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논문 : 우리나라 유적 출토 개 유체 고찰

        김건수 ( Geon Su Kim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우리나라에서 개는 동삼동패총, 서포항패총 등에서 출토되어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신석기시대부터 사육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이런 개의 특징은 종래 알려져 있는 것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풀기 위하여 전국의 유적에서 출토된 개 유체를 살펴본 결과, 개를 사육하면서 수렵, 애완, 식용 등 여러 가지로 이용한 것 같다. 패총과 저습지에서 각 부위가 산발적으로 출토되는 예는 식용으로 이용된 후에 폐기된 것으로 보이며, 무덤(순장)과 관련되어 출토되는 것들은 제의·공헌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개 유체를 계측하여 크기를 분석한 결과, 신석기시대의 북한지역의 개는 중형, 남한지역의 개는 중형 이하, 청동기시대에는 전국적으로 중형 이하의 개가 확인되었다. 철기시대의 늑도패총과 삼국시대의 기장 고촌유적에서 출토 예는 대형부터 소형까지 다양성을 갖게 됨을 볼 수 있다. 즉 품종이 다양화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통일신라시대 이후에는 개 유체가 출토되는 유적의 절대 수가 부족한데 이는 연구자들의 개에 대한 인식에 문제가 있다고 보인다. In Korea, dogs have been breeded from Neolithic Age to today, as dog-remains were excavated at the site such as Dongsam-dong shell midden site and Seopohang shell midden site in Neolithic Age. But we don t know about charateristics of these dog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 searched dog-remains that were excavated at sites in Korea. As a result, dogs seemed to be used as hunting dogs, pets, food as well as breeding. Dogremains that were excavated sporadically at shell midden and swampy place seem to abandon after using as food. Dog-remains that were excavated at tomb (buried alive with dead) seem to be related to sacrificial rites and contribution. I measured these dog-remains and made a analysis of their siz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dogs of northern part of Korea were medium size, and the dogs of southern part of Korea in the Neolithic Age were lower medium size, and the dogs in the Bronze Age were lower medium size. I could find out various sized dogs at Neukdo shell midden site in the Iron Age and at Kochon swampy place site in Three Kingdoms period. So I think that the kinds of dogs were very diverse at these Age. Since Unified Silla period, the sites that dogremains were excavated are rare, because researcher s recognition on the dog-remains are lack.

      • KCI등재
      • KCI등재

        여서도패총 출토 신석기시대토기에 대한 고찰

        김건수(Kim Geon Su),이승윤(Lee Seung Yun) 한국신석기학회 200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4

        여서도패총에서 출토한 신석기시대 토기는 크게 융기문토기와 영선동식토기로 나뉘는데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 편년을 보면 융기문토기는 조기, 영선동식토기는 전기로 편년되는데 이들이 동일 층에서 공반하여 출토되는 것이다. 즉 여서도패총에서 출토된 토기의 구순각목문토기의 비율, 구순부의 형태와 저부, AMS연대를 통하여 보았을 때 패총의 중심 시기는 신석기시대전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여서도패총에서 출토한 융기문토기는 영선동식토기의 성립과 함께 전기까지는 공존한 사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는 문화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연결되어 간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서도패총에서는 융기문토기에서 영선동식토기로의 변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자료와 남해안지역과 제주도지역과의 문화교류루트 규명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 및 제주도지역 영선동식토기의 개시를 알 수 있는 간접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는 융기문토기와 영선동식토기의 공존현상이 여서도패총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유적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changing process of settlements in the Neolithic period of Korea according to periods and regions after examining spatial arrangement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remain structure focusing on the shape of distribution at that period. I selected 16 remains of settlement in order to certify the structure between the spatial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position and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remains. The general area of this study will be restricted to the cast and west coast. southern and central part in South Korea. Research data analyzed that residence and producing spaces were constructed separately in settlements in the Neolithic period in general. The separated arrangements of producing spaces for earthenware that has significant risk of conflagrations were noticeable although the differences of the period and region showed on the common remains. Moreover, it is estimated that small scale settlement places existed with those of large scales in the former period through the process of settlements. With spreading the culture of the Neolithic period from coast region to inland region. the shape of large scale settlement were accepted generally in the middle period. There are, however. dissimilarities in scales and formations of spatial structures and individual residential structures of settlement according to regions. and a few small scale residences and dependant residential structures existed. Even though there were some large settlement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scale of settlements seemed to be reduced gradua lly in the latter period.

      • KCI등재

        섬진강유역의 신석기문화

        김건수 ( Geon Su Kim ) 호남고고학회 2012 湖南考古學報 Vol.42 No.-

        섬진강유역에는 12개소의 신석기시대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를 입지역에 따라 나누면 내륙권에 9개소, 해안권에는 3개소가 분포하고 있다. 신석기시대 전기에는 목도패총과 사평패총이 속하는데 강의 하구역에 입지한다. 중기로 볼 수 있는 유적은 죽산리유적 뿐인데 섬진강의 지류인 동복천의 충적평지에 입지한다. 후기에 들면 섬진강 최상류인 진안 좌포리유적에서 하구역인 목도패총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위치한다. 말기에는 중류역인 남원 대곡리유적, 순천 대곡리 도롱유적이 있고, 하구역에 광양 돈탁패총이 입지한다. 섬진강수계의 신석기시대 유적은 전기에서부터 말기까지 남해안지방의 신석기시대 토기와 동일한 양상을 보이나 전기의 생업에 있어서는 차이가 보인다. 남해안지방에서는 전기에 현재보다 해수면이 높았고, 해안에서 외양성어업이 성행하였으나 섬진강유역에서는 조간대 부근에서 내만성어업과 수렵·채집을 하였다. 중기에는 보성강유역에서 한정되어 유적이 분포하므로 수렵·채집을 하였을 것이다. 후기에 들면 내륙에서는 수렵·채집에 그물을 이용한 내수면어업을 행하였고, 해안가에서는 수렵·채집에 내만성어업을 실시하였다. 또 운정리유적에서는 능형문을 시문한 금강식토기가 보여 금강유역과의 교류를 볼 수 있다. 말기에는 조간대 부근에서 내만성어업과 수렵·채집을 하였다. 12 Neolithic sites are distributed near Sumijin River valley, and they can be grouped by location - 9 are in inland, and 3 are on the shore. In early period of Neolith, Mokodo shell mound and Sapyeong shell mound are involved and they are located in the mouth of the river. The only site that can be involved in middle period is Juksanri site, and they located in Dongbok stream which is a tributary of Sumjin River. When latted period comes, sites are located wide from Jinan Jwapori site which is upper stream of Sumjin River through Mokdo shell mound which is estuary. In the last years, Namwon daigokri site which is at midstream, Dontag shell mound which is in a river mouth, and Suncheon daigokri site which is between of them are located. The sites of Neolithic located in Sumjin River have identical aspect with pottery of South Sea in Neolithic from early period through the last years, but there is a gap when it comes to livelihood of early period. At South Sea, the surface of sea water was higher than now and open sea fisheries prevailed on the shore in early period. However, near Sumjin River, people did back bay fisheries, hunted and gathered nuts, bulbs, etc. near intertidal zone. In middle period, the sites are distributed limited near Boseong River. Therefore, people may hunted and gathered nuts, bulbs, etc. When latter period comes, people in inland did inland fisheries by net, hunted, and gathered nuts, bulbs, etc. Also, people near sea shore did back bay fisheries, hunted and gathered nuts, bulbs, etc. Moreover, we can see Kumkang type pottery that was made up pattern of a lozenge in Unjeongri site, so we can know there was trading between Kum River and them. In the last years, people did back bay fisheries, hunted and gathered nuts, bulbs, etc. near intertidal zone.

      • KCI등재

        논문 : 호남지방 고분 출토 동물유체 고찰

        김건수 ( Geon Su Kim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2 No.-

        호남지방에는 많은 고분이 산재하고, 이 고분들 가운데는 동물유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것들은 고분의 조영과 관련된 의례행위로서 동물을 매납했던 것들이다. 호남지방의 고분에서 동물유체가 출토되는 곳은 전역에 걸쳐 산발적으로 분포한다. 특히 전남지방에 있어서는 고분조영에 있어 전반적으로 동물을 제사에 이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시기적으로는 호남지방의 고분에서 동물을 제사를 이용한 것은 5세기 말부터 시작하였고, 6세기 대에는 전남지방 각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동물유체가 확인되는 고분의 종류는 주구묘, 석실분, 석곽분, 전방후원형분이며 아직 옹관고분에서는 그 실례가 없다. 호남지방 고분에서 출토된 동물은 소, 말, 돼지, 개가 있는데 주류는 소가 중심이다. 이러한 동물공헌은 고구려와 백제의 관련 속에서 발전해 온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Many ancient tombs are located in the Honam region, some of which contain animal remains. These remains represent ritual activiti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Tombs with animal remains are widely scattered across the Honam region. In the Jeonnam province, it appears that animals were commonly sacrificed during tomb construction. Animal sacrifice rituals started in the 5th century AD and became prevalent across the Jeonnam province by the 6th century AD. The tombs with animal remains are stylistically diverse and include fosse-girded tombs, stone-chamber tombs, stone-lined tombs, and keyhole-shaped tombs. Yet there is no archaeological example of a jar-coffin tomb with animal remains. The represented animals are cow (Bos), horse (Equus), pig (Sus), and dog (Canis), with cow comprising the majority. Animal sacrifice should be seen as a unique regional tradition that developed in interaction with Goguryeo and Baekj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쿠로시오(黑潮)와 남해안지방 신석기문화

        김건수(Kim Geon Su) 한국신석기학회 201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1

        우리나라는 년중 난류인 쿠로시오의 영향을 받는다. 남해안에는 다수의 패총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의 입지역은 기온의 차이를 보이는 위도와는 관계없이 쿠로시오의 영향이 미치는 정도에 따라서 위치한다. 신석기시대 조·전기에는 쿠로시오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곳에 패총이 위치하며, 이곳에서는 작살과 결합식낚시를 이용하여 참돔, 다랑어, 상어 등과 강치, 돌고래 등을 포획하였다. 더불어서 일본 구주지방의 흑요석, 죠몬토기 등도 출토되어 쿠로시오를 통한 양지역의 교류도 활발히 일어났음을 볼 수 있다. 중기 이후에는 쿠로시오 영향이 덜 미치는 육지쪽에 위치하며 어로도구도 급감하여 어로활동이 쇠퇴하였음을 보여준다. Korea is under influence of warmth of Kurosio Current around the year. There are number of shell-mounds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peninsula, which are positioned depending on the current and regardless of the latitude. In the early former period of the Neolithic age, the shell-mounds were located at the places under strong influence of the Current where red sea-beam, tuna, shark, sea lion, and dolphin were captured using harpoons and two-piece hooks. Also, obsidianandJomon pottery from Kyushu province have been foundthat it shows vigorous interchanges between the two regions. After the middle period, they were located inlands where the Current gives less influence and it shows fishing activities declined with much fewer fishing t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