of intervention within the ICM program was 200.0 days, approximately 6.7 months. ▪Conclusions: Drawing from national trends and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projects in Seoul,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forementioned centers in Seoul for 2022, with a focus on elements including MHIS status, ICM status, general counseling (intake counseling), registered and unregistered members, as well as the direct services offered at these centers. The analysis revealed some significant findings: clients receiving general counseling (intake counseling) predominantly fell within the age range of 20-30. Registered members were primarily in their 50s. Newly registered members were mainly in their 10-20s, highlighting a notable influx of younger individuals seeking support for mental health treatment costs. This is a pertinent issue of concern in recent times. Depression emerged as the most common mental health concern in general counseling (intake counseling), and the diagnostic code F30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registered members’ diagnoses.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counseling, which had previously decreased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saw a slight increase.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Seoul’s basic mental health centers face challenges related to staffing stability in a rapidly evolving mental health landscape.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mental health-related issues and the recurring occurrence of mental emergencies add to these challenges. Notably, the diversification of issues, such as the link between abnormal crimes and mental health problems, is expected to intensify interest in mental health services.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basic mental health centers to strengthen their role in build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such centers remains to provide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This involves coordinating the intake system for individuals connected to various professional organizations to help them navigate mental health crises, deliver expert case management services, and support their reintegration into the community once their symptoms stabilize. ▪Keywords: Basic Mental Health Center, Mental Health Center,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Intensive Case Management

      • 알콜의 연속투여가 수면구조와 일부 정동에 미치는 영향

        김세인,신석철,왕성근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3 충남의대잡지 Vol.20 No.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term administration of alcohol on the sleep patterns and subjective physiological function(some aspects of emotion), the author applied polysomnography, reaction time and visual analogue test to the volunteer male students. The subjects were 8 healthy young adults, ranging in age from 21 to 26 years, without personal past nor present histories of singificant medical, neurological, or psychiatric illness and suffering from no current major sleep disturbances or parasomnias. After one night sleep of adaptation, each subject was ingested alcohol(43% whisky 3ml/kg) for 5 successive nights and was withdrawn for 3 days, and polysomnography was recorded in the sleep laboratory. Also, reaction time was performed and visual anlogue test were applied to measure the degree of fatigability, mood, and sleepiness for 5 times a day(at 9 : 00, at noon, at 15 : 00, at 18: 00 and at 21 : 0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ed with the baseline, sleep latency was significantly shortened during the period of alcohol drinking, and the absolute value(minutes) of stage 3, 4 sleep and SWS, and the relative value(%) of stage 4 slee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hird drinking night. 2. REM laten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hird and fifth drinking nigh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in REM number, REM cycle, and REM dur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the period of drinking and withdrawal nights and the baseline on WASO(waking time after sleep onset),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1st, 3rd and 5th drinking night and the baseline on the absolute value(minutes) of SW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3rd and 5th DN and the baseline on the relative value(%) of SWS. 4. Compared with the baseline, feeling of fatigue was significantly severe in the 3rd and 5th drinking day and in the 1st withdrawal da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3rd withdrawal day. 5. Compared with the baseline, mood was significantly worse in the 3rd and 5th drinking day and in the 1st withdrawal da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3rd withdrawal day. 6. Compared with the baseline, sleepi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3rd and 5th drinking day and in the 1st withdrawal day, and there was no diffenence in the 3rd withdrawal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