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遺傳工學 關聯 技術의 法的 保護에 관한 硏究

        금현덕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It is possible to make a close examination into mechanisms induced by molecular-level genetic materials such as genes, proteins and the likes exited in cells that are basic unit of life-forms after the double helix structure of DNA that contains basic genetic information and the essence of organisms was solved by James Watson and Francis Crick in 1953. Since then,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which maneuver the genetic material artificially so as to invent the life-forms having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and genetic information from those discovered in nature, has been developed rapidly. For Example, pharmaceutical companies in advanced countries have done commonly researches for treating various incurable diseases in a gene level applying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which is impossible in the past. Also, it is possible to make new animals or plants with ease by transforming or maneuvering genes of the animal or plants pursuant to human needs. Semiconductor-related-technologies such as Electronic engineering and nano-technology has applied to examination of the molecular-levelled materials existed in the life-forms and the mechanisms caused by the materials and has enabled partly to make rapid progresses in the field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y. But, it would not overlook the very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y, which enables the structures of genes and proteins in the life-forms to be changed, such as gene re-arrangement and somatic-cell nuclear transfer has made great progresses. It requires enormous capital and work force to apply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researches into industrial level. On the other hand, it is relatively easy to plagiarize the information for the genetic material that is a start point for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rese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fruit or technological ideas in related to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legally through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compared to other technological fields. Besides, living organisms shall be the subject of the researches in the field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in order to examine the genetic material existed only in the living organisms and the phenomena resulted by the genetic material in the cells. Accordingly, it shall consider the fundamental principal of law that is represented in Constitution as a supreme concept and ethical concerns as well as simple private property with regard to the legal protection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researches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s through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which grants a person an exclusive right. Especially, I think that it shall note that the genetic material, which is start point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researches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genes and proteins cannot be defined simply by their chemical structures but has characters as information for the legal protection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To begin such legal problems, what is genetic engineering, what is genetic material that is the start point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researches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s and technical trends and development trends in related with the genetic engineering in advanced countries are studied first in Chapter 2. Next, in Chapter 3, patentable requirements, or patentabilities with regard to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researches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s are studied concretely through legal provisions and cases in the advanced countries. A lot of arguments are raised whether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that examine the expression of the genetic materials existed in living organisms and regulate the expression so as to produce a certain materials that is important to industrial levels are patentably protected "invention". Especially, "utility" as a patentability are required rigidly with regard to gene fragments such as EST in most advanced countries. Moreover, very detailed or particular information for inventions intended to receive protection shall be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in order to receive an exclusive right through the patent system for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because they are regarded as lower expectability or reproducibility compared to other technological fields. Especially, it would note that means-claims are allowed or prohibited on a country by country basis. Besides, comparative study through trilateral projects with regard to gene fragments and 'Reach-through claim' among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inventions are studied. In Chapter 4, legal and ethical concerns for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researches and legal protections and limits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are studied. Considering that the genetic material can be represented by information as well as chemical structures and that it is not a substitutable and a limited resource, it seems that the legal protection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invention through the patent system that does not protect information as such seems to not be sufficient. But, the legal protection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through a trade-secret or copyright system seems to be much insufficient. Therefore, I think that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should be protected by interpreting the patent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protection ranges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inventions compared to inventions in other technical fields. Lastly, in Chapter 5, considerations in patent practices and legislative argumentations with regard to the legal protection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technologies are mentioned based upon the subject matters as discussed above. It shall establish the legal protection standard concretely for new genetic engineering-related fields that has made rapid and great progresses at this writing. Especially,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inventions shall not be treated as the epigone of the chemical inventions and it would provide legal protection standard that tak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tic engineering-related inventions into account. 1953년 James Watson과 Francis Crick에 의하여 살아 있는 유기체의 본질이자 기본적인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의 2중 나선 구조가 해명된 이후, 생명체의 기본 단위인 세포 내부에 존재하는 유전자, 단백질 등과 같은 분자 수준의 유전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현상 내지는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유전물질을 인위적으로 ‘재조합’함으로써 자연 상태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른 화학적 구조 및 유전정보를 갖는 생명체를 ‘창조’할 수 있는 유전공학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전공학 기술을 응용하여 과거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각종 난치병을 유전자 수준에서 치료하는 연구는 주요 선진국가의 제약회사에서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인간의 필요에 따라 동물 또는 식물의 유전자를 ‘변환’ 또는 ‘조작’함으로써 새로운 동물 또는 식물을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유전공학 관련 분야에서 지난 수십 년 동안의 비약적인 발전은 반도체 산업으로 대표되는 전자 공학 및 나노 기술 분야에서 이루어진 관련 기술이 생명체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분자 수준의 물질 및 이러한 물질이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응용된 것에도 기인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유전자 재조합, 체세포 복제 등과 같이 생명체의 유전자, 단백질 등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개발된 유전공학 기술 자체의 발전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런데 유전공학 연구를 산업적으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본과 인력이 투여되는 반면에 유전공학 연구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유전물질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도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여타 기술분야와 비교해서도 유전공학과 관련된 연구 성과물 내지는 기술적 사상을 지적재산권 체제를 통하여 법적으로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유전공학 연구를 통하여 살아있는 유기체 내부에 제한적으로 존재하는 유전물질 및 이러한 유전물질로부터 만들어지는 세포 내부의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생명체를 대상으로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전공학 연구 및 산업적 응용에 대해서 특정인에게 독점권을 부여하는 지적재산권을 통한 법적 보호와 관련해서, 단순한 사적 소유권이라는 문제 외에도 헌법을 최상위 개념으로 하는 법의 근본이념 내지는 윤리적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유전공학 기술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유전공학 연구 및 산업적 응용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유전자 내지는 단백질과 같은 유전물질은 단순한 화학구조만으로 정의될 수 없고 ‘정보’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법적 문제점에서 시작하여, 본 논문의 제 2장에서는 우선 유전공학이란 어떠한 학문이고 유전공학 연구 및 산업적 응용의 출발점이 되는 유전물질이란 무엇이며, 유전공학 분야에서의 기술적 동향 내지는 주요국가에서의 유전공학과 관련한 개발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제 3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유전공학 연구 성과물 내지는 산업적 응용과 관련한 특허 요건을 주요국가에서의 규정 및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살아있는 생명체 내부에 존재하는 유전물질의 발현을 규명하고 그 발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산업적으로 의미가 있는 특정 물질을 생산해내는 유전공학 기술이 특허법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는 ‘발명’에 해당되는지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제기되었고, 특히 EST와 같은 유전자 단편 발명에 대해서는 유용성을 엄격하게 요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여타 기술분야와 비교해서 예측성 내지는 반복재현성이 떨어지는 유전공학 관련 기술을 특허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보호를 받고자 하는 발명과 관련해서 상세한 정보가 개시되어야 하며, 특히 기능적 클레임과 관련해서는 주요 국가에서 인정되는 정도가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의를 요한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유전공학 관련 발명 중 유전자 단편과 Reach-through 클레임에 대한 3극 특허청의 비교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계속해서 제 4장에서는 유전공학 연구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점을 고찰하는 한편, 유전공학 기술의 지적재산권 체제를 통한 보호 방안 및 그 한계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유전공학 연구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유전물질이 단순한 화학 물질로서의 특성뿐만 아니라, 정보로서의 속성도 가지고 있으며, 유전물질은 대체가 불가능한 한정적인 자원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정보 자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특허법 체제를 통한 유전공학 관련 발명의 보호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영업비밀 내지는 저작권 체제를 통한 유전공학 기술의 법적 보호는 그 한계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특허법의 적극적인 해석을 통해서 정보의 형태로 표현되는 유전물질을 포함하는 유전공학 관련 기술을 특허법으로 보호하는 한편, 그 권리 범위를 제한할 필요성은 여타 분야와 비교해서 훨씬 높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위에서 논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유전공학 관련 기술의 법적 보호와 관련해서 현재의 실무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 및 입법론을 언급하였다. 현시점에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새로운 유전공학 기술분야에 대한 법적 보호 기준을 구체적으로 확립할 필요성이 있으며, 유전공학 관련 발명을 단지 화학 발명의 아류로 취급하는 대신에 유전공학의 특성을 감안한 법적 보호 기준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