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진묵 설화의 기록화와 그 의미

        김기종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5 No.-

        As an in-depth study on the monk Jinmuk, this study examined his biography and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events presented in it and events described in folktal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orally. Buddhist Monk Jinmuk’s Yujeokko (the title of his biography) is a collection of folktales that contains 17 episodes about his life. In these episodes, divine guardians, mountain gods, Vajrapani, arahats and others controlled by or serving Jinmuk, appear and tell us that Jinmuk was the incarnation of Shakyamuni. It also tells us about Jinmuk’s relationships with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a Confucian scholar, a maidservant, a hunter and a young boy. In addition, all of these events are supported by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biography’s author, Choui, and by validation of the scriptures (經證) of the Shakyamuni Inji. Oral folktales handed down to the present hardly indicate that Jinmuk was the incarnation of Shakyamuni, nor do they contain such Buddhist teachings as the prohibition against killing (不殺生), the concept of “non-attachment” (無着) or references to Buddhist entitiies such as arahats, divine guardians and Vajrapani. Rather, oral folktales about Jinmuk create interest in him as a historical Buddhist figure. They also present Jinmuk and Bonggok as being in a competitive or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In particular, in folktales that describe the reason for Jinmuk’s death, they depict Bonggok as a hostile man who kills Jinmuk. The fact that folktales of this type were included in Jeung-san Kang’s Daesujeongyeong suggests that such stories were widely told throughout the Honam region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이 글은 『震默祖師遺蹟攷』의 내용 및 성격을 살펴보고, 현재까지 채록된구비설화와의 차이점을 검토한 뒤, 16ㆍ17세기의 인물인 진묵의 행적이 19세기에 기록된 이유와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문헌설화집의 성격을 띠고 있는 『진묵조사유적고』의 본문에는 17편의 일화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 일화는 진묵의 부림을 받거나 진묵을 도와주는 신장ㆍ금강역사ㆍ나한 등의 등장과, 유학자ㆍ계집종ㆍ사냥꾼 등의 다양한 인물과 진묵의 관계 맺음을 통해, 진묵이 석가의 화신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이러한 진묵의 형상은 편찬자인 초의의 ‘고증’과 「釋迦如來因地」의 ‘經證’으로 인해 역사화 되고 있다. 구비설화의 경우는, 석가 화신으로서의 진묵 형상화가 나타나 있지 않고, 나한ㆍ신장ㆍ금강역사 등의 불교적 인물 역시 보이지 않는다. 대신 흥미성이보다 강화되어 있고, 진묵이 불교를 대표하는 인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진묵과 봉곡이 경쟁 내지 대립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진묵이 죽은 이유’의설화 유형은 진묵을 살해하는 적대적인 인물로 봉곡을 묘사하고 있다. ‘진묵이 죽은 이유’가 강증산의 구술로 『대순전경』에 실려 있다는 점은 이유형의 설화가 19세기 중ㆍ후반에 이미 향유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진묵조사유적고』 간행의 기획자인 儒士 김기종과 편찬자인 초의 또한 이 설화의 존재를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김기종은 그의 서문에서 진묵 관련이야기들을 ‘보존’하기 위해 이 책의 간행을 기획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보존의 이유로는 진묵과 봉곡의 교유 사실과, 진묵의 효심이 제시되어 있다. 결국, 19세기에 이루어진 진묵 설화의 기록화는, 儒ㆍ佛을 적대적 관계로 표현하고 있는 설화들의 유행에 대한 유ㆍ불 지식인의 문학적 대응으로, 교정 내지 순화의 성격을 띤다고 하겠다. 그리고 석가 화신으로서의 진묵 형상화는 호남지역이 석가가 출현했던 불교의 ‘聖地’라는, 당시 호남 불교계의 융성ㆍ발전에 근거한 ‘海陽後學’으로서의 초의의 자부심이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문학작품의 지옥 형상화와 그 성격

        김기종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6

        이 글은 ‘저승길’⋅‘심판’⋅‘징벌’의 지옥 관련 화소를 포함하고 있는 조선후기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지옥 형상화의 양상과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과문>⋅<권왕가> 등의 불교가사는 지옥에서의 징벌 양상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징벌의 이유로 살생⋅망어⋅음주⋅사견 등의 5악 내지 10악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가사에 나타난 ‘지옥’은 ‘불전 속의 지옥’과 큰 차이가 없다. ‘회심곡’의 경우는 시왕의 심판을 받는 죄인을 남자와 여자로 구분한 뒤, 남자에게는 선행의 덕목을, 여자에게는 악행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의 덕목과 악행의 항목들에는 불교적 윤리 규범과, ‘삼강오륜’을 포함한 유교적 윤리 규범이 공존하고 있다. 지옥 관련 야담과 한글소설은 징벌의 양상 및 그 이유가 작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지옥행의 원인을 통해 ‘삼강오륜’을 중심으로 한 윤리적 덕목들을 강조하고 있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리고 대체로 지옥행의 원인에 비해 지옥의 징벌 화소가 축소되어 나타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지옥 관련 조선후기 문학작품이 지옥의 고통을 환기시켜 불도수행에 힘쓸 것을 권하기보다는, 일반 대중에게 익숙한 ‘지옥 관념’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윤리적 덕목들을 제공 또는 교육시키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유교적 윤리 규범의 강조는 지옥 관련 문학작품에만 국한되는 현상은 아니다. 이들 작품이 창작⋅유통된 19세기에는 유교적 윤리 규범을 강조하는 교화서⋅교훈가사⋅권선서의 찬술 및 간행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교적 윤리의식의 고양 내지 강화는 三政의 문란, 잦은 민란의 발생, 천주교의 교세 확장 등 기존 체제를 위협하는 사회적 혼란에 대한 19세기 조선사회의 위기의식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조선후기 지옥 관련 문학작품의 창작⋅유통은 천주교의 유포 및 확산과 관련이 있다. 당시의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천주교가 널리 확산되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천당⋅지옥설’이었고, 집권층 및 유가 지식인들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되었던 천주교의 교리 또한 천당⋅지옥설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조선후기 문학작품의 지옥 형상화는 19세기 조선사회가 직면했던 사회적 혼란에 대한 위기의식을 반영한 것이자, 당시 널리 확산되고 있던 천주교의 지옥설에 대한 문학적 대응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 of hell and the nature of literary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Hoeshimgok(回心曲)' divides a sinner into a man and a woman, and presents a virtue of goodness to a man and an item of evil to a woman. The elements of virtue and malice are both Buddhist ethical norms and Confucian ethical norms. Hell-related novels have common features that emphasize the ethical norms that should be kept in daily life through the causes of hell, though the patterns of punishment and their reasons a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works. And 'Hoeshimgok(回心曲)' and these works are generally shown by reducing the punishment pixel of hell compared to the cause of hell. This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 literary works of the late Joseon literature related to hell were mainly aimed at providing or educating ethical virtues centered on 'Samgangwol(三綱五倫)' through sanctions of 'Hell' wide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The emphasis on Confucian ethics is not limited to works of literature related to hell. In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se works were created and circulated, there is a surge in the number of chapters and publications of books for Confucian Indoctrination, Didactic Gasa, and Goodness Books, which emphasize Confucian ethics. Such a strengthening of the Confucian ethical consciousness can be attributed to the crisis of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bout the social confusion that threatens the existing system. In particular, the creation and circulation of literary works related to hell in the late Joseon period is related to the dissemination and spread of Catholicism. In the end, the hell shape of the late Joseon literature reflects the crisis of social confusion faced by Joseon societ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has the character of literary response to the prevalent diffusion of Cathol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