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복합 물수지 모델 개발 및 활용성 평가

        권용현(Gwon, Yonghyeon),손경환(Son, Kyunghwan),이경도(Lee, Kyoungdo),최계운(Choi, Gyewoo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water balance model capable of daily analysis of the water supply situation in a multi-composite area, evaluate the utility of the model, and conduct a water balance analysis. The multi-composite water balance model, which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daily water balance in an area, includes five modules: Weather data build and area mean data, Rainfall-runoff analysis, Benefit area and demand estimation, Reservoir water balance analysis, and River basin water balance analysis. The study selected eight cities in northwestern Chungcheongnam-do in Korea as target areas and evaluated the utility of the water balance model. Further, the study used observation and model simulation data for its analysis, which found a high degree of accuracy as well as correlation. In addition, daily water bal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otential supply, demand, supply, shortage, surplus supply, and shortage days in the river basin, while the ratio of shortage to demand was also determined to identify areas vulnerable to drough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drought countermeasures and facility operation plans by identifying areas with water supply vulnerability using the developed model. 본 연구는 다중복합지역에서의 물공급 현황을 고려한 일단위의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한 물수지 모델을 개발하고, 모델의 활용성 평가 및 물수지 분석을 진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중복합 물수지 모델은 기상자료 구축 및 유역평균값 산정, 강우-유출분석, 수혜면적 및 수요량 추정, 저수지 물수지 분석, 하천유역 물수지 분석의 5개 모듈을 활용하여 일단위 물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충남 서북부 8개 시·군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물수지 모델의 활용성 평가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측자료와 모델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대부분 정확도가 좋게 산정되어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단위 물수지 분석을 진행하여 하천유역의 잠재공급량, 공급량, 부족량, 잉여공급량과 부족일수를 분석하고, 수요량 대비 부족량 비율을 검토하여 가뭄 취약지역을 파악하였다. 향후 개발된 모델을 활용하여 물공급 취약지역을 조기에 파악하여 가뭄 대책 및 시설물 운영 방안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지능형 공급 및 분배를 위한 다중수원 워터루프 시스템 운영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헌 ( Kukheon Han ),김영화 ( Younghwa Kim ),박현기 ( Hyunki Park ),권용현 ( Yonghyeon Gwon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최근 혁신도시, 신도시 건설 등으로 수자원 이용량이 증가하고 있고, 지역내 미이용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확보하여 통합적으로 이용하는 수자원 확보 및 공급망 구축기술은 아직 미흡한 상태로 지역내수자원을 효과적으로 확보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지역내 수자원 자립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용수 공급을 위해 기존의 용수생산 공급망 및 수자원관리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첨단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을 접목한 고효율의 차세대 인프라 시스템으로 ‘스마트 워터 그리드(Smart Water Grid ; SWG)’ 연구가 추진되고 있는데, 다양한 수원을 활용하고 물을 효율적으로 배분·관리·운송하여 수자원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첨단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수자원망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등 용수관리 전분야에 걸쳐 양방향 실시간으로 용수정보를 감시 대응하여 용수관리와 에너지 효율이 최적화된 차세대 다중수원 워터루프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다중수원 워터루프 시스템 운영기술이란 복수의 수원 및 정수장을 가지는 수로시스템에 있어서 일일 수요변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배수지의 완충기능 및 송배수계의 급수기능을 활용하여 정수장 및 송배수 펌프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운영기술은 다중수원 선택취수 기술, 시스템다이내믹스 활용 지능적 배분/공급 기술, 대수용가 압력 고려 펌프 최적운영기술, 실시간 관로관리(사고예방) 시스템 기술이다. 다중수원 선택취수 기술은 지역내 가용수자원을 활용하여 계절변동 및 물부족에 대처할 수 있는 수량, 수질 및 경제성(취수원가 및 시설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수원을 선택하여 최적의 원수를 공급하는 기술이며, 시스템 다이내믹스 활용 지능적 배분공급 기술은 배수지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야간 송수 저류이용에 의한 동력비 절감을 목표로 기상정보, 과거의 축적된 데이터, 펌프의 운영데이터, 배수지 수위 데이터, 전기요금 체계 등에 근거한 수요예측과 제어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물 공급을 실시하는 것이다. 대수용가 압력 고려 펌프 최적운영기술은 각종 센서치에 근거한 실시간 관망해석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 대수용가 압력을 제어하여 공급수량에 따른 최적설비 규모 축소, 펌프 동력비 및 누수량 절감을 목적으로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이며, 실시간 관로관리(사고예방) 시스템 기술은 관망 또는 지하시설물(통신, 전력선 등)의 파이프라인에 파손 및 누수(출) 발생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적용하여 인력·시간·자원의 낭비, 응급 보수로 인한 보수비용 발생 및 사회간접비용 발생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이들 개별 운영기술들을 종합적으로 운영관리하기 위한 S/W 개발도 추진에 있다.

      • 다중수원 선택취수 적용을 위한 영종도지역 수자원 검토

        한국헌 ( Kukheon Han ),맹승진 ( Seungjin Maeng ),박현기 ( Hyunki Park ),권용현 ( Yonghyeon Gwon ),염경택 ( Kyungtaek Yu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우리나라는 하천 취수율이 36%로 물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국가군으로 가뭄시 물이용에 취약한 실정이며, 하천, 댐 등 기존 수원에서 취수를 줄여 물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빗물이용, 중수도, 하·폐수처리수 재이용 등 물의 재이용(Water Reclamation, Recycling, Reuse)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용수부족시 단일 수원지만을 수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 아닌 지역 내 혹은 근거리의 다양한 수원(즉, 다중수원)을 사용하여 수자원 이용의 편중을 줄이고 지역 내 수자원 자립율 향상을 위해 다중수원 선택취수 연구를 수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수원 선택취수 기법의 적용을 위해 취수원에서 물의 공급이 부족하거나 단절시 용수 확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역내 활용 가능한 하천 및 하수처리 재이용수, 농업용수 등의 수원을 조사하고 각 수원별 활용방안을 분석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영종도 내 수원으로는 저수지 3개소(유효저수용량 130천m<sup>3</sup> 운북저수지, 21천m<sup>3</sup> 은골저수지, 22천m<sup>3</sup> 나룻개저수지), 하천수로는 전소천, 동강천이 있으며, 하수처리시설로는 처리용량 23,000m<sup>3</sup>/일(방류량 5,000m<sup>3</sup>/일)급 운북하수처리장, 그리고 저류지 시설로는 인천공항에서 나오는 우수를 저류하기 위한 북측 및 남측유수지, 그리고 인천신도시의 우수를 저류하기 위한 동측유수지 등으로 조사되었다. 영종도 내 이용가능한 수자원을 살펴보면, 은골저수지 및 나룻개저수지는 대상지역의 신도시 개발로 수질이 매우 불량하고 저수지 규모가 작아 수자원으로 활요이 불가능하며, 운북저수지는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어 상수원으로 사용하기에는 수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하천인 전소천 및 동강천은 하폭이 적고, 양수기 등을 이용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있어 가용 수자원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원별 수질, 추가적인 수처리 여부, 갈수시 유량 확보의 용이성, 관로 매설 거리 및 비용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영종도내 가용수자원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주수원으로 남측 및 북측유수지를 활용하는 한편, 보조수원으로 동측유수지를 활용하고, 도서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해수도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운북하수처리장 방류수를 하수재이용 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농업용수 또는 공단용수의 중수로 사용할 경우, 운북저수지를 둑높이기 사업가 병행하면 상수원수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