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분석으로 본 현대 성당(聖堂)건축 전이공간(轉移空間)의 특성 연구

        권태일 ( Taeill Kw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전통적으로 성당(聖堂, 가톨릭교회)건축의 계획에서‘전이공간’은 인간의 탐욕이 가득한 ‘외부세상(俗界)’에서 하나님이 현존하는 ‘신성한 세계(聖界)’로 진입하는 통로라는 중요한 종교적 장소로 여겨져 왔다. 그래서 이곳은 신성한 전례공간(典禮空間)을 향한 종교적 위계(位階)의 전이(轉移)가 시작되는 장소라는 중요한 의미가 함축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성당의 대지 경계에서부터 성전(聖殿)의 출입구인 배랑(拜廊, Narthex)에 이르는 진입공간이 여기에 해당되며, 중정, 회랑, 복도, 통로, 계단, 문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현대의 성당건축에서는 기능중심의 20세기 모더니즘건축의 영향(기능주의건축)과 가톨릭교회의 민주화와 대중화의 영향(19세기 전례운동과 2차 바티칸공의회)으로 종교적 체험의 출발점인 전이공간을 다소 간과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다시 말해, 건축공간에서 기능만을 중시한 기능주의건축의 영향으로 전례예식과 기능적 연관성이 크지 않았던 전이공간은 무시되었으며, 가톨릭교회의 민주화와 대중화의 영향은 공간적 위계성이 강했던 전례공간을 평등하고 자유로운 구성으로 전환하는 데에만 초점을 두면서 전이공간은 관심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이공간은 현대성당건축의 계획에서도 여전히 주요한 요소이며, 현대그리스도교를 상징하는 중요한 종교적 장소이기도하다. 따라서 현대성당건축의 계획에서도 전이공간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객관적인 공간계획 지침을 마련하는 것은 설계자인 건축가뿐만 아니라 성당건축 사용자인 천주교사제와 일반신자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인간이 시지각적으로 공간에 반응하는 행태(behavior), 즉‘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객관적, 정량적 분석방법인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성당건축의 전이공간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계획지침 정립을 시도한다. 그리고 여기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성당건축 전이공간의 유형은 성당건축사(聖堂建築史)에 기초하여 도출한 세 가지, 즉 전례공간을 에워싸는 ‘포획형(enclosure)’, 내·외부공간을 덧붙이는 ‘부가형(addition)’, 긴 경로를 만드는 ‘선형(liner)’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결과) 이 같은 분석은 각 유형별 전이공간이 갖는 장단점을 밝혀내게 되어, 현대의 성당건축에서 전례준비, 진출입 동선, 집회, 친교, 순례, 사회봉사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전이공간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현대성당건축에서 전이공간을 계획하는 구체적인 하나의 지침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결론)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현대 성당건축 계획이 갖는 문제점을 밝혀낼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이를 보완하여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현대성당건축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Traditionally, the transition space; the passageway between the Sacred World where the Holy God exists and the Profane World where filled with human greed,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religious space for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design. So, it has important meaning that the space where the transition of religious hierarchy begins toward the Holy liturgical space. The range of this space usually extends from the entrance of Catholic Church boundary to the Narthex of liturgical space, and it has generally composed of court, corridor, passage, stairs, door, and etc. However,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tends to neglect its importance within the influence of 20th Modern Architecture; Functionalism, and democr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Catholic Church Liturgy; 19th century Liturgical Movement and Vatican Ⅱ(1962-65). In other words, By Functionalism which strongly emphasized on the function of space in architectural design, the transition space which has little functional connection with inner liturgical space, was disregarded. Furthermore, the democr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Catholic Church Liturgy only paid attention to breaking existing spatial hierarchy and rebuilding free and equal liturgical space structure without any interest in the transition space. Nonetheless, the transition space is still not only a useful point for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design but also an important religious place which symbolizes Modern Christia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cern about the transition space with a new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i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design for both the designer; the architect, and the user of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the Catholic priest and Catholics. (Method)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new guidelines of the transition space of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design by Space Syntax which is based on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havior and the space, specially focused on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in space. The scope of the Space Syntax analysis is that three types of transition space founded on the history of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enclosed transition space, additional transition space, and liner transition space. (Results) This analysis will show the weak & strong points of three types of transition space and be very useful to evaluate the function of transition space which is often used variously such as liturgical ceremony preparation, access circulation, commune, and community service i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Thus, this research will suggest a new design guideline of transition space i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design. (Conclusions)It ultimately indicates not only an error of the existing architectural design trend of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s, but also a new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design direction toward 21st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s.

      • KCI등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한국 주요 성당(聖堂)건축 내부 공간 평면구성 비교 연구 - 제2차 바티칸공의회 전·후로 건립된 한국 주요 성당건축의 비교를 중심으로 -

        권태일 ( Taeill Kw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전통적으로 한국 성당건축의 내부공간은 성소(聖所)를 향한 ‘구원의 통로’라는 의미의 일방향 시선을 갖는 장방형 평면(Latin Cross)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런 경향은 평신도들의 ‘적극적인 참여(participatio actuosa)’를 강조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미사예식 중 사제와 신자 상호간의 교감과 몰입도 증대에 초점을 두는 부채꼴, 마름 모형, 원형 등의 탈-장방형 평면으로 변모하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전통적인 장방형에 비해 현대의 탈-장방형 평면이 공간적으로 반드시 신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더 유도한다고 볼 근거가 불분명하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에 대해 공간의 정량적 분석방법인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공의회 전·후로 건립된 우리나라 주요 성당건축의 장방형과 탈-장방형 평면을 비교분석하여 미사전례를 위한 공간적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주요 방법은 전술한 ‘공간구문론’으로서 공간의 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분석방법이다. 이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미사 전례에서 신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몰입의 정도가, 사제의 미사 집전공간인 중앙 제대 공간과 신자공간인 회중석 공간이 입당, 말씀전례, 영성체로 이어지는 예식 과정에서 ‘서로 잘 보이고(가시성), 신자들의 이동과 접근이 용이할 때(접근성)’극대화 된다는 점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후로 건립된 성당의 내부공간구조를 비교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과) 연구의 대상이 되는 성당건축의 수는 광범위하나, 전체가 4가지 평면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그 각 유형은 유사한 공간적 속성을 가지므로, 유형별로 3곳을 도출하여서 총 12개의 성당건축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와 둘째 유형은 우리나라에서 천주교가 본격적으로 전래(傳來)되기 시작한 19세기 후반부터 공의회 개최 전인 1960년대 초까지의 장방형 평면을 갖는 주요 성당건축으로서, 회중석(Nave) 좌우측의 통로(Aisle)유무(有無)에 따라 유형별 3곳, 전체 6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둘째와 셋째유형은 공의회 이후인 1960년대 후반부터 건립된 탈-장방형평면 성당건축으로서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 다양한 평면유형이 존재하나, 부채꼴 평면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므로 부채꼴과 기타유형(원형, 반원형, 삼각형 등)으로 분류하여 각 3곳씩 전부 6곳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장방형 평면의 성당건축공간이 탈-장방형 평면에 비해 미사전례 시 몰입도 증대에 반드시 불리 한 것이 아니며, 특정 지표에서는 오히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공의회 취지에 따른 기존의 탈-장방형 현대 성당건축 내부공간계획의 잘못된 선입견을 수정하고, 궁극적으로는 전통적인 장방형평면 성당건축이 갖는 장점에 기초한 새로운 한국성당건축계획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Before the Second Vatican Council (Vatican II), most Korean Catholic churches had been constructed following the traditional long, rectangular floor plan (symbolizing the Latin Cross), which denoted “the passage of salvation.” However, many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es have abandoned the “Latin Cross architecture” in favor of the free-type floor plan, such as the fan, circle, and triangle types, in keeping with the purpose of Vatican II: participatio actuosa (lit. active participation). However, there is no sufficient evident that the free-type floor plan i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rectangular plan as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in promoting participatio actuosa during mas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floor plan of Korean Catholic churches constructed before and after Vatican II using space syntax analysis,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space. (Method) Space syntax analysis is based on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in architectural space. With respect to participatio actuosa at mass, from the Entrance Rite to Liturgy of the Word and to Communion Rite, the entire ceremony largely depends on the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Sanctuary, the space for the priest, and The Nave, the space for parishioners. As such, space syntax is an ideal method for comparing the inner space composition of Korean Catholic churches constructed before and after Vatican II. (Results) Although Korea has many Catholic churches spread across the country, only 12 churches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because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floor plan form; we selected three churches to represent each form. The first and second types, seen in six churches constructed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1960s, used two kinds of rectangular floor plan: one with an aisle, and the other without. The third and fourth types, composed of six churches constructed after the late 1960s, are the fan-type free floor plan and non-fan type, such as the circular, semi-circular, and triangular floor plan. The space syntax analysis showed that the free-type floor plan is not always better than the simple Latin cross type of floor plan for participatio actuosa. Rather, the latter is superior in some evaluation factors of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Conclusions) Space syntax analysis indicated not only the errors of the existing architectural design trend of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es but also new possibilities for the simple Latin cross floor plan to serve as a new architectural design direction of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