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우구스투스 시대 센서스와 시민 수 문제

        김덕수 ( Kim Deogsu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9 No.-

        본 논문은 아우구스투스가 행한 세 차례의 센서스의 수치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생긴 논쟁을 소개하고 센서스 제도의 운영에서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변화를 해명하려는 것이다. 아우구스투스 등장 이전까지 36회의 센서스 기록이 확인되고 있는 데 공화정기의 마지막 센서스는 기원전 70/69년에 끝났다. 이후 41년만인 기원전 28년에 다시 센서스를 시행한 아우구스투스는 그의 치세동안 두 차례-기원전 8년과 서기 14년- 더 센서스를 시행했다. 흥미로운 것은 35회까지 센서스에 등재된 시민 수가 10만명에서 40만 명 사이로 공표되었고, 공화정기 마지막 36회 센서스인 기원전 69년의 수치가 91만 명으로 올라가더니 41년이 지난 기원전 28년에 아우구스투스가 행한 최초의 센서스에서 시민 수가 4백 6만 3천명으로 4배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처럼 41년 사이에 공표된 시민수가 4배 이상 급증한 것은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이에 대한 해석을 둘러 싸고 현대의 로마사가들 사이에 논란이 일게 되었다. 아우구스투스의 센서스 수치에 대해서 일찍이 19세기 말에 벨로흐가 이른바 전통론으로 불리는 저인구추정론(low count scenario)을 제시한 바가 있고, 그의 견해는 20세기 후반까지 학계의 주류가 되었다. 저인구추정론은 공화정기 센서스 시민 수는 모든 성인남자시민 수를 뜻한 반면 아우구스투스 치세에 오면 성인 남자 시민 수에 그 가족인 부인과 자식들의 수가 더해졌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1924년에 테니 프랑크의 수정론인 고인구 추정론(high count scenario)이 나와서 20세기 후반에는 전통론을 대체하는 분위기였다. 이에 따르면 공화정기나 아우구스투스 치세때나 모두 성인 남자 시민 수가 공표된 것으로 보고, 다만 이탈리아 동맹국에게 로마 시민권을 부여한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동맹국 출신 신시민들의 수치가 기원전 69년 센서스에서는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카이사르 시대 이후 언제인가 로마가 아닌 자치시나 현지에서 센서스 등록을 하는 제도가 시행됨으로써 그 수치가 네배나 증가되었다고 본 것이다. 최근 양 이론을 비판하면서 사스키아 힌에 의해 신수정론이라 부를 수 있는 중 인구추정론(middle count scenario)이 나와 공화정기는 성인 남자 자권자 시민이, 그리고 아우구스투스 치세에는 여기에 여자와 아동 중 자권자가 포함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해 연구의 지평을 확대했으나 아직은 소수 의견에 머무르고 있다. 필자는 고인구추정론을 지지하며 아우구스투스가 공화정의 회복을 주창하면서 센서스가 명실상부하게 로마 시민 수가 센서스에 반영된 수 있는 합리적인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신시민이나 속주에 나가있는 로마 시민이 등록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프린키파투스 체제의 시민 정체성을 확대했다고 평가했다. The Res Gestae Divi Augusti (8.2-3) accounts for the census and the lustrum of 28 BC, 8 BC, and AD 14 and reports the numbers of citizens of those years , 4, 603,000, 4,233,000 and 4,937,000 respectively. Th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number of the last census in 70/69 BC. was reported to be around 900,000 and so during 41 years the citizen population increased 4 times. How can we understand Augustan civium capita and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citizens? There have been three views on the interpretation of Augustan census figures; “the low count, high count and middle count scenarios”. This paper introduces and outlines the three views and presents my opinion. In the republican census, civum capita meant all the adult Roman male citizens. But Karl Julius Beloch(1886), who published the ground breaking demographic study, Die Bevölkerung der Griechisch-Römischen Welt claimed that women and children of citizen birth were included for the first time in the Augustan count. Until now his work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and defended by A. Toynbee(1965) and P. A. Brunt (1971) and became the ‘low count scenario’. But Tenney Frank criticized Beloch’s opinion, and became the forerunner of the ‘high count scenario’. followed by T. P. Wiseman(1969) and Elio Lo Cascio(2013). Recently Saskia Hin(2008) provided the main alternative to the low-and high-count scenarios. She argued that in the republican census out of all registered citizens only the number of adult males were published, Augustus included the sui iuris women and children with them. The current interpretations of population growth in the period 70/69-28 B.C. derived from the different estimates of the Augustan civium capita. In my opinion the high count scenario is the most persuasive for the present, but if anyone comes forth with new evidence in the future, I think we should have open mind and consider that.

      • KCI등재

        폼페이우스, 카이사르 그리고 로마 원로원: ‘건축 경쟁’에서 내전으로(62-44 B.C.)

        김덕수 ( Kim Deogsu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1 서양고대사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가 삼두정치로 내몰린 배경에 원로원의 무능과 전공을 세운 일인자들에 대한 적대감이 있었다는 점, 그리고 삼두정은 결국 건축경쟁과 내전을 거쳐 공화정 몰락으로 이어졌음을 해명하려는 의도로 쓰여졌다. 로마공화정의 중심축인 원로원은 그라쿠스 형제 개혁이래로 시종일관 지중해 제국 로마가 처한 상황에 둔감하여 작은 도시국가 시절 원로원 위상에만 집착하고 자신들의 기득권 수호에 온 힘을 기울였다. 특히 원로원내 옵티마테스들은 일인자들의 등장에 거부감을 갖고 그들을 체제 밖으로 내모는 바람에 그들은 일시적으로 연합하여 각자의 힘을 키우고 결국은 마지막 일인자가 되기 위한 패권 경쟁을 준비했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이 글은 삼두정 기에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가 왜 대규모 건축 경쟁을 벌이게 되었는지, 그리고 건축 경쟁이 내전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그 의미를 알아보았다.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많은 전쟁 포로와 전리품을 확보할 수 있었던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는 로마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기 위해 건축 경쟁을 벌이게 되었다. 기원전 55년, 폼페이우스가 먼저 로마 최초의 석조 극장을 중심으로 한 신전과 원로원 홀과 같은 복합 극장을 완공하고 헌정함으로 선수를 쳤다. 반면에 갈리아 전쟁에 나가있던 카이사르는 55년경부터 건축 경쟁에 뛰어들었다. 그는 ‘후진의 이점’을 이용해서 로마 광장과 캄푸스 마르티우스에서 폼페이우스보다 더 큰 규모의 공공 건축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갈리아에서의 승리와 로마의 공공건축 프로젝트로 카이사르의 인기가 높아지자 원로원은 폼페이우스를 이용해 카이사르를 제거하려 했지만 결국 카이사르가 내전의 승자가 되면서 로마공화정의 몰락은 가속화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Roman Senate's incompetence and strong hostility towards the principes that Caesar and Pompey pursued in their triumvirate, and how that eventually brought about the fall of the republic through building competition and civil wars. In particular I will examine the reason why Pompey and Caesar engaged in a large-scale building competition during the triumvirate period, and how wa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building competition led to civil wars. Until the 2nd century BC, public architecture in Rome was promoted under the auspices of the Roman Senate by magistrates or or noble families. However, in the first century BC the Senate lost not only the initiative with regard to political power but also that of public architecture. Military politicians, who were able to secure many war-prisoners and spoils by winning wars, tried to use these advantages politically to gain popularity among the Roman people. By 55 BC, Pompey completed and dedicated the Pompey’s Theatre Complex buildings which included a temple and a Senate hall centered on Rome's first stone theatre in the field of Mars. Caesar, although he had been in the Gallic Wars for eight years, began his part in the building competition around 55 BC. He carried out public building projects in the Roman Forum and Campus Martius on a larger scale than Pompey. As Caesar's popularity increased due to his victories in Gallia and public architecture projects in Rome, the Senate tried to use Pompey to remove Caesar, but eventually Caesar won the civil war and Caesar’s dictatorship began.

      • KCI등재

        팍스 로마나 시대 수사학과 아동교육론 : 플루타르코스와 퀸틸리아누스를 중심으로

        김덕수 ( Kim Deogsu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5 No.-

        팍스 로마나 시대의 로마제국은 대 내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화와 타협을 통한 평화적인 해결 수단으로서의 수사학 교육이 그 어느때보다 필요했다. 서기 50년경 헬라스 중부 카이로네아에서 태어난 플루타르코스(Lucius Mestrius Plutarchos, 46? -120 ?)는 아테네에서 각종 철학이론을 배웠고, 헬라스, 이탈리아, 소아시아, 이집트 등 지중해 곳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혔으며, 70년에서 90년대 초까지 로마에 체류하면서 철학과 수사학을 강연하기도 했다. 한편 35년 경 히스파니아의 칼라구리스(Calagurris, 현재 에스파냐의 칼라오라(Calahorra))에서 태어난 퀸틸리아누스(Marcus Fabius Quintilianus, 35-96)는 고향에서 초등교육을, 그리고 로마에서는 수사학 교육을 받았으며,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의 후원을 받는 수사학 교사가 되었다. 플루타르코스와 퀸틸리아누스는 둘 다 헬라스 또는 히스파니아와 같은 속주 출신으로 로마 시민권을 받고 황제들의 총애를 받으며, 교육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교육에 관한 저서들을 남겼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제정시대의 교육관과 교육철학, 방법론을 담고 있는 그들의 저서들은 이후 서양교육사에서 초중등교육과 아동관의 이해에 큰 영향을 끼쳤다. 본고는 연설가 교육, 특히 성인이 되기 전 아동 교육에 대한 두 사람의 견해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그것의 역사적 의의를 알아보도록 한다. In the Age of Pax Romana, Rhetoric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to the Roman Empire, for there were a lot of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all over the Mediterranean world and these problems had to be solved by communication and compromise. Two provincials, Plutarch and Quintilian were the ones who performed this job well. Lucius Mestrius Plutarchos(46? - 120?) was born in Chaeronea, 80 km east of Delphi in the Greek region of Boeotia. He studied mathematics and philosophy at the Academy of Athens from 66 to 67 and traveled to many areas in the Mediterranean world. At some time, Plutarch took up Roman citizenship and gave lectures in philosophy and rhetoric in Rome from the 70s to the early 90s. In his later days, he lived at his home town in Chaeronea and wrote Parallel Lives and the Moralia. The Moralia include On the Education of Children (De liberis educandis). That book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pre-school education. Quintilian was a Roman rhetorician from Calagurris in Spain. He learned Rhetoric in Rome and opened a public school of rhetoric in 95. He wrote Institutes of Oratory (Institutio Oratoria), a twelve-volume textbook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rhetoric.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a good education in the early years, especially in school.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lutarch and Quintilian, in particular regard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ir books.

      • KCI등재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과정 개정 현황과 쟁점

        金悳洙(Kim, Deogsu)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1 No.-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world history revised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that has been revised over the past decade. The world history curriculums for 2007/2009 and for 2011 mirrored the Global History perspective. And the major issues are overcoming European centrism, Sinocentrism and how diverse cultures have shaped themselves through the interaction and exchange among diverse cultures and regions. The problem is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instructional course of study for world history B in Japan’s high school 1999th edition. In the case of Japan, there are much a systematic study of the world of the region, but we have not done enough research on that subject. The merit of the curriculum for 2015 is to classify the sections of world history into the East Asian region, India-the West Asian region, Europe-America region, and to understand how the culture has shaped its contents and features from ancient times to the 19th century. It is evident that this approach has also the defects of not showing the mutual exchanges and influence between the respective regions in the same period. This is expected to be resolved through fundamental and detailed research on various regions.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선택수능제’ 와 ‘교과편식’의 문제 - 최근 10년 사회탐구 과목의 선택현황을 중심으로

        김덕수(Deogsu KIM)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연구와 실천 Vol.80 No.-

        본 연구의 목표는 시행 20년을 맞이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선택수능제가 심화 확대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들을 최근 10여 년의 수능 사탐 과목 선택현황을 통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대학입시가 우리 교육, 특히 고등학교 교육을 좌지우지하는 상황에서 선택수능제는 국영수를 사실상 공통 필수로 하고, 대학의 인문계열 수험생에게는 과학탐구영역을 제외한 사회탐구영역 과목만을, 그것도 다수의 과목들(사탐 10과목, 과탐 8과목) 중에서 소수의 과목(2과목)만을 선택하도록 한 선택수능제는 인문계열 지망 학생은 과학 교과에, 자연계열 학생은 사회 교과에 무관심하게 만들고 수업에서 정상적인 교육이 진행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국영수 외에 탐구과목 중에서 일부 과목만을 개인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학생들의 ‘자율적 선택’에 맡기다보니 자신이 선택하지 않을 과목의 수업이 진행될 때 수업집중도가 심각할 정도로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고, 교사들도 수업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에 대해서 사실상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사탐이나 과탐의 선택과목의 수가 2014학년도부터 4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어들면서 더욱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 심각한 문제는 학생들의 수능 사탐 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교육적 중요성보다는 수능시험에서 얼마나 점수따기에 유리한지에 따른 비교육적 동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대의 요구와 필요에 부응해서 꼭 필요한 과목들(예를 들면 세계사나 세계지리 등)조차 상대적으로 내용 요소가 많거나 어려워서 시험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다는 이유 때문에 학생들의 기피과목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목선택 범위를 줄이고 꼭 필요한 내용들을 학생들이 배울 수 있도록 선택수능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는 단대별로 또는 학과별로 꼭 필요한 과목조차 이수하지 않은 채 입학하는 학생들에게 EBS 수능과목이든지 혹은 일종의 ‘입학 전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보수교육’을 시행해서 기초학력을 보강하고 명실상부하게 ‘대학수학능력’을 갖추고 대학생활을 하도록 도와주어야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ate the problems of selective centered curriculum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ft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ents could choose the 4 subjects in the areas of social studies’ 11 subjects, but the number was reduced to 2 subjects by 2014 CSAT. Many students want to learn only the ‘easy’ subjects (for example, Society and Culture, Korean Geography,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are reluctant to choose the World History or World Geography, because those subjects need many contents and much time to learn. On the other hand, they gave much time to study the ‘important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The ‘unbalanced selective subjects’ were and are very serious. At first we need to review and reform the selective centered curriculum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finally students can learn and not avoid the ‘really important subjects’. Secondly I propose that university authority provide the additional program to the fresh men who did not learn the world history or geography etc,.. We live o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t will continue to be a major force in the future. We need to educate the students to understand world history, culture, and geography,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m, and to contribute to the world peace and better international friend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