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록의 역사에서 집단 경험의 역사로- 역사 드라마 <징비록>의 선조와 류성룡 캐릭터 분석을 중심으로 -

        길태숙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8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llective memory about people or historical experience through historical drama by looking into how the discourse about the main characters of Seonjo(宣祖, 1552~1608) and Seongryong Ryu(柳成龍, 1542~1607) from the historical drama <The Jingbirok: A Memoir of Imjin War> producted based on 『Jingbirok(懲毖錄)』 by Seongryong Ryu, has the impact on a collective reminding process. The historical drama <Jingbirok>, that was broadcasted fifty episodes in KBS starting from February to August, 2015, is structured most of its stories based on descriptions in 『Jingbirok』. In <Jingbirok>, Seonjo character is emphasized as a person who encourages factional politics, has lack of interest on real citizen life, and tries to heighten self-respect as a king by winning the confidence of people through kindness leaning on the fantasy of a sage king, but throws away his people and the royal ancestral shrine and the altars for the gods of land and crops(宗廟 and 社稷) for his safety at the national crisis. Although the public opinion on King Seonjo right after Imjin War(Japanese Invasion; 壬辰倭亂, 1592) was a king who abandoned and ruined the country by the execution of royal refuge(播遷) and dividing royal court(分朝), he was praised as a king who saved Chosun(朝鮮) and overcame Imjin War, and achieved the restoration and had profound knowledge of studies after King Injo(仁祖) period. However, the public who watched the drama <Jingbirok> equalized the Seonjo character with King Seonjo of Chosun that promoted factional politics, and abandoned the citizen at the national crisis.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identify Seongryong Ryu of historical person with the character Seongryong Ryu who has struggled against national destruction and tribulation in war with ideal faith and an inflexible attitude in the drama. The viewers of the drama reconstruct the memory of historical person King Seonjo through the media experience leaded from Seonjo character as they share their opinions with others and read historical records. Maurice Halbwachs claimed that the collective memories of actual experience ar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dismantling existing memories and reorganizing the memories using a social framework. The reaction of viewers reconstructing experiences and memories of King Seonjo through the drama character Seonjo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reconstruction of collective memory happens not only with the real experiences, but also with the experiences from media. 본 논문에서는 역사 드라마를 통한 인물 및 역사 경험 대한 대중들의 집단 기억화의 문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애 류성룡의 『징비록』을 바탕으로 제작된, 역사 대하 드라마 <징비록: 임진왜란, 피로 쓴 교훈>을 대상으로 주인공인 류성룡과 선조 캐릭터에 대한 대중들의 담론이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집단 기억화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역사 드라마 <징비록>은 2015년 2월부터 8월까지 50부작으로 방영된 KBS 대하드라마로, 대부분의 사건이 『징비록』에 서술된 내용에 따라 구성되었다. <징비록>에서 선조 캐릭터는 붕당정치를 조장하고 실제적인 백성의 삶을 돌아보지 못했으며 성군에 대한 환상에 기대어 선심으로써 민심을 얻어 국왕으로서의 자존감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정작 국가의 위기 시에는 일신의 안위를 위해 백성과 종묘사직을 버리는 인물로 부각되었다. 임진왜란 직후 선조에 대한 여론은 그의 파천과 분조의 단행으로 나라를 버리고 망하게 한 왕이었으나 인조 이후 임진왜란을 극복하고 조선을 구한 임금, 학문에 조예가 깊고 국가 중흥의 업적을 이룬 왕으로 현창되었다. 그러나 드라마 <징비록>을 시청한 대중들은 붕당정치를 조장하고 백성을 버린 왕으로 재현된 선조 캐릭터를 내가 아는 실제 인물 선조 그대로라고 평가하였다. 반면 이상적인 신념과 태도를 견지하며 고군분투하는 류성룡 캐릭터는 실제 인물 류성룡이 아니라고 하였다. 드라마 <징비록> 시청자들은 역사 기록에 대해 살피고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공유하면서 선조 캐릭터를 통해 실재한 선조를 이끌어 내어 역사 인물 선조에 대한 기억을 재구성하였다. 모리스 알박스는 실제 경험에 대한 집단 기억은 사회적인 틀을 사용하여 기억을 해체하고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고 하였다. 드라마 <징비록>의 선조 캐릭터를 통해 선조에 대한 경험과 기억을 재구성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반응은 집단 기억의 재구성이 실제 경험이 아닌 매체를 통한 경험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팩추얼드라마 <임진왜란 1592>, 역사 이해의 새로운 형식

        길태숙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3

        The <Imjin War 1592>, which portrayed Korea’s first factual drama, was broadcast in September of 2016 with 5 episodes.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formation of factual drama shows in comparison with historical documentary and drama by analyzing the factual drama <Imjin War 1592>. Factual drama compiles stories by weaving the historical facts and excluding fiction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a factual drama can be defined as a form shar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truth with public through factually supported story, in which the attributes of documentary and drama coexist. The factual drama <Imjin War 1592> can be regarded as a work that showing the possibility that the antagonistic relation of fact and fiction can function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for historical interpretation in historical dramas. The producers of <Imjin Waer 1592> made it clear that the transmitting representation through the genre of factual dramas is not a fiction, but a reasoned work based on historical facts. Moreover, through dramatic narratives based on reality, viewers were able to experience history in a sensible way and to encourage the attitude of mutual interpretation, thereby enriching the discussion of history.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of factual drama can function as a narrative that combines the historical and visual data and a new way of understanding history. 한국 최초 팩추얼드라마를 표방한 <임진왜란 1592>는 2016년 9월 5부작으로 방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팩추얼드라마 <임진왜란 1592>의 분석을 통해서 팩추얼드라마의 형식이 역사 다큐멘터리와 드라마와 달리 어떠한 역사 해석의 전망을 보이고 있는지 주목하였다. 팩추얼드라마는 픽션을 최대한 배제한 채 역사적 팩트를 나열하여 이야기를 구성한 드라마이다. 다시 말해, 팩추얼드라마는 다큐멘터리와 드라마의 속성이 동시에 내재해 있는, 사실성이 뒷받침 된 이야기를 통해 대중과 역사적 사회적 진실을 공유하는 형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팩추얼드라마 <임진왜란 1592>는 역사드라마에서 팩트와 픽션의 길항 관계가 역사해석을 위한 상호 보완의 관계로 기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임진왜란 1592>의 제작자들은 팩추얼드라마라는 장르를 통해 전달하고 있는 재현이 허구가 아니며 역사적 사실과 사실을 바탕으로 추리된 구성물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사실성이 바탕이 된 극화된 내러티브를 통해 시청자들로 하여금 역사를 감각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상호 해석의 태도를 촉구함으로써 역사 담론을 풍부하게 하였다. 이는 팩추얼드라마가 기록된 역사와 시각적 자료를 통합한 내러티브로서 대중의 역사이해의 새로운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는 한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서애 관련 구비설화에 나타난 구술 공동체의 임진왜란에 대한 문제의식

        길태숙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5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에 실려 있는 서애 관련 구비설화 51편을 대상으로 설화에 나타난 구술 공동체의 임진왜란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서애설화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왜장을 퇴치하는 이야기와 임진왜란이 일어난 후 이여송을 청병하는 이야기의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한 설화, 서애와 겸암 형제의 이인됨과 출중한 능력에 대한 설화, 어머니의 특별함과 서애의 외갓집을 비롯한 이인이 탄생하는 지역의 풍수와 연관된, 서애와 겸암 형제의 탄생에 초점을 맞춘 설화가 있는데, 임진왜란과의 관련성 아래 이야기되고 있다. 서애설화에 나타난 구술 공동체의 임진왜란에 대한 문제의식은 인물 형상화에 대한 이해와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서애설화 중 임진왜란 관련 설화에서 서애는 위정자라는 직분으로써 형상화되어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러한 부정적 시각은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위정자들이 그 직분을 제대로 해내지 못했다는 구술 공동체의 비판적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애설화를 통해 추출될 수 있는 임진왜란에 대한 구술 전승자들의 문제의식은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에 대해 미리 알고 대비책이 있었는가’, ‘왜의 침략세력을 몰아낼 방책이 무엇인가’, ‘전쟁 후 명의 횡포에 제대로 대처하였는가’, ‘침략세력을 물리친 자들에 대한 공이 제대로 평가 되었는가’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위정자들의 실정에 대한 비판으로써 만약에 전쟁에 미리 대비했었다면, 외세를 빌리지 않고 우리가 그들을 몰아냈다면, 공을 세운 이들에 대한 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졌다면 등 역사에 대한 구술 공동체의 의식과 바람이 반영되어 표출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aper discussed the issue awareness of ImJin War from oral community by looking into 51 pieces of folktale about SeoAe in Hangukgubimunhakdaekye(韓國口碑文學大系; Complete works of Korean Oral Literature). SeoAe folktale is related to ImJin War and there are several types of it:ImJin war focused type of tale with the story about fighting against Japanese before ImJin War and story about asking for a dispatch of troops of Li Rusong; SeoAe and GyeomAm brothers' outstanding ability focused type of tale; and Birth of SeoAe and GyeomAm brothers focused type of tale related to especialness of motherhood and geomantic areas where unique groups of people were born including grandparents' houses in SeoAe. The awareness of the issues regarding ImJin War from oral community shown in SeoAe related tales were examined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content analysis of the character formalization. Among the SeoAe related lore, SeoAe is negatively recognized as duty of politicians in the tales about ImJin War and this negative perception came from critical awareness of oral community that politicians did not complete their duty properly during national crisis, ImJin War. The oral transmitter's awareness issues extracted from SeoAe related tales can be summarized in four: 'Did people know about ImJin war beforehand and was there a preparation'; 'What was the plan for Japanese invading forces'; 'Did people handle well from tyranny of Ming Dynasty after the war'; and 'Was contribution of people who fought against Japanese invading forces properly evaluated'. These awareness issues are criticisms of politicians' state, hence can be understood as expressions that reflect oral community's perception and desire of history such as 'what if people prepared for the war in advance', 'what if we withdraw Japanese by ourselves without depending on the power of a foreign country', 'what if people's contribution were fairly evaluated' and etc.

      • KCI등재

        게임 텍스트와 플레이어의 인터랙티브적 관점에서 본 게임의 시점

        길태숙,장준호 한국게임학회 200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8 No.3

        이 논문에서는 컴퓨터 게임 텍스트와 플레이어 간의 인터랙티브적 관점을 통해서 게임의 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게임의 시점으로 많이 논의되고 있는 1인칭 시점, 3인칭 시점, Top-Down 시점, Side-View 시점, Quarter-View 시점, 아이소매트릭 시점 등은 게임 텍스트와 플레이어의 상호소통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충분하지 못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게임 텍스트와 플레이어 간의 인터랙티브 관점에서 1차 저자인 제작자와 2차 저자인 플레이어의 내포저자로서의 기능을 살피고 내포저자로서의 플레이어와 플레이어 캐릭터 사이의 거리감을 통하여 게임의 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focuses on perspectives of game in terms of interactivity between game texts and players. There are many points of view which have been discussed, such as first person point of view, third person point of view, top-down point of view, side-view point of view, quarter-view point of view, and isometric point of view, but they are too insufficient to fully explain the perspectives of game from the viewpoint of the interactivity.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 of player and game manufacturer as implied authors on interactive point of view, and discusses the perspectives of game through a sense of distance between players as implied author and player characters.

      • KCI등재

        행위서사로서의 게임스토리텔링의 본질

        길태숙 한국게임학회 201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1 No.3

        본 논문에서는 플레이어의 행위의 관점에서 게임스토리텔링을 분석함으로써 행위서사로써의 게임스토리텔링의 본질에 대해 고찰하였다. 게임스토리텔링은 제작자에 의해 제공된 스토리 요소에 플레이어의 행위가 더해져 만들어진 것으로써 소설, 영화 등의 서사물과 같은 보여주기나 말하기를 통한 표현이나 제시 중심인 서사물이 아니라 체험 중심적인 서사물이다. 곧, 게임스토리텔링은 플레이어의 행위적 참여를 통한 스토리 형성, '행위서사'의 본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행위서사의 전통은 신화와 놀이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gamestorytelling as action-narrative through analyzing player acting in game context. Gamestorytelling is a narrative product which makes up of acting by players with story elements by producers, in a different such as novels, movies that express of showing and telling. The tradition of action-narrative can be found in myth and play.

      • KCI등재

        로스앤젤레스 한인 타운에서의 지신밟기의 의미 -자아 및 한인 공동체의 정체성 표출과 관련하여-

        길태숙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5 No.-

        지신밟기는 정초에 지신을 밟아줌으로써 마을의 평화와 풍작 및 다복을 기원하면서 마을 공동체 단위로 벌이는 굿의 하나이다. 지신을 다스린다는 점에서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풍작을 기원한다는 점에서 농촌사회 및 농촌 사회 구성원과 관련이 깊다. 그런데, 로스앤젤레스 한인 타운에서의 지신밟기는 그 기원은 한국의 지신밟기에 두고 있는 것이지만 달라진 연행 주체, 연행 공간 및 환경 속에서 1990년 이후 17년 동안 진행되면서 자아 및 공동체의 정체성을 대외적으로 표출하는 의미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또한 규칙적인 지신밟기의 연행은 그 거리와 공간을 공연자인 한인들의 거리로 인식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로스앤젤레스에서의 지신밟기의 의미에 대해서는 연행자의 입장과 외부적 시각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행자의 입장을 통해 살펴본 지신밟기는 번영과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 이외에 학생들이 공연과 풍물을 익히면서 찾아낸 자아 및 공동체의 정체성을 대외적으로 표출하는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외부적 시각을 통해서도 지신밟기는 번성, 평화, 공연 및 정체성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연행자의 입장과는 달리 한인 타운에서의 학생들의 지신밟기 연행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공존하고 있다. 긍정적인 견해를 보인 사람들은 학생들의 지신밟기는 유용할 뿐 아니라 재미있고 흥미로운 공연이며, 전통 민속을 통해 공동체의 정체성을 대외적으로 드러낸 것에 대해 자긍심을 표현하였다. 반면, 부정적 견해를 드러낸 사람들은 성가실 뿐 아니라 볼거리가 없는 공연이고 한인 공동체의 정체성을 드러내어 타민족 공동체와 구분하는 일을 할 필요는 없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었다.로스앤젤레스에서의 지신밟기의 연행은 한국에서와 같이 지신밟기에 참여한 모든 공동체의 대동 통합을 강조하지 않는다. 공동체의 결속을 강조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신밟기에 익숙할 수 없는 타민족 공동체와의 구분과 병행이 동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문학교재로서의 <동동>의 가치

        길태숙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0 No.-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학교재 자료로서 <동동>이 가지는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의 항목과 주제를 조사하고, 전통문화교육의 주제적 측면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동동>을 분석하였다. <동동>은 다음의 4가지 측면에서 외국인을 위한 학습교재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조명할 수 있었다. 첫째, 언어적 측면에서, <동동>은 한글로 전해지고 있는 고려시대의 노래라는 점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언어와 문화 및 그 안에 녹아있는 사고를 경험케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둘째, 연희의 측면에서 <동동>은 궁중의례에서 불린 노래라는 점에서 한국의 전통의례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셋째, 소재의 측면에서 <동동>은 세시풍속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는 노래로서 세시풍속에 대한 정의적 이해를 뛰어넘어 상황적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넷째, 정서의 측면에서 <동동>에서의 님이 가진 복합적 의미(송축과 애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문학에 나타난 님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곧, <동동>은 한글, 고려시대, 궁중의례, 궁중연향악, 세시풍속, 명절, 명절 음식, 불교문화, 송축, 문학 등 한국어교육에서 주목하는 한국전통문화교육의 주제 및 항목과 연관성을 가진 작품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문학 교재로 활용될 가치가 충분함을 살필 수 있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consider the value of <Dongdong> as a literature material for Korean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This research includes examination of a variety of items and subjects for educating cultur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for foreign people and analysis of 'Dongdong' by combining the main theme of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t is possible to discuss that <Dongdong> has a value as a Korean literature material for foreigners from four kinds aspect. First, in terms of linguistic level, <Dongdong> has an advantage which it makes learners to experience traditional language, culture, and thinking as a Goryeo Dynasty’s song to be handed down in Korean. Second, in terms of performance, the learners can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royal court ceremony, through <Dongdong> which had been performed as a royal court ceremony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Third, in terms of the materials, <Dongdong> enable the learner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annual customs as well as context awareness of it, in regard to a song which deals with annual customs as a main material. Fourth, in terms of poetic emotions, the learners can understand complex images of “Nim(님)” in Korean literature through <Dongdong>’s “Nim(님)” which romance and Blessing are reflected in. <Dongdong> is a Korean literature which i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al subjects and learning items such as 'Hangeul', 'Goryeo Dynasty', 'Royal court ritual', 'Royal court banquet music', 'Annual customs', 'Traditional festivals', 'Traditional festival food', 'Buddhist festivals', 'Blessing', etc. As a result, <Dongdong> has been recognized as a valuable literature material for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