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도교적 인간의 생태성(生態性)

        김백희 ( Kim Baeg-hee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3

        본고는 후한 말기 발생한 종교인 도교 전통 속에서, 도교적 인간관의 기본 구조를 철학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교적 인간관이 지닌 생태학적 의미를 음미하였다. 도교의 인간관은 기본적으로 도가철학의 세계관을 수용하면서 정립된다. 그러나 도교는 우주자연 속에 인격성을 지닌 신격(神格)들을 상정하는 다신교(多神敎) 체계를 구축하면서 종교적 인간관을 제시한다. 인간의 본성이 지니는 주요 요소들은 자연성(自然性)·도성(道性)·신성(神性)이다. 자연성은 인간이 우주자연의 일부로서 만물과 존재론적 동일성을 지닌다는 의미이다. 도성은 만물의 하나인 인간이 우주자연의 법칙인 도(道)를 분유(分有)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신성은 인간이 만물 중에 영명한 기운인 신성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인데, 도교적 인간은 양생(養生)·성선(成仙)을 이루어 신격의 단계로 고양될 수 있다. 생태학적 세계관에서 인간은 자연의 일부일 뿐이다. 도교의 인간관도 원론적으로 이와 같다. 인간은 자연과 일원적 동일성을 지닌다. 자연과 인간은 서로 소통하며 교류하는데, 여기에서 인간이 자연과 서로 교응(交應)한다는 천인감응설이 도출된다. 세계와 인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식은 도교와 생태학이 근원적 유사성을 지닌다. 이 지점에서 도교의 인간관은 생태학적 인간관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며 만날 수 있는 접점에 도달한다. Religious Taoism and Ecology share a similar organic worldview. Human views are logically derived from the worldview. Taoist human beings are divided into two types: secular humans(凡人) and holy humans(神仙). Secular human beings can reach the level of holy human beings by self-cultivation. Holy human beings are ecologically united with nature. Human beings in religious Taoism have three characteristics: naturality, provision of nature, inter-relational response. According to religious Taoism, for instance things of the same kind cluster while sounds of same frequency harmonize. Like religious Taoism, in the Ecological worldview, humans are only part of nature. Human nature is like nature. Humans communicate with nature in ontological dimension. Religious Taoism and Ecology have fundamental similaritie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At this point, religious Taoism's view of humanity reaches a match-point where it can naturally meet with ecological one.

      • KCI등재

        신과학기술혁명시대의 유교윤리주체

        김백희 ( Kim Baeg-hee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9

        이 글은 신과학기술혁명시대에 유교의 인간관에서 규정되는 윤리주체로서의 인간이 새로운 희망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구명하고자 한다. 유교의 사유방식이 자연과 인간을 존재론적 동일체로 이해한다는 점에서 새로이 도래하는 신과학기술혁명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새로운 시대는 인간 주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천을 요구한다.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여 생존할 수 있는 새로운 인간 주체가 필요한 것이다. 동아시아의 전통적 세계관과 인간관을 대표하던 유교는 근대산업사회의 등장과 함께 생명력을 잃었다. 근대사회는 자연과 인간의 존재론적 동일성의 고리를 끊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독존적(獨尊的) 존엄성을 주장하였다. 이 시기의 인간은 자연의 지배자이며 약탈자로서, 인간의 복락을 위해 자연을 파괴하는 존재로 규정되었다. 농업사회를 기반으로 형성되었던 유교는 새로운 근대적 산업사회의 격동기에서 존립할 근거를 갖지 못했다. 이제 신과학기술혁명 사회의 도래와 함께 문화적 정체성을 정립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인간 주체를 회복해야만 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새로운 신과학기술혁명시대의 핵심적 특징은 인공지능이 보여주듯이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가 허물어진다는 것이다. 이제 근대적 3차 산업사회를 극복하면서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철학적 사유가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공자의 유교 정립 이래로 근대의 실학까지 지속적으로 계승되는 정신이 바로 실사구시(實事求是)이다. 유교는 농업사회의 실질적 효용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화해와 중화(中和)를 소중한 가치로 키워왔다. 이런 효용성은 우주자연의 생명과 인간사회의 모든 가치가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원리를 따른다. 그러므로 이런 가치는 새로운 신과학기술혁명 사회의 원리로 적용되는데 유용하다. 새로운 신과학기술혁명 사회의 세계관은 근대적 산업사회의 인간중심주의를 불식(拂拭)하고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교적 전통은 새로운 신과학기술혁명 시대의 사회에서 단절적으로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우주자연과 인간을 연결하는 유기적 전일성(全一性: Wholeness)을 수용하고 인식하는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유교적 인간 주체는 동일한 세계관을 공유하는 새로운 신과학기술혁명 사회의 윤리주체로서 새로운 각광을 받게 될 것이다. Universal life on Earth is possible through the Balance of the Cosmos. But without this Balance, according to Confucianism, cosmos as a dynamic system becomes the way of processing in change (生滅變化法則) and dynamic reality itself (力動的實在) in the world or cosmos. Confucianism takes up the position of deontological ethics. Ethical deontology is a theory based purely on obligation or duty. Confucianism emphasizes the practice of the Way(道: 仁義禮智). Because Confucianism deduces the ethical norms from the Way, it sees the Way as benevolent. This Perspective is related to Confucian Cosmology: benevolence(仁) can extend endlessly through the rites(禮) in society. Confucianism regards Cosmos as Endless Transformation, Spontaneous Transformation, Intrinsic Balance in Transformation, Vital Fluid of Transformation and Value-intentional Transformation. Confucianism in the human world as Cosmos evokes how to accept or be responsive toward deontological nature through the practice of the way of process in changing. The age of the New Scientific-Industrial Revolution is on its way. The whole world is going digital, and this digital lifestyle is changing the way we all work, play, communicate, and live. Although changes will probably be subtle and take time, people all over the world are anticipating with interest the new era in the civilized world. Human beings of modern society think that human mastery of the natural world is natural. But, like Confucianism, the world view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elieved in a Cosmic relation between man and nature. Nature and human beings are the same substance in the New Scientific-Industrial Revolutionary Epoch. According to Confucian perspective, the myriad creatures with human beings follow the norm as the way of process in changing.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deontological obligation or duty of all Confucian men that practice the norms of the age of New Scientific-Industrial Revolutionary Epoch.

      • KCI등재

        동양철학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

        김백희 ( Kim Baeg-hee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6

        유교의 사유구조 속에서 자연세계와 인간의 관계는 존재론적 연속성을 갖는다. 자연세계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본질은 자연의 본질과 같다. 공맹(孔孟)의 원시유교부터 정주(程朱)의 성리학에 이르기 까지 유교는 근본적으로 윤리적 우주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우주의 본질은 원형이정(元亨利貞)이다. 이것은 인간의 본질인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근본적으로 연속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인간의 정체성은 인의예지를 본질적 가치로 삼는 성(性)에 근거를 둔다. 도교의 사유체계 속에서 인간의 본질은 자연의 본질과 같다. 이것은 인위적 욕망의 왜곡으로 일그러지지 않는 저절로 그러함의 의미로 “자연(自然)”이다. 자연생명의 일부로서 인간의 본질이 위상을 갖는다. 인간은 자연의 법칙인 무위자연을 삶의 규범으로 삼는다. 유교와 도교의 사상은 기본적으로 유기체적 세계를 구상하고 있다. 다만 유교의 세계관은 인의예지의 가치를 우주의 본질로 구상하였고, 도교의 세계관은 가치중립적인 우주를 구상하였다. 그러나 양자의 세계관은 기화(氣化)의 자연관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우주론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현대문명의 인간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기대어 자연에 대한 존재론적 우위가 있다는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여명을 앞두고, 인간은 자연의 사물을 앞에 두고 자아의 정체성을 배타적으로 고수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자연의 사물과 구분되는 “배타적 존엄성을 지닌 인간”이라는 이념은 폐기될 상황에 도달한 것이다. 이제 인간은 자연의 사물과 존재론적으로 단절된 존재가 아니라 사물 속에 자아가 연장(延長)되고, 사물의 지지(支持)와 연관(聯關) 상태로 존재의 지속을 이룰 수밖에 없는 시대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낯선 상황의 도래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의식에 불안과 공포를 가져다준다. 유교와 도교는 자연의 사물과 인간이 존재론적으로 단절된 배타적 관계가 아니라, 유기적 연속성을 갖는 하나의 범주로 이해해 왔다.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을 예기(豫期)하면서 유교와 도교의 선행적 사유방식을 바탕으로 미래를 대비하는 통찰력을 길러 낼 수 있을 것이다.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there is a continuity between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The nature of the Cosmos is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仁義禮知). These four values are the nature of Cosmos simultaneously.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aoism, there is also a continuity between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But the nature of the Cosmos for Taoists is < wuwei(無爲; effortless, non-calculative responsiveness) > and < ziran(自然; as self-so-ness) >. Taoists have a value-neutral attitude. They all contain organisms with a view of the world. Humankind is no longer the Lord of Creation. In the view of Eastern philosophy all things are equal. Taoism and Confucianism regard the cosmos as an endless transformation. Before all things in the cosmos, human beings are also all equal. All things are both value-neutral and characterized by intrinsic balance and fluidity. The high ethical standpoint is that we must search for good ethical conduct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astern philosophy will be helpful to revive the meaning of the new age.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 전기 유학의 윤리적 주체성 형성과 변형 -정도전과 이황을 중심으로-

        김백희 ( Baeg Hee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조선의 건국자들은 건국초기부터 유학적 이념으로 수양된 유학적 주체의 형성에 관심을 가졌다. 건국기의 정도전이 구상한 윤리적 주체성의 본질은 건국 초기 주자학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주자학적 인간이다. 이들은 주자학의 명분론적 사회질서에 순응하며, 주자학적 공동체의 건설에 헌신하는 백성이며 국민이다. 이를 위해 정도전은 주자학의 이론에 저해되는 다른 유형의 사상들을 비판하는 것으로 주자학적 정체성을 확보해 나아갔다. 정도전이 구상한 윤리적 주체는 건국 초기의 공동체 건설에 헌신하는 주자학적 인간이었다. 이런 인간은 개별적 자율성에 입각하여 다양성을 만들어가는 자유로운 인간이라기보다는 사회통합의 이념에 동조하고, 공동체 전체의 질서에 공헌하는 집단적 지성의 일원이다. 수성기의 이황이 구상한 윤리적 주체성의 본질은 건국 이후 사회적 안정기에 접어든 주자학적 공동체의 능동적 실천자이다. 주자학적 이념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이루고, 사회적으로 도덕적 가치를 능동적으로 실현하면서 살아가는 백성이며 국민이다. 이를 위해 이황은 본성의 자발적 가치실현의 역동성을 확보하고자 이발(理發) 즉 성발(性發)을 주장하였다. 주자학적 가치를 실현하는 도덕적 주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황은 같은 유학의 범주에 들어가는 양명학도 엄격하게 비판하였다. 이황이 구상한 윤리적 주체는 안정적 사회 조직에서 묵묵히 주자학적 가치를 실현해 가는 능동적 실천가이다. 이런 윤리적 주체는 개인의 수양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안정된 공동체의 교화에 자발적으로 헌신하는 자유로운 양심의 담지자이다. 이와 같이, 주자학을 건국이념으로 내세우고 등장한 조선의 윤리적 상황을 살펴보면, 사회적 공동체의 윤리적 주체성을 확보해가는 과정에서 주체가 형성되고 변형되는 미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건국초기의 윤리적 주체를 철학적으로 형성한 사람이 정도전이라고 본다면, 이황은 이런 주체의 모습을 수성 시기의 윤리적 주체로 변형시켜 확립한 철학자로 볼 수 있다. Known as “the stud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songnihak), this learning encompassed metaphysics, cosmology, and philosophy of man in the scope of a unified anthropocosmic vision. As Neo-Confucianist Chong Dojeon was a prime mover in the founding process of the new dynasty. In his Philosophical works he outlined the Neo-Confucian point of view and aggressively turned against Buddhism. His major concern was the building of the literati (sadaebu 士大夫)’ identity that would function through benevolence rather than force. In this sense he followed the Neo-Confucian tradition that eschewed coercion and espoused intrinsic virtue as the sole means for winning the people’s hearts. Yi Hwang was a great Confucian of the mid-Joseon dynasty about the most famous Philosophical controversy of the Four-Debate in Korea’s history. The document that really began the Four-Debate in earnest was Yi Hwang’s fammous “twelve-paragraph letter”. In correcting a work “Cheonmyeongdo(Diagram of the Heavenly Mandate)” by Cheong Jiun, and through discussion with Ki Taesung, Yi Hwang had happened to state that a twelve-paragraph letter. He conclude that “in the case of the Four Begging, principle issues them and material force follows it; in the case of the Seven Feelings, material force issues them and principle mounts it.”Most significantly, in Chong Dojeon’ case ethical Identity of Neo-Confucianism is the literati who well-elaborated on the five moral imperatives (Oryun) and Three Cardinal Guides(Samgang). In Neo-Confucian ideas in Early Joseon Dynasty were the foundations of the Confucian social order, which specify that a ruler ‘guides’ the ruled, a father ‘guides’ his son and a husband ‘guides’ his wife. In Yi Hwang’ case the ethical Identity was in theory of mutual issuance of the principle and material force(Ligi hobalsol). Yi Hwang’s Ethical Identity was a dynamic subject in the mid-Joseon dynasty.

      • KCI등재

        효(孝) 윤리의 공공성

        김백희 ( Baeg Hee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0

        유가의 철학에서 볼 때, 인간다움의 본질을 탐구하고 실현하는 차원에서 효가 근본적 역할을 수행한다. 효는 전통사회 속에서 사회통합의 공공성으로서 성공적인 기능을 발휘했다. 이 때문에 현대 자본주의 상품소비사회 속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인간은 물질적 만족으로만 살 수 없는 윤리적 존재이다. 문명의 급변과 사회질서의 역동적 혼란 속에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우리현실에서 볼 때에 사회통합의 원리로서 기능하는 효에 대한 숙고와 실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개인이 가족 내에서 부모에게 효도하고, 사회적 윤리 규범을 준수하며, 국가의 통합적 질서에 순응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효의 실천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전통사회의 사회통합적 공공성으로서의 효는 현대의 민주적 시민이 갖추어야할 준법성ㆍ국가관ㆍ가치관 등의 덕목과 함께 신중히 고려되어야할 사회윤리적 공공철학의 원리가 된다. 그러므로 현대사회 속에서도 여전히 공공철학으로서의 효 윤리를 확산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 First, in Confucian philosophy, a filial piety (孝) is a sort of virtue of respect for one``s parents, elders, and ancestors. The filial piety can also be applied to social integration. The term is central to Confucian social ethics in China and Korea. Second, The Ethical norms of any society are realized upon its ontological thinking. And to go one step further, its system of social orders or its dominating social Integration are also up to a certain degree influenced by this inter-dynamic relation of the ethical norm and ontological concept. The filial piety is a sort of principle of Public nature in pre-modern society, and is necessary in modern times. In the modern style the filial piety demands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democratic-capital society of Korea. Third, the education of the filial piety should be broadened. Because in present-day capital society with the rich and the poor sharply contrasted the filial piety as principle of Public nature is still in effect.

      • 곽점본(郭店本)『노자』 의 정치관과 공맹(孔孟)

        김백희 한국동서철학회 2001 동서철학연구 Vol.21 No.1

        유가와 도가가 중국철학의 가장 큰 양대 조류이다. 이 두 계열의 학문은 중국의 오랜 농경문화에 뿌리를 둔 자연철학의 사유방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자연의 변화에 큰 관심을 표명하였다. 이들은 모두 日月의 운행과 四季의 순환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혜를 얻고자 한 것이다. 이는 농경을 주로 하는 삶의 양식에서 필수 불가결한 사유라 할 수 있다. 우주자연을 보는 유가와 도가의 사유방식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郭店 楚簡本『老子』의 정치관과 공맹의 사유를 비교해보면 몇 가지 특징을 구체화할 수 있다. 즉 『노자』는 공맹유가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聖과 仁, 義, 慈등을 부정하지 않았다. 그리고 『노자』의 정치 철학은 無爲의 정치와 有爲의 정치가 조화로운 관계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이상적인 상태로 여겼다. 공자와 맹자가 仁義의 정치를 주장한 것은 사실이지만, 공맹의 정치사상에서 無爲의 정치를 외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노자』의 입장도 무위 일변도의 정치를 고집한 것이 아니다. 『노자』에 보이는 반문명적, 반인위적 진술들의 성격은 춘추말기의 고통스럽고 혼란한 사회상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 기인한다. 『노자』는 사회와 문명의 발전 속에서 인간의 타고난 자연스러운 본성이 파괴되었기 때문에, 유위에 과도하게 경도된 인본주의적 질서자체를 거부한다. 이것은 자연과 인간이 분리 대립되는 인간중심의 문화 문명 속에서, 인간과 자연이 조화 균형을 이루는 본래상태 구조의 회복을 주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유위의 과잉으로 인한 인위적 유위와 무위의 역동적 균형성을 갖는 것이 자연스러운 삶의 모습이다. 평화로운 세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부득이하게 전쟁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전쟁과 평화가 상호 긴장관계를 이루며 인간세를 이룰 수밖에 없는 이중성의 교직을 말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성현영(成玄英)『노자의소(老子義疏)』 의 도(道)

        김백희 한국동서철학회 2000 동서철학연구 Vol.20 No.1

        『노자』의 출현이래 다양한 주석서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 唐代 成玄英의 『노자의소』는 도교와 불교의 자연스런 융합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주석이라고 할 수 있다. 『노자의소』에서 보이는 다양한 사상적 갈래들은 근본적으로 "도"개념의 축을 중심으로 엮여 있다. 이는 아무리 도교적인 토대 위에서 불교와 유교와 『장자』와 『易』의 사상을 아우른 것이 『노자의소』라 해도, 근본적으로 『노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이 저작의 성격을 말해준다. 『郭店 楚簡本 老子』의 사유와 비교하면서 『노자의소』의 "道"개념을 고찰해보면 성현영이 근본적으로 『노자』의 사유구조를 답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바로 道가 역동적 본체로서의 "기"와 변화생멸의 "법칙"이라는 양면을 갖는다는 것이다. 즉 "도는 기"이다. 그리고 그 도가 스스로 내재적인 힘에 따라 자기전개의 과정을 거쳐 우주자연을 형성하는데, 그 우주자연이 생셩 소멸의 운행이라는 변화과정을 지속할 때 내재되는 법칙은 바로 道이다. 우주자연의 생성은 "道 즉 氣"의 자기전개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자기내적인 법칙을 따라 운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동적 본체로서의 道는 늘 본체로서의 도와 함께 그 기능을 발휘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체와 법칙은 언제나 『노자』와 『노자의소』의 道의 담론에서 상호 함축적으로 "不而不二"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생성론적 사유에서의 역동적 본체인 "道 즉 氣와 상관대대론적 사유에서의 우주자연의 법칙인 "道 즉 法則"의 이중성을 지니면서 상호 交織되어 있다. "도"를 역동적 본체로서의 의미와 법칙으로서의 의미를 함께 지니는 것으로 보는 성현영의 『老子義疏』에서도 이와 같은 사유방식의 이중성을 확인 할 수 있다.

      • 실체와 관계 : 『 노자 』 도의 이중성

        김백희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人文學誌 Vol.22 No.1

        The problem tackled in this essay is two points of view on Laozi, Ontologico-cosmological Thinking and Co-relational Thinking in Ancient China. I think that there is a mixed fabric of these ways of thinking. As everyone knows, so-called Tao(道) is the hard core concept of Laozi. As Chinese tradition has it, we are indebted to a border guard with philosophical proclivities for the existence of the key Daoist text, the Laozi, also known under the name of its reputed author, Laozi. The text itself is problematic from a scholary point of view and a number of passages are corrupted, and some are so abstruse as to be incomprehensible. I think that the concept of Tao is a multi-dimensional one. The most common rendering of the Chinese term is $quot;Way$quot;, which most closely approximates the original. Tao is the $quot;Way$quot; in both the concrete sense of a road travelled and the more abstract sense of the natural course or route to be followed. According to Laozi, Tao is the way things becomes, the way of process in changing(生滅變化法則) and dynamic substance itself(力動的實體) in the world or cosmos. Therefore the meanings of Tao have two dimensional one. Tao is a kind of principle things become. Secondly, Tao is a kind of dynamic reality by itself things become. there is interdependence between principle and dynamic substance in the system of Laozi. Because Tao as a kind of principle is very a principle of dynamic substance in changing cosmos and Tao as a kind of dynamic substance is reality following its principle. Thus Tao is two meanings both principle and dynamic reality. I think that this system of Laozi is the mixed fabric of two ways of thinking, Ontologico-cosmological Thinking and Co-relational Thinking. Co-relational Thinking is concerned about a principle of process in the changing world and Ontologico-cosmological Thinking is concerned about a dynamic reality organize the changing cosmos by self-developing. I designate this mixed fabric of Two ways of thinking to the textile of dual thinking in Laozi. what is more, I think that the way of thinking as human mind is transcendentally dual and ambiguous. These features is natu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