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법의 개인화 단상

        權英俊 ( Kwon¸ Youngjoon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5

        필자는 법의 개인화(personalization of law) 논의를 소개하고 그 시사점을 찾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하였다. 법의 개인화 논의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광고나 맞춤형 의약품을 제공하듯 맞춤형 법을 만들어 적용하자는 논의이다. 법은 유형화에는 친숙하나 개인화까지 나아가지는 않는다. 따라서 법은 수범자 모두에게 같은 내용을 가진다. 그런데 데이터 및 통신 기술, 통계 분석 및 행태 심리학 발달은 국가가 개인의 속성과 상황을 충분히 파악한 뒤 그에게 가장 적합한 개별 규범을 만들고 이를 개별적으로 전달할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이러한 가능성에 주목하여 법의 획일성을 극복해 보자는 논의가 시작되었다. 가령 이자제한법상 제한이율이나 도로교통법상 제한속도를 수범자의 개별적 상황에 맞게 개별화해보자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에 ‘대한’ 법제를 넘어서서 데이터에 ‘의한’ 법제로 논의의 장을 확장한 것이다. 필자는 이 논의의 잠재력에 주목한다. 하지만 동시에 그 기술적, 규범적 한계에도 주목한다. 특히 규범적 측면과 관련해서 법의 개인화가 법의 본질에 부합하는지, 개인정보 보호 이념과 저촉되는지, 수범자들이 전략적 행태를 보이지 않을지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지금은 법의 개인화가 전면 수용될 단계는 아니다. 다만 법의 개인화가 추구하는 정신은 일부 영역에서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소비자계약 같은 비대칭적 계약에서 정보제공의무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은데 맞춤형 정보제공방식을 가미하면 정보제공의무의 취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맞춤형 약관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불법행위법상 주의의무의 판단 기준을 세분화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법의 개인화라기보다는 법 적용의 개인화이다. 결론적으로 법의 개인화는 당장 전면 실현하기는 어려우나, 이론적으로나 법 정책적으로 흥미로운 주제이다. 이 주제에는 법이란 무엇인가, 평등이란 무엇인가, 법은 얼마나 정밀하고 효율적이라야 하는가 등의 오래된 물음과 데이터 시대는 법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알고리즘에 기한 법은 가능한가, 그것은 타당한가, 알고리즘에 의한 차별은 어디까지 정당화되는가 등의 새로운 물음이 공존한다. 이 주제에는 전통적 법 이론과 새로운 사회과학적, 기술적 방법론이 공존한다. 이 주제에는 법과 기술의 관계, 실증과 규범의 관계, 사전과 사후의 관계 등과 관련하여 치열한 대립 구도와 변증법적 절충 구도가 공존한다. 이 글은 이 주제의 논의 가치에 주목하여 그 효용과 한계를 인식하고 향후 발전적 논의를 위한 기초소재를 제공하고자 시론 차원에서 작성되었다. In this article, I aim to introduce recent academic discourse on personalization of law and to find policy implication. Personalization of law refers to making and providing individually-tailored law. Recent exponential advance on data and algorithm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personalize law based on personal data analysis and to convey such tailored norm to each individual without making or delivering law in an over-complicated way. Personalization of law, such as setting a mandatory ceiling on the interest rate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circumstances of an individual debtor, may enhance efficiency of law and reduce dead-weight loss that might arise from imposing an unitary standard on all the individuals without taking their heterogeneous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While acknowledging potential of this intriguing discourse, I also find that technical and normative limitations lie ahead. Normative limitations are acquainted with the inherent nature of law, need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possible strategic responses of the people to obtain favorable tailored law. Given such limitations, it would be hasty to say that personalization of law can and should take place immediately. At the same time, there are some implications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reform of current legal regimes in some areas. One example would be to customize duty to disclosure in the B2C transactions so that tailored information be provided to consumers to enable informed decision. In the same vein, boilerplates can also be granularized to better suit different needs of the individual consumers. To extend this line of thinking to ex post stage, courts can make better use of data in applying the duty of care standard in tort cases as they take individual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Personalization of law may not be immediately realized but is definitely something that deserves attention both from academic and policy perspectives. This article was written in consideration of its potential as well as its present technical and normative limitation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further academic discussion in Korea where this issue has not been explicitly recognized and addressed.

      • MLCC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원인과 저감방법 연구

        권영준(Youngjoon Kwon),김수진(Soojin Kim),이성훈(Seonghu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9 No.5

        In this paper, a verification method for lowering acoustic noise due to MLCC on PCB surface would be introduced. Recently, car users demand higher quality of a car in emotional side along with functional quality. To satisfy users emotionally, car manufacturers research and analysis light, noise, vibration, and atmosphere expressed in interior/exterior of a car. ACU (Airbag Control Unit) is mounted in the middle of a chassis (relatively close position to front seat) and noise from it may be delivered to passengers. Therefore, in emotional quality side, acoustic noise from ACU must be reduced. The main source of acoustic noise is bending of MLCC on PCB surface. MLCC is normally made of ferroelectrics such as Barium Titanate (BaTiO3, BT). The electrostrictive characteristic of ferroelectrics influences MLCC to contract and extend itself when electric field is applied. This motion leads the PCB at which MLCC is mounted to bend, and the acoustic noise is occurred. In this paper, the noise occurring mechanism would be further illustrated. Then, the simple test method and the result analyzed from the test would be followed. At last, improvement idea for noise lowering would be introduced for conclusion.

      • KCI등재

        위약벌과 손해배상액 예정

        권영준(Kwon, Youngjoon) 한국법학원 2016 저스티스 Vol.- No.155

        위약벌 약정도 계약의 일종이므로 여기에는 사적 자치의 원칙이 적용된다. 하지만 이것이 사적 자치의 원칙과의 관계에서 위약벌 약정이 다른 일반적인 계약과 동일하게 취급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위약벌 약정은 손해배상액 예정과 함께 위약금 약정의 일종이다. 위약금 약정을 일반적인 계약과 달리 취급하여 위약금의 감액을 허용하는 것은 이미 우리 민법 제정 당시의 세계적 흐름이었고, 이러한 흐름은 그 후 각종 국제규범들을 통하여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손해배상 예정액의 직권감액을 허용하는 민법 제398조 제2항은 이러한 흐름이 반영된 조항이다. 한편 계약공정의 원리와 합리적 손해배상의 원리에 따른 위약금 감액의 필요성과 정당성은 손해배상액 예정과 위약벌에서 달라질 이유가 없고, 오히려 위약벌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여기에 유추 적용의 일반 원리와 민사법 내에서의 광범위한 유추 적용 활용례까지 고려한다면 민법 제398조 제2항은 위약금의 또 다른 형태인 위약벌에도 유추 적용되어야 마땅하다. 요컨대 위약벌 약정은 일반적인 계약보다는 손해배상액 예정에 더 가깝게 취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은 법의 정합성을 증진시키고, 구체적 타당성을 제고하며, 일부 무효법리를 둘러싼 논란을 극복하고, 개별은 일반에 앞서야 한다는 요청에 부합한다. 또한 위약벌과 손해배상액 예정의 법적 취급이 달라짐으로써 양자를 애써 구별해야 하는 실무상 부담을 덜 수 있다. 이러한 유추 적용론은 입법자의 의도에 반하지 않으며, 사적 자치 원칙의 세밀한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사적 자치 원칙과도 양립할 수 있고, 소송의 증가를 통해 현저하게 사회적 비용을 높이지도 않는다. 그러한 점에서 위약벌과 손해배상액 예정의 엄격한 구별에 기초하여 전자에 대해서만 유독 사적 자치의 원칙을 강조함으로써 위약벌 감액의 문턱을 더욱 높인 최근 일련의 대법원 판결들은 재고를 요한다. Under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n contract law, a penalty clause in a contract is enforced in Korean law.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a penalty clause is subject to private autonomy to the same extent as other contractual clauses. A penalty clause is the type of an agreement to pay stipulated amount of money in case of a breach of contract, in addition to damages. This clause is to be differentiated from a liquidated damages clause, the purpose of which is to assess and determine damages in advance so that damages could be covered by paying liquidated damages. Generally, a penalty clause serves more of pressing and punishing function whereas a liquidated damages clause serves more of compensating function with enhanced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Article 398, Paragraph 2 of the Korean Civil Code, liquidated damages may be reduced ex officio when the stipulated sum is excessive. This marks huge difference between a liquidated damages clause and other contractual clauses. Meanwhile,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consistently denied the application of this doctrine on a penalty clause. Although the Korean Supreme Court applies a public policy provision in the Korean Civil Code to nullify it in whole or in part, it is done only in a very exceptional case. This article, in opposition to this stance, argues that this provision should also be applied to a penalty clause by way of analogy so that the stipulated penalty sum may be reduced ex officio when it is deemed excessive. The underlying principles in the reduction of liquidated damages, such as the principle of fair contract or the principle of just compensation, are even more manifestly requested in a penalty clause. Therefore, allowing reduction of liquidated damages while banning it in penalty is not a fair treatment of a penalty clause and Parties availing such clause. Further, the general rules on the analogical application make it quite clear that Article 398, Paragraph 2 may be applied to a penalty clause,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nature of a penalty clause is much closer to the nature of a liquidated damages clause than other contractual clauses. Such conclusion promotes coherence of law and adequacy in outcome of individual cases.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run counter to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or the original intent of legislator of the Korean Civil Code. It will alleviate unnecessary burden of the court to distinguish between a penalty and liquidated damages, the borderline of which is often difficult to draw. In this regard,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that placed special emphasis on the value of private autonomy and restricting the intervention of the court under public policy consideration on a penalty clause, thereby treating a penalty clause and a liquidated damages clause differently, need to be reconsidered in light of the above observations.

      • KCI등재

        데이터 귀속․보호・거래에 관한 법리 체계와 방향

        권영준(Kwon, Youngjo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21 비교사법 Vol.28 No.1

        이 글은 데이터 관련 법안이 활발하게 발의되는 상황에서 사법(私法)상 데이터의 귀속․보호․거래 관련 법리가 충분히 성숙되었는지를 돌아보며 작성되었다. 입법은 새로운 법리를 창출하기도 하고, 기존 법리를 확인하는 데 그치기도 한다. 최근의 입법적 시도는 전자를 주로 염두에 둔 듯하다. 이러한 입법은 관련 법리 체계의 정립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선행하여, 또는 최소한 이에 연계하여 법리 체계화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산발적 입법에 그칠 우려도 있다. 이는 당장의 입법 실적이 될지는 몰라도 법 질서의 건강한 발전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또한 새로운 입법은 기존 법리에 의한 규율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입법 과정에서는 기존 법리의 규율 상황을 곰곰이 따져보는 것이 정도(正道)이다. 행여나 4차 산업혁명이나 데이터 경제와 같은 멋진 단어들에 함몰되어 기존 법리의 규율 상황을 충실히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입법이 이루어져서는 곤란하다. 경쟁적으로 데이터 관련 입법이 시도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존재하는 현 시점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새로운 입법(de lege feranda)과 기존 법리(de lege lata)는 건강하게 상호작용해야 한다. 법학자들은 새로운 입법을 전후하여 기존 법리 체계를 더욱 정합성 있게 정리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Who owns data? To which extent is data protected? How can it be traded? These questions are not sufficiently answered within current legal doctrinal framework. Meanwhile, numerous bills are being proposed in the Korea National Assembly. These bills are mostly intended to put forth new legal framework to address the issues arisng from data protection and transaction. They may facilitate legal discourse and push it toward more sophistication. However, concerns are raised as to their hastiness and sporadicalness. More thorough contemplation on the existing legal doctrines to see if they may accommodate legal challenges arising from data-related issues should precede before leaping into new legislation. Therefore, it is the role of the legal academia to make keen observation on the progress in the realm of legislation while making due efforts to build more coherent and interrelated doctrinal framework.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intends to look back on recent legal discourse regarding data law - in particular discussion on data ownership - and to examine on the capacity of the existing legal doctrines to deal with the issues that such new legal construct purports to address. Firstly, the concept of data ownership is critically assessed and analyzed. Secondly,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existing doctrines is emphasized. In this vein, the doctrine of ownership and possession in relation to the attribution of data right, the doctrine of unfair competition act and torts in relation to the protection of data, the doctrine of contract and trust in relation to data transaction are examined in sequence in terms of their application to data-related issues. Finally, necessity for coherence in the whole legal framework, in the case of new legislation, is once again stressed.

      • KCI등재

        프로젝트 파이낸스 대출에 관한 저축은행 이사의 손해배상책임

        권영준(Youngjoon Kw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2 比較私法 Vol.19 No.1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nded down a decision on the liability of a mutual savings bank director regarding a project finance loan on October 13, 2011, the first decision of its kind in Korea. In this noteworthy decision, the Court remanded the part of the lower court decision, pointing out that the evaluation of the director, prior to the offer of the loan, on the feasibility of the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 at issue was not thorough enough, even though the Court recognized that this case fell into the scope of a business judgment rule. This decision is likely to serve as a significant reference point in the future director's liability cases regarding a project finance loan. In this case, however, the appropriateness of the business judgment was at issue while no illegal acts of the director was found. Business judgment itself can be subject to judicial scrutiny, but only with prudence. Closely looking into the case with this principle in mind, it seems that the director's liability could have been denied under the spirit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Therefore, the holding of the case should not be made leniently applicable to other cases of this kind so that the delicate balance between the spirit of enterpreneurism and the spirit of the rule of law can be achieved.

      • KCI등재

        부득이한 사유로 인한 조합해산청구

        권영준(Youngjoon Kw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22 비교사법 Vol.29 No.4

        민법 제720조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각 조합원은 조합의 해산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한다. 이는 민법상 조합의 해산사유에 관한 유일한 민법 조항이다. 그런데 ‘부득이한 사유’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 민법은 더 이상의 지침을 제시하지 않는다. 이에 관하여는 판례가 있으나 그 판례를 체계화하여 일반 법리를 도출한 연구물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부득이한 사유’, 특히 조합원 간의 불화·대립으로 인한 신뢰관계 파괴로 인한 ‘부득이한 사유’에 대해 다루었다. 이러한 불화·대립이 어느 정도에 이르러야 조합의 해산청구사유가 될 수 있는지, 또한 이러한 유형의 부득이한 사유를 판단함에 있어서 어떤 사정을 고려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일본, 독일, 미국의 예를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일본은 ‘부득이한 사유’, 독일은 ‘중대한 사유’, 미국은 ‘조합 운영을 합리적으로 기대하기 어렵게 된 경우’에 조합원의 일방적인 의사표시로 조합을 해산할 길을 열어놓고 있다. 해산청구를 하는 자에게 귀책사유가 없을 것을 요하지 않으나, 실제로는 귀책사유의 유무나 정도가 조합의 해지 또는 해산청구를 얼마나 엄격하게 또는 너그럽게 인정할 것인가에 고려되고 있다는 공통점도 발견된다. 이 글에서는 특히 해산청구의 보충성에 주목하였다. 해산청구의 보충성은 조합원 간의 불화·대립으로 인한 신뢰관계 파괴가 곧바로 해산청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고, 특정 조합원의 탈퇴나 제명으로도 조합업무의 원활한 운영을 기대할 수 없게 된 상황에 이를 때 비로소 해산청구가 인정된다는 속성을 말한다. 해산청구의 보충성은 우리 판례와 학설에서 인정되고 있다. 외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은 해석론으로서 해산청구의 보충성을 정면으로 승인하고 있고, 독일은 최후 수단으로서의 해산(Auflösung als ultima ratio)이라는 이념을 토대로 해산사유 판단을 행하고 있다. 미국 역시 조합원 사이의 불화 또는 대립만으로는 부족하고 조합 운영이 합리적으로 기대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러야 해산청구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새긴다. 해산청구의 보충성 원리는 조합의 단체성에 기초한 조합 존속 보장의 필요성 및 탈퇴 또는 제명에 관한 조합 법리와의 상관관계에 비추어 볼 때도 정당화된다. Article 720 of the Korean Civil Code provides that any partner of a general partnership may demand dissolution of the partnership if any inevitable reasons therefor exists. This is the only provision in the Korean Civil Code concerning dissolution of a partnership. However, this provision does not further provide guidance as to what ‘inevitable reasons’ are. There are some legal precedents on the meaning of ‘inevitable reasons’, yet there is few literature that systemizes or deepens its mean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deals with ‘inevitable reasons’ concerning destruction of trust due to discord and confrontation among partners. The extent of such quarrels that justifies dissolution of a partnership and the elemen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dissolution require further in-depth academic discourse. In doing so, this article examines how Japan, Germany and the US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pays special attention to supplementary nature of a dissolution. It indicates that mere discord and confrontation which impairs trust relationship does not lead per se to a dissolution of a partnership but that such claim is acknowledged only when the operation of the partnership can no longer be expected even by way of voluntary retirement by a partner or expulsion of a partner. Such supplementary nature is not only acknowledged under Korean law but also in other jurisdictions. Such doctrine can be justified by necessity of the contiunity of a partnership based on its nature as an entity as well as due consideration in regard to legal doctrine regarding voluntary retirement or expulsion of a partner.

      • KCI등재후보

        계약법의 사상적 기초와 그 시사점

        권영준(Kwon Youngjoon) 한국법학원 2011 저스티스 Vol.- No.124

        자율 패러다임은 계약법의 기본 패러다임이다. 그러나 이는 개인과 공동체의 현실적인 역학관계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서 사상적 흐름이 반전하면서 점점 큰 한계를 노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한계는 비대칭상태의 구조화로 특징지워질 수 있는데, 이러한 비대칭상태는 자율 패러다임을 지탱하는 ‘정보’, ‘인지와 판단’, ‘협상력’이라는 세가지 토대가 흔들리면서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후견 패러다임은 점차 그 비중을 높여 왔다. 양적으로는 계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약관의 일상화를 통한 계약의 시스템화, 그리고 사회복지국가 또는 규제국가의 출현에 따라 공동체적 가치에 점차 관심을 높여가는 계약법의 흐름 속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어느덧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따라서 계약법에서는 자율과 후견의 두 가지 패러다임이 공존하며 상호작용하고 있고, 적지 않은 계약법의 쟁점들은 그 상호작용 속에서 생성되고 있다. 그 중 어느 한 쪽에 경도되어 계약법의 다양한 모습을 획일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타당하지도 않다. 오히려 진정 중요한 문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언제 자율이 물러서고 후견이 들어서는가의 문제이다. 이를 일원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원리는 존재하지 않지만, 계약의 특성에 따라 기능적이고 유연한 접근에 의해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일반적으로는 자기결정된 내용의 확정성이 낮을수록, 계약체결과 이행완료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후견을 불러오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클수록, 당사자 간의 비대칭 상태가 심할수록 후견이 관여하기가 용이해질 것이다. 이는 자율과 후견의 관계는 계약법의 일반이론에 기대어 형성된다기보다는 오히려 그 계약법이 적용되는 사회의 구체적인 모습에 좌우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개인과 공동체의 역학관계, 나아가 인간상(人間像)의 변화 속에서 자율 패러다임을 어떻게 재정립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이 문제에 정면으로 답변하지는 못하였으나 이에 대한 향후 고민의 단초로서 정보제공을 통한 자율토대의 강화, 소비자 단체나 이용자 집단 등을 통한 집단적 자율규제에 의한 보완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이는 “정보” 또는 “단체”의 힘을 빌어 자율 패러다임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시도들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대체로 계약체결 후의 내용통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계약체결과정상 절차보장과 관련된 것들이다. 이를 통해 자율 패러다임의 전형적인 특징이던 “의사합치”는 한 걸음 물러나고, “절차보장”이 한 걸음 나아오게 된다. 또한 이들은 대체로 전통적인 계약법의 바깥에 있는 법제도와의 협업을 전제로 하는 것들로서 계약법 내부의 자율이라는 가치가 직면하는 위기를 극복하려면 계약법 외부의 법제도와의 유기적 관계설정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Autonomy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contract law. However, this principle has been confronted with significant challenges with the change of the society and its philosophical basis concerning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a community. The emergence of a structural asymmetry between contracting parties has even deepened these challenges. This asymmetry has been witnessed in the form of significant discrepancy in information, judgment and bargaining power between contracting parties. Against this backdrop, paternalism has enlarged its territory, advocating greater need for the regulation of contract.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ntract through standard form contracts, and the rise of the communitarianism in the contract law have expedited the expansion of paternalism. It is now evident that autonomy and paternalism coexist so as to shape the contract law. Therefore, understanding contract law requires understanding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lues. However, it would not be a wise attempt to explain whole area of contract law merely with one of these values. Rather more significant question here is when paternalism steps in. Generally, paternalism is more called for when there is lesser degree of self-determination in the contract, more consensus on the communitarian value within a certain society, and higher degree of asymmetry between contracting parties. This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paternalism is highly dependent on the specific features of a certain society and culture. Another significant question is how autonomy should be repositioned within contract law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wake of prosperity of paternalism. Information disclosure is one of the important mechanisms by which the foundation of autonomy is fortified. In that sense, autonomy in the modern contract law needs to evolve around the flow of information rather than the protection of will. Collective autonomy, in which the consumer organizations function as a proxy for individual consumers, also functions as another not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notion of autonomy. This idea helps to overcome feebleness of individual contracting parties in a enterprise-oriented society. These repositioning tools generally imply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traditional contract law and mechanisms outside the scope of contract law need to be furthered in order to overcome the challenges that autonomy faces.

      • KCI등재

        해킹(hacking) 사고에 대한 개인정보처리자의 과실판단기준

        권영준(Youngjoon Kwon) 한국법학원 2012 저스티스 Vol.- No.132

        해킹(hacking)으로 인한 대규모의 개인정보 유출사고들이 발생하면서 개인정보처리자의 불법행위책임이 빈번하게 문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어떠한 경우에 개인정보처리자의 과실을 인정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른다. 그런데 이에 관해서는 아직 재판례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불명확성이 상존한다. 이 글은 최근 시행된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과실판단기준을 구체화해 보려는 학술적 노력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글에서는 우선 개인정보처리자의 불법행위책임은 과실책임임을 확인하였다. 사용자책임처럼 법문상 과실책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무과실책임으로 운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개인정보처리자의 불법행위책임을 실질적인 무과실책임처럼 파악할 정당한 근거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과실책임주의 하에서의 주의의무는 그 이행에 대한 합리적 기대가능성을 전제로 한다는 점을 비용/편익 분석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그 토대 위에서 개인정보처리자의 주의의무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반론으로서는 주의의무가 언제나 법령에서만 도출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령의 포괄성과 망라성에 비추어 볼 때 개인정보처리자의 주의의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령상 주의의무와 일치시키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한 실무적 운용이 과실책임주의의 중요한 가치인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행위주체들에게 적정하고 명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보안상황을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장 위에서 해킹사고와 관련된 개인정보처리자의 주의의무를 안전조치의무와 사후조치의무로 나누고, 안전조치의무를 다시 기술적 조치의무와 관리적 조치의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주의의무 위반 여부를 판단할 때 구체적으로 고려할 요소들을 ① 내부적 고려요소(개인정보처리자의 통제영역 안의 고려요소), ② 외부적 고려요소(개인정보처리자의 통제영역 밖의 고려요소), ③ 기타 고려요소(개인정보 처리업무 위탁시의 고려요소)로 나누어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Tort liability for a personal data controller is often in controversy in a series of hacking accidents that result in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f massive volume. However, the negligence standard that is to be applied to these cases lingers uncertain and obscure due to lack of judicial precedents and academic works on the subject.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clearer negligence standard under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in Korea. In the first place, the personal data controller assumes negligence liability as opposed to strict liability. In order to hold a data controller liable, the controller should have breached the duty of care. One takes the duty of care only when it is reasonably feasible to request one"s performance. On this basis, this article strives to present a framework that systematizes and illustrates overall duties personal data controllers undertake. In general, the duty of care stems not only from the statutes and the related contracts, but also from the good faith principle or general principles of law. However, the current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in Korea clearly intend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et of duties. In addition to this feature of the Act, it is more desirable to determine the duty of care within the framework of statutory law, since it will consequently enhance foreseeability and certainty in the area of internet security. This article confirms that a personal data controller assumes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duties to protect personal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Act. This article also suggests various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negligence and categorize these factors into internal factors (factors that can be influenced by the personal data controller), external factors(factors that cannot be influenced by the personal data controller), and other factors (especially factors concerning the outsourcing of personal data protection).

      • KCI등재

        게임저작물과 실질적 유사성 ―한국의 포레스트 매니아 판결과 미국의 테트리스 판결을 중심으로―

        권영준 ( Kwon Youngjoon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2 지식재산연구 Vol.17 No.3

        대법원 2019. 6. 27. 선고 2017다212095 판결(이른바 포레스트 매니아 판결)은 게임저작물의 실질적 유사성 문제를 다룬 최초의 대법원 판결로서 선례적 가치가 크다. 또한 이 판결은 게임규칙에 대해서도 저작권 보호가 인정될 여지를 열어 놓음으로써 이를 줄곧 부정해 오던 하급심 판례의 흐름에 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이러한 양상은 미국의 테트리스 판결의 등장으로 인한 미국 판례의 흐름 변화와도 유사하여 흥미롭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미국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대상판결의 의미를 게임저작물의 표현범위 확장(목차 Ⅲ)과 포괄적·전체적 침해 판단의 강조(목차 Ⅳ)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상판결은 실질적 유사성 판단 대상은 아이디어가 아니라 표현이라는 종래의 기준에 입각하면서도 이러한 아이디어와 표현의 경계가 저작물을 둘러싼 환경 변화에 연동하여 결정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종래 아이디어로만 치부되던 게임규칙도 표현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그 범위에서는 게임저작물의 저작권 보호범위, 즉 ‘표현’의 범위가 확장되었다고도 평가할 수 있다. 대상판결은 실질적 유사성 판단 방법과 관련하여 포괄적·비문언적 유사성에 착안하거나 개별 요소의 선택과 배열이라는 총체적 관점에 기초한 침해 판단 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실질적 유사성 판단은 개별 요소를 분리하여 비교하는 개별적 층위뿐만 아니라 개별 요소를 뛰어넘는 전체 구조나 결합을 총체적으로 비교하는 포괄적 층위의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대상 판결의 배후에는 게임저작물의 보호범위에 관하여 게임저작물의 특성이나 게임저작물을 둘러싼 경제적 환경 등을 고려한 실질적이고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사고방식이 자리 잡고 있다. This article addresses recent Korean Supreme Court case (Forest Mania Case, 2017Da212095 decided on 27 June 2019) on substantial similarity standard concerning videogame copyright infringement, in comparison with the Tetris case and the relevant legal doctrines in the USA. This case is noteworthy not only because it is the first Korean Supreme Court case on the said matter but also because it enlarged the scope of copyright protection on videogame by stating that even combination of the game rules, which were constantly denied of their status as ‘expression’ under idea/expression dichotomy, may be protected. This signifies that a borderline between idea and expression can flexibly move in accordance with economic implication of the copyrighte material. This case also addressed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and non-literal similarity of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videogames as well as similarity in selecting and arranging various individual elements that comprise the videogame, making it alike copyright in compilations. Underlying this case is a series of thoughts that more substantial and flexible approach on the scope of game copyright considering nature and traits of the game at issue and economic implication surrounding the game.

      • KCI등재

        『담보거래에 관한 UNCITRAL 모델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권영준(Kwon, Youngjo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7 비교사법 Vol.24 No.2

        UN 국제거래법위원회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mational Trade Law, 이하 ‘UNCITRAL’)는 2016. 7. 1. ~담보거래에 관한 UNCITRAL 모멜볍(UNCITRAL Model Law on Secured Transactions)~ 을 공식적으로 채택하였다 UNCITRAL 제6작업그룹 (Worki맹 Group vI)은 2002년부터 동산 및 채권 담보제도에 관한 국제규범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는데‘ 이번 모멜법은 그 긴 여정의 종합적 인 결실이다 모델법은 모두 107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산, 채권, 증권, 지식재산권 등 다ÒJ한 유형의 담보자산에 관한 담보권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살체법적 문제뿐만 아니라 담보권의 실행과 관련된 집행법적 문제와 외국적 요소가 있는 담보거래에서의 국제사법 문제까지 규율하면서경과규정도 제시하고 있다. 모텔법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규범이 아니지만. UN이 공식적으로 제시하는 일종의 표준 법제이므로 각국 업법에 사실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담보거래에 관한 UNCITRAL 입볍지침 (UNCITRAL Legislative Guide on Secured Transactions)~은 2012. 6. 1 1.부터 시행된 『동산 • 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제정 과정에서 요간한 참고자료로 활용된 바 있다. 이번 모델법도 향후 우리나라 동산채권담보법제의 개선 논의에 참 고할가치가 있다. 이 글에서는모멜법의 배경과주요내용을소개하고모델법이 우리 법제에주는 시사점을 언급하끄{ 한다. 아울러 필자가 2010년 이래 최근까지 UNCITRAL 담보거래 분야 제6작업그룹 회의에 참여하면서 국제규범 형성에 관하여 느낀 소회도 덧붙였다. On July 1. 2016,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UNCITRAL) officially adopted UNCITRAL Mαlel Law on Secured Transactions. UNCITRAL Working Group VI began its work toward establishing modern international instrument in the field of secured transaction since 2002. Along with several texts including UNCITRAL Legislative Guide on Secured Transactions that were adopted in 2007, the Model Law is the comprehensive and final instrument that embraces past products in pursuit of harmonizing law in the realm of secured transaction The Model Law is composed of 107 Articles on various types of movable asset including receivables, negotiable instruments, non-intermediated securities and intellectual property. The Model Law deals not only with substantive legal issues such as creation and effectuation of security right but also with procedural legal issues such as enforcement of security right, as well as issues regarding conflict of laws and transition. As the Legislative Guide was one of the significant scurce of reference in the making of current secured transaction regime in Korea, the Model Law presents another momentum to 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the secured transaction regime and to find room for its improveme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introduces the background and the main content of the Model Law, draws implication on Korean security right regime, and adds some more thoughts and comments on raising the possibility of Korea’s contribution to future discussion on international instr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