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피드 스케이팅 500m 곡선주로에 대한 경기력 결정요인 분석

        김건탁 ( Kim Geon-tak ),류재균 ( Ryu Jae-kyu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피드 스케이팅 500 m 경기의 2·4코너 구간에 대한 곡선 스트로크 동작의 운동학적·운동역학적 변인과 직선과 곡선 구간별 속도 변인과의 상호관계를 연계하여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총 8명의 엘리트 남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을 선정하였으며, 분석 변인으로는 구간별 평균속력과 속도 그리고 2·4코너의 속도, 스트로크당 변위, 푸시오프 각도, 스트로크 빈도, 스트로크당 행한 일의 양, 스트로크 파워로 정하였다. 그리고 Pearson’s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트로크 파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스트로크당 행한 일의 양을 높이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속도 변화량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스트로크 빈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2코너에서 짧은 시간에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스트로크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4코너에서는 스트로크당 행한 일의 양과 스트로크 파워를 높이고 스트로크 빈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셋째, 2코너 끝 지점의 순간속도는 스트로크 빈도(r=.857, p<.01)와 정적 상관, 스트로크당 행한 일의 양(r=-.747, p<.05)과는 부적 상관이 있다. 반면에 4코너 끝 지점의 순간속도는 스트로크당 행한 일의 양(r=.847, p<.01)과 스트로크 파워(r=.895, p<.01)와 정적 상관이 있다. 넷째, 2코너 평균속력(R²=0.820), 4코너 평균속력(R²=0.696), 400∼500 m home straight 평균속도(R²=0.645)의 순으로 속도를 높이는 것이 500 m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of the stroke for the 2nd and 4th corners in the official speed skating 500 m race and the speed variables of each straight and curve section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performance. A total of 8 elite speed skat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were the mean speed and velocity by each section, displacement per stroke, push-off angle, stroke frequency, work per stroke, and stroke power in the 2nd & 4th corner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in each analyzed section and 500 m performance. First, To generate stroke power, it is efficient to increase the amount of work per stroke rather than the stroke frequency, bu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stroke frequency to minimize the loss in the speed change. Second,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stroke frequency for fast speed in the 2nd corner, increase the amount of work per stroke and stroke power in the 4th corner, and keep the stroke frequency to maintain the high speed. Third, The instantaneous velocity at the end of the 2nd corner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troke frequency(r=.857, p<.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work per stroke (r=-.747, p<.05). On the other hand, the instantaneous velocity at the end of the 4th corner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work per stroke(r=.847, p<.01) and stroke power(r=.895, p<.01). Fourth, Increasing the mean speed in the order of mean speed of the 2nd corner(R²=0.820), mean speed of the 4th corner(R²=0.696), and mean velocity of 400∼500 m home straight(R²=0.645) improves the 500 m performance.

      • KCI등재

        세계 여자 세단뛰기선수 공식기록의 운동학적 변인 비교를 통한 경기력 평가

        류재균 ( Jae-kyun Ryu ),김건탁 ( Geon-tak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21 체육과학연구 Vol.32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우수한 세계 엘리트 여자 세단뛰기선수들의 유효한 시기를 선정하여 선수별 운동학적 변인들의 차이와 일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여자 세단뛰기에서 입상한 선수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수들의 모든 동작을 완전히 수행한 유효시기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도움닫기 및 홉, 스텝, 점프 국면의 운동학적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각 국면에서의 운동학적 변인들과의 Pearson’s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제동시간과 추진시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난 운동학적 변인과 이와 연계된 변인들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홉, 스텝, 점프 지지 국면에 대한 지지요인(support factor)과 duty factor를 산출하였다. 〔결과〕 총 6번의 시기 중 유효율은 Olha 선수가 66.7 %, Olga 선수가 50 %, Caterine 선수가 83.3 %로 나타났다. 도움닫기 마지막 세 스트라이드 거리는 Olha와 Caterine 선수가 ‘보통-길게-짧게’ 패턴, Olga 선수는 ‘길게-짧게-보통’ 패턴이 나타났다. Duty factor는 홉 강조형 기술 유형은 홉과 점프에서 duty factor 값의 차이가 없었으나 밸런스형은 점프에서 차이가 있었고, 스텝에서는 두 기술 유형 모두 국면 수행 소요시간 대비 지지시간이 홉과 점프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Support factor의 백분율은 Olha와 Caterine 선수의 경우 스텝과 점프에서 제동시간 비율이 상반되는 패턴을 보였다. 반면에, Olga 선수는 홉과 스텝에서 동일한 비율이 나타났고 점프에서는 더 작은 비율을 보였다. Olha와 Caterine 선수의 추진시간은 제동시간과 같이 스텝과 점프에서 상반되는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Olga 선수는 홉과 스텝의 추진시간 비율이 같고 점프에서 높게 나타났다. 세 국면에서 접지 순간 수평거리의 일관성은 Olha와 Olga 선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Olga 선수가 가장 일정한 패턴을 보였다. 〔결론〕 마지막 스트라이드 거리(1SL)가 유지되어야만 구름판에서의 거리 손실을 줄이고 도움닫기 발구름 동작의 일관성이 높아져 시기별 성공률도 높아진다. Duty factor는 경기력 수준과 기술 유형을 동시에 판단할 수 있고, support factor는 경기력 수준을 판단하는 변인이기보다는 홉, 스텝, 점프의 기술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변인이다. 세단뛰기 동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상대적 시간과 국면별 지지 시간(제동과 추진)의 가변성이 일정하다면 시기별 기록의 차이가 작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and consistency of kinematic variables for each athlete by selecting the official records of the world's elite female triple jumpe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level. [Methods] Three athletes who won the prizes at the World Championships Daegu 2011 Women's Triple Jump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only the successful trials were used f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kinematic variables in the hop, step, and jump phase, respectively. Also, kinematic variabl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raking time and pushing time and related variables were described separately. The duty factor and support factor for the hop, step, and jump of support phase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successful trials rate were 66.7% for Olha, 50% for Olga, and 83.3% for Caterine. In the last three stride distances of the approach run, Olha and Caterine had a “medium-long-short” pattern and Olga had a “long-short-medium” patter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uty factor value between hop and jump phases in the ‘hop-dominate’ technique typ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jump phase in the ‘balance’ technique type, and the duty factor value in the step of both technique types was greater than that of hop and jump phases. As for the percentage of the support factor, Olha and Caterine had a characteristic that the percentage of braking time in step and jump phases was opposite. On the other hand, Olga had the same percentage for the hop and step phase, and a smaller percentage for the jump phase. [Conclusio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board touch-down, maintain a certain last stride(1SL) depending on the technique type. This consistency of the approach run increases reduces distance loss on the take-off board and increases the successful rate of each trial. The duty factor can judge both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technique type of triple jump, and the support factor is a variable that can classify the technique types of hop, step, and jump phases. If both the relative time required for the triple jump and the variability of the support time(braking and pushing) for each phase are constant, the difference in records by trial will be sm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