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화호흡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물건들기와 흉추부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기철(Chul Ki),허명(Myoung He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5

        이 연구는 강화호흡운동(Forced Breathing Exercise)이 만성요통환자의 물건 들기 능력과 흉추부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요통을 가진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강화호흡과 체간안정화운동의 실험군과, 체간안정화운동(trunk stabilization exercise)의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6주간 주 3회 1회당 30~45분 운동을 실시하였다. 물건들기(Weight Lifting)는 최대 등척성 전방 물건들기와 측방 물건들기(ventral & unilateral weight lifting)량을 측정하였으며, 흉추부 안정화(Spine Stabilization)는 외부 부하(external load)에 따른 흉추부 관절의 보상성 시상면각도(Compensation Sagittal Angle)량을 측정하였다. 강화호흡운동의 실험군에서 전방 물건들기(p<.01), 측방 물건들기(p<.05) 기능의 증진을 보이며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외부 부하에 따른 흉추부 관절의 안정화는 보상성 시상면각(CSA)의 감소를 보이며 기능의 증진을 보이긴 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5). 본 연구는 기존의 체간안정화운동과 비교하여 강화호흡운동이 만성요통환자에 대해 물건 들기 능력과 흉추부 관절안정화를 위한 운동 치료적 접근법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강제호흡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유연성과 척추관절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기철(Chul Ki),허명(Myoung He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1

        이 연구는 강제호흡운동(Forced Breathing Exercise)이 만성요통환자의 유연성과 척추관절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요통을 가진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강제호흡과 체간안정화운동의 실험군과, 체간안정화운동(trunk stabilization exercise)의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6주간 주 3회 1회당 30~45분 운동을 실시하였다. 유연성(Flexibility)은 시상면의 흉추부 굴곡(flexion)량을 측정하였으며, 척추관절안정화(Spine Stabilization)는 외부 부하(external load)에 따른 흉?요추부 관절의 보상성 시상면각도 (Compensation Sagittal Angle)량을 측정하였다. 강제호흡운동의 실험군에서 흉추부의 유연성(p<.05)의 증진을 보이며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외부 부하에 따른 척추관절의 안정화는 흉?요추부 모두 보상성 시상면각(CSA)의 감소를 보이며 기능의 증진을 보이긴 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5). 본 연구는 기존의 체간안정화운동과 비교하여 강제호흡운동이 만성요통환자에 대해 유연성과 척추관절안정화를 위한 운동 치료적 접근법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젊은 만성허리통증자의 허리부위 불안정성 검사 양성반응 수와 호흡패턴변화율, 통증 간의 상관관계분석

        기철 ( Chul Ki ),남기원 ( Ki-won Nam ) 대한물리의학회 2019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4 No.3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respir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Lumbar Instability Tests (LITs) in young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CLBP) METHODS: Thirty-six adults, aged 20-40 years with CLB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S of the participants were recorded by the subjects themselves and seven structure and functional LI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ositive response number, the positive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1: n=8, group 2: n=9, group 3: n=10, group 4: n=9). The breathing pattern change tests were performed in three states: during forced breathing exercise and motor control tests. A total of 13 positive lists were set, each of which was scored by 1 or 2 poi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After the positive lists were scored, the breathing pattern changing rate (BPCR) and VA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positive response number of LI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analyzed. RESULTS: A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positive of LITs and BPCR (r= .863, p= .000) and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number of LITs and VAS (r= .508, p= .002). In addition, there was a poor correlation between the BPCR and VAS (r= .434, p= .008). CONCLUSION: In young CLBP people, whe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instability are both present, the changes in the respiratory pattern of the whole body can be varied and broader, and the pain scale also increases.

      • KCI등재

        만성허리통증자의 호흡 패턴과 배부 운동성 변화에 대한 주관적 허리부위 불안정성 요소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기철(Chul Ki),이관우(Kwan-Wo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만성허리통증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허리부위 불안정성 요소(SLIF)와 호흡패턴변화(RPC), 배부운동성(AM)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만성허리통증(CLBP)을 가진 36명의 성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28개 항목의 SLIF 양성반응 조사 후, 양성반응 수(PRN)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뉘었다. 노력성호흡운동과 운동조절훈련 동안에 총 12개의 비생리학적 호흡패턴변화를 관찰과 촉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3가지의 호흡패턴변화[갈비가로막호흡패턴변화(CDRPC), 호흡정지변화(BHC), 전체 호흡패턴변화(TRPC)] 점수를 산출하였다. 배부 운동성 변화는 줄자를 이용하여 몸통의 칼돌기(AM1)와 10<SUP>th</SUP> 갈비뼈(AM2) 수준에서 최대 흡기와 호기 사이의 둘레 길이 차이로 조사하였다. SLIF의 양성 반응수에 따라 RPC 점수와 AM을 비교하고, 이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SLIF 양성반응수는 CDRPC 점수, BHC 점수, 전체 RPC 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AM1과 AM2와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SLIF 검사의 양성결과 조합은 CLBP자의 비생리적 호흡패턴변화에 대한 예측 변수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임상적 예측은 평가시간의 절약과 함께 효율적 치료접근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iratory pattern change (RPC) and abdominal mobility (AM) according to the positive result of the subjective lumbar instability factor (SLIF) in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CLBP). Thirty-six adults with CLB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nty-eight items of the SLIFs were examined,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ositive response numbers (PRN). After the change lists were scored, three RPC scores [costo-diaphragmatic RPC (CDRPC), breath hold change (BHC), and total RPC (TRPC)] were obtained. The abdominal mobility (AM) was measured between the maximal inspiration and exhalation at the xiphoid (AM1) and the 10<SUP>th</SUP> rib (AM2) level of the trun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PC score and AM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positive response number of SLIF,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analyzed.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SLIF positive response number and CDRPC score, BHC score, and total RPC scor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SLIFs positive response number and AM1 and AM2.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bination of SLIF positive responses can be a predictor of non-physiological respiratory pattern changes in people with CLBP. Clinically, this prediction is expected to help save time for screening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rapy.

      • KCI등재후보

        피드백 강화호흡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물건들기와 흉추부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기철(Chul Ki),허명(Myoung He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3

        이 연구는 피드백 강화호흡운동(feedback forced breathing exercise)이 만성요통환자의 물건들기 능력과 흉추부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요통을 가진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피드백 강화호흡과 체간안정화운동의 실험군과, 체간안정화운동(trunk stabilization exercise)의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6주간 주 3회, 1회당 30~45분 운동을 실시하였다. 물건들기(weight lifting)는 최대 등척성 전방 물건들기와 측방 물건들기(ventral & unilateral weight lifting)량을 측정하였으며, 흉추부 안정화(thoracic stabilization)는 외부 부하(external load)에 따른 흉추부 관절의 보상성 시상면각도(Compensation Sagittal Angle)량을 측정하였다. 피드백 강화호흡운동의 실험군에서 전방 물건들기(p<.01), 측방 물건들기(p<.05) 기능의 증진을 보이며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외부 부하에 따른 흉추부 관절의 안정화는 보상성 시상면각(CSA)의 감소를 보이며 기능의 증진을 보이긴 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 기존의 체간안정화운동과 비교하여 피드백 강화호흡운동이 만성요통환자에 대해 물건 들기 능력과 흉추부 관절안정화를 위한 운동 치료적 접근법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how the feedback forced breathing exercise affects the weight lifting ability and thoracics stabiliz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lumbar pain. For this purpose, we divided 24 patients with chronic lumbar pain randomly into the feedback forced breathing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control group and let them exercise 3 times per week over 6 weeks and 30 to 45 minutes per time. Then, we measured the maximum isometric front weight lifting value and the ventral & unilateral weight lifting value for the weight lifting ability while measuring the compensation sagittal angle (CSA) value of the thoracic vertebrae part joint due to external load for the thoracics stabilization. In the first group, people could improve both weight lifting abilities, Front (p<.01) and Ventral and Unilateral Weight Lifting (p<.05),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as for the stability of the thoracic vertebrae part joint due to external load, the CSA value decreased and the function was seen to be improv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s, we judged the feedback forced breathing exercise is worth a good exercise treatment for weight lifting ability improvement and thoracic vertebrae part joint stabilization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 lumbar pain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 KCI등재

        Changes in Thoracoabdominal Usage Rate after Respiratory Pattern Correction 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Chul Ki(기철),Myoung Heo(허명)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많은 요추 불안정성 환자들은 호흡 기능 감소와 호흡 패턴 변화로 인해 몸통 움직임 패턴의 변화를 나타낸다. 본 연구는 요추 불안정성 환자의 호흡 패턴 교정 운동 후 안정 및 노력성 호흡 동안 3개의 흉 · 복부 둘레 선 (겨드랑이, xiphoid junction, 10번째 갈비뼈)에 대한 사용률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실험군 15명은 호흡 패턴 교정 운동을, 대조군 15명은 요추 안정화 운동을 실시했다. 중재 전, 두 군 모두 안정 호흡과 노력성 호흡 동안 3개의 흉 · 복부 라인 간의 사용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후, 실험군은 안정 호흡 동안에 3 라인간 사용률 차이가 없는(p>.05) 변화를 나타내었고 노력성 호흡 동안에 두 라인 간 사용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5). 호흡 패턴 교정 운동은 호흡 패턴의 회복을 통해 몸통 운동 패턴을 개선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호흡 패턴 교정이 요추 불안정성 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재교육 및 강화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e Many patients who have lumbar instability(LI) could make a different trunk movement pattern by reduction of their respiratory function and altered breathing patter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thoracoabdominal usage rate(TAUR) on three circumference lines(axillary, xiphoid junction, 10th rib) during the resting and forced breathing (RB and FB) after respiratory pattern correction(RPC) exercises in patients with LI. 15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RPC exercises, and 15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conducte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Before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age rate among the three thoracoabdominal lines during the RB and FB(p<.05).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ee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age rate among the three lines during the RB(p>.05) and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age rate between the two thoracoabdominal lines during the FB(p<.05). The RPC exercises might improve the trunk movement patterns by restoring the respiratory patterns. We suggest that the RPC can apply in the re-education and reinforcement process at the reha-program for LI patients.

      • KCI등재

        The Effect on Trunk Forward Flexion Motion of Thoraco-Abdominal Breathing Pattern Correction for Life Care Promotion in Lumbar Instability People

        Chul Ki(기철),Myoung Heo(허명)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호흡 패턴 교정 후, 호흡 동안 흉·복부 둘레 선 세 곳의 운동성(TAMs) 변화와 몸통 전방 굴곡 동안 흉추(TSM) 및 요추부 운동성(LSM)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요추부 불안정성이 있는 30명의 대상자들을 15명의 호흡패턴 교정운동 그룹과 15명의 요추부 안정화운동그룹으로 나누어, 한 세션 당 40분 운동, 총 18 세션을 6주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호흡패턴교정 그룹은 안정화 운동 그룹에 비해 모든 TAMs과 TSM 이 유의하게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LSM은 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호흡패턴교정은 전체 TAM(안정호흡: r= .868, 노력성호흡: r= .870) 및 TSM(r= .672)과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LSM(r= -.420)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요추부 불안정성자의 호흡패턴교정이 흉·복부 둘레 선의 상대적 운동성 개선을 통해 흉추와 늑골관절의 운동성을 촉진하여 몸통 전방 굴곡 시 요추부 굴곡 운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제안한다. This study h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mobility of the three thoracoabdominal lines(TAMs) during breathing and in the thoracic and lumbar spine mobility(TSM, LSM) during trunk forward flexion, after breathing pattern correction. The 30 subjects with lumbar instability(LI) have divided into the breathing pattern correction exercise(BPC) group of 15 subjects and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LSE) group of 15 subjects and performed each exercise for 40 minutes at one session, and a total of 18 sessions were applied for 6 weeks. As a result, The BPC group during breath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TAMs(p<.001) and in the TSM(p<.001) than the LSE group. Besides, had a more decrease in the LSM than the LSE group(p<.001). The BPC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TAMs(rest: r=.868, forced: r=.870) and the TSM(r=.672)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SM(r=-.420). Based on this result of the study, the authors believe that the BPC in LI people could decrease the lumbar flexion mobility when they have motion of trunk forward flexion with promotions in the thoracic spine and rib joint mobility by improvements in relative mobility of thoraco-abdominal 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