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デパ-トと市場の接客言語行動に關する事例硏究

        김미정 한국사회언어학회 2003 사회언어학 Vol.11 No.1

        김미정. 2003. A Case Study of Language Behavior in Waiting on Customers at Department Stores and Marketplaces. The SocioIingujstic Journal of Korea, 11(1). 본고는 한국의 백화점과 시장에 있어서의 접객언어 행동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에는 필자가 직접 손님이 되어 백화점 점원, 시장 상인들과 나눈 회화를 수록, 문자화한 자료를 사용했다. 문자화자료는 발화문단위로 나누어, 백화점의 점원 및 시장 상인의 발화에 나타난 문말표현 형식에 주목하였다. 고찰의 대상이 되는 장면은, 가장 정형적(定型的)인 응대가 예상되는 백화점 대표안내의 전화응대를 비롯하여, 백화점의 대면접객과 시장 상인들의 접객의 세 장면이다. 분석결과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백화점의 전화응대에서는, 백화점의 성격에 따라서 출현율에 차이는 있지만, 한국어의 polite formal style인 「합쇼채」는 기본접객용어와 같은 매뉴얼발화에 출현하고, 손님과의 교섭에 있어서의 세세한 대응은 「해요체」가 중심이 되어 단정을 피하며 부드럽게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시장에서는 방언형 「하이소체」>「해예체」와 비경의체인 반말 등, 여러 가지 스타일이 다양하게 출현하고 있다. 또한 농담이나 웃음을 동반하는 발화내용에 의한 배려표현과 함께 일상적으로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시장의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신세대 타겟의 광고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김미정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200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14 No.1

        세계 1차 대전을 배경으로 하여 일어난 초현실주의(Surrealism) 운동은 전위적인 문화, 예술 활동으로서 전쟁을 겪으며 위선과 부조리로 가득 찬 현실에 대하여 회의를 느낀 지각 있는 예술가들은 초자연적이고 초현실적인 미지의 세계를 열망하여 무의식의 세계로 관심을 돌리고 비현실적인 상상과 꿈의 세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초현실주의는 그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우리 주위애서 접할 수 있을 만큼 예술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광고는 어떤 분야 보다고 초현실주의적 기법을 가장 자주 펀할 수 있는 분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현재에 와서 신세대틀 겨냥한 상품들의 광고에서 초현실주의적 표현이 적극적으로 보여 지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초현실주의의 개요를 살펴보고 신세대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신세대들을 겨냥한 광고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광고표현 기법과 그 배경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Surrealism is an avant-garde art and cultural movement created from the World War I. Experiencing the war, many discreet artists became skeptical about the reality filled with hypocrisy and absurdity. So they were getting anxious for supernaturalness and surrealism and attracted by the unconsciousness that they started to express the visual image of imagery, dream and illusion. Surrealism movement affects the enormous influence on the whole field of art so that we can access it in various ways even though it's period was not so long. Among the many field of art, the advertisement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ble field that Surrealism expression is used than any other field. Especially at the present time, Surrealism expression appears more frequently on the advertisement that aims the new generation.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Surre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will be summarized. And, through the analyze of the new generation,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Surrealism expression on the advertisement for the .new generation will be studied.

      • KCI등재

        국경을 넘는 페미니즘과 ‘얼굴없음’의 정동 : 『82년생 김지영』 일본어 번역을 중심으로

        김미정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of how Nam-joo Jo’s novel, 『Kim Ji-young, born 1982』 (2016) has been read and distributed since it was translated into Japan in 2018. This novel sparked a great debate in Korean criticism in 2017. In particular, the critical perception of “political correctness”, “popular feminism” and “representation form” in relation to this novel in Korea is still not being dispelled. Discussions in Korea are rotating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modern aesthetics. At this time, the translation of this novel overseas and examining its situation will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current discussion in Korea, and further discussion can be promoted. It is believed that the socalled external perspective is necessary. In this sense of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situation in which 『Kim Ji-young, born in 1982』 in 2018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and distributed in a discourse. First of all, in Japan, this novel is known only to have played a role in the priming water of the K-feminism+K literature boom, but it has been accepted since the 2000s as an expression of re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neo-liberalism in Japan. This novel was in the place where the discourse of generations in Japan leads to gender discourse and is revived. In addition, this novel was read as a message that actively resisted hate-speech and misogyny in Japan in the 2010s when neo-liberalism and neo-conservatism were unfolding. This was confirmed by reviewing various discussions in Japan from translation in 2018 until recently, and corresponds to the contents of chapter 2-4. However, the enthusiasm of the public for this novel itself was set as an example of popular feminism. In particular, new media via the Internet was an important platform for the distribution of this novel. Therefore, the unoptimistic sentiment toward popular feminism, which has been a concern in Korea, is likely to be projected into the translation boom in Japan. However,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transla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itself questioned and changed the gender dynamics of the traditional public sphere in Japan. This was elucidated in chapter 5. It is necessary in research work to contextualize and signify phenomena in a simple structure. Today, however, the situation quickly flows and changes. Before framing the issue concisely, what is needed first may be a gaze for sensitivity and affect that are not easily recovered by the existing representation system. Now, the reader's desire and affect cannot be explained in the modern representation system. This is a measure of the different conditions of literature today. Affect is transindividual. The image of facelessness on the book cover is distributed like a symbol. However, anonymous readers find the possibility of projecting each one onto that empty face. Ironically, the representation in this novel is rather set as an investigation of affect and virtuality. This is beyond the novel or the identification of the reader. It also reminds us of the old memories of literature that could not be reduced to individual writers or printed works. 본고는, 조남주의 소설 『82년생 김지영』(2016)이 2018년 일본에 번역된 이래로 읽히고 유통되는 상황을 검토한다. 이 소설은, 2017년 한국의 문학계에서도 논쟁을 불러일으킨 바 있고, 특히 이 소설과 관련한 ‘정치적 올바름’ ‘대중 페미니즘’ ‘재현 형식’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지금도 불식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 소설 현상이 근대 미학의 원리를 전방위적으로 질문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방식의 출구가 필요해 보이기도 한다. 이때 이른바 외부의 관점, 즉 이 소설의 해외 번역 상황을 살피는 일은, 현재 한국에서의 논의틀을 갱신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우선 이 소설은 일본 내 K페미+K문학 붐의 마중물 역할을 한 것으로만 알려져있지만, 2000년대 이후 일본의 신자유주의 저항 언설의 ‘표현’을 이어받으며 받아들여진다. 일본의 2000년대 중후반 대중적 세대(프레카리아트) 담론·운동은,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 담론·운동으로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흥미롭게 볼 것은, 세대 운동과 젠더·페미니즘 운동의 결정적인 차이로서 당사자가 가시화하느냐 마느냐를 둘러싼 재현법이다. 단적인 사례로, 아마미야 가린이 주도한 세대 투쟁이 당사자를 가시화하는 재현전략에 관련된 것과 달리, 『82년생 김지영』을 매개로 한 일본 내 대중 페미니즘의 발흥은 당사자 얼굴을 비가시화하는 전략에 상응한다. 얼굴을 드러낼 것인지 말 것인지를 둘러싼 차이는, 단일한 주체를 상정하는 운동이냐, 무명의 복수성을 호환시킬 방법적 탈주체의 운동이냐의 차이다. 또한 『82년생 김지영』은, 신자유주의, 정치적 신보수주의가 전개되는2010년대 일본의 혐오발화(hate-speech)와 여성혐오(misogyny)에 적극적으로 항거하는 메시지로 읽히기도 했다. 이 점은 소설의 약점으로 지적되어 온 단일하고 소박한 여성연대 이미지(혐의)를 다양하게 분할하는 독법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내용은 본 논문의 2-4절의 내용에서 다루었다. 그런데 한편으로 이 소설에 대한 열광 자체는 대중 페미니즘의 사례로 지목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인터넷을 매개로 하는 뉴미디어가 이 소설 유통의 중요한 플랫폼이다. 그렇기에 한국에서의 대중 페미니즘이나 진영논리에 대한 우려가 일본 내 번역붐에 그대로 투사되기도 쉽다. 하지만 소설의 번역, 유통 과정 자체가 일본 내 전통적 공론장의 젠더 역학을 정면에서 질문한 측면은 중요하게 보아야 하고, 오늘날 일본군 위안부 운동, 한일 미투 연대 등의 활동과 연결되는 지점도 주목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5절에서 이러한 내용을 규명했다. 계속 진행중인 『82년생 김지영』 현상을 간명한 구조로 맥락화, 의미화하는 것은 연구작업에서 필요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은 사안마다의 상황이 숨가쁘게 유동하고 변화한다. 지금 그 사안을 간명하게 프레이밍 하기 이전에 우선필요한 것은, 기존의 표상체계로 쉽게 회수되지 않는 감수성, 정동에 대한 직시(直視)일지 모른다. 특히 근대적 재현=대표=표상(representation) 체계로 온전히 설명되지 않는 독자의 욕망과 정동, 그리고 개체적 저자성의 의미로 환원시킬수 없는 이 소설 현상은, 가치 판단 이전에 오늘날 문학의 달라진 조건을 가늠케한다. 정동이란 본래 특정 개인으로 환원될 수 없는 초개체적 웅성걸림이다. 표지의 '얼굴없는 두상 이미지가 일종의 표상처럼 유통되고 있지만 오늘날 무명의 독자들은 그 비어있 ...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남성헤어스타일 변천에 관한 연구(제1보)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남자연예인을 중심으로-

        김미정,박숙현,김희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0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1 No.3

        This paper covers the analysis of male celebrity's hair style which is separated by length, color, fringe, texture, wave for the period of 1950 to 1999. In the '50s shown the short hair with no fringe and it is slicked-back hair and which are long crew high collar style. In the '60s popular hair style was short black hair with a part or pomaded one's hair swept back to make slicked-back hair. Long hair for men came in in the '70s and '80s. It was a medium length of black hair which has a one part, cover ears. It seems a wind blown tangle hair. And short flattop style was appeared in '9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