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상 情報에 대한 接近 및 取得行爲의 違法性

        權英俊(Young-Joon Kw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07 比較私法 Vol.14 No.3

          Can the information-holder on the Internet control the flow of information within his boundary even when he does not possess any proprietary right over the information? What if someone accesses to the information and obtain it without any approval? This article intends to provide comprehensive responses to these fundamental issues, mainly from the Korean perspective. To facilitate the analysis, eBay Inc. vs. Bidder’s Edge, Inc, one of the landmark U.S. court decisions in this regard, is introduced and examined here.<BR>  This article categorizes a wide variety of disputes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proprietary dispute, focusing on the protection of computer system as a chattel. The traditional trespass theory will be applied, and actual harm will be required to justify injunctions. The Second type is the access dispute. The article 48 of the “Information Network Act” in Korea will play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the unlawfulness of the access on the Internet. Th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article requires the balance between information holders and the information users. The third and the final type is the information property related dispute. Law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related legislations will govern this type of dispute.<BR>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the body of traditional legal theory and the recent changes in the legal environment brought on by technological advances, a new set of legal norms is needed. Korea has been responding to this challenge by legislating relevant acts in an ad hoc way. Relatively few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the whole frame of norms with regard to the unlawfulness issue in response to the Internet. This article, however, endeavors to emphasize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pproach and to suggest the general standards by which unlawfulness of the information related disputes can be measured.

      • KCI등재후보

        공정거래법상 가격담합사건에 있어서 손해배상액 산정

        권영준(Kwon, Young-Joon)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4 경제규제와 법 Vol.7 No.2

        이 글에서는 공정거래법상 가격담합사건에 있어서 손해배상액 산정에 관한 법리와 이에 필요한 경제적 분석에 대하여 개관한 뒤, 관련 대법원 판결들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전문가에 의한 경제적 분석과 법원에 의한 규범적 평가의 상호관계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개진하였다. 공정거래법 분야는 날이 갈수록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고, 이에 비례하여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 특히 가격담합으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손해배상액 산정의 어려움은 모든 손해배상사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지만, 가격담합으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는 비(非)법관 전문가의 경제적 분석과 법관의 규범적 평가가 건강한 균형관계를 유지하도록 할 필요성이 유독 크다. 그만큼 경제적 분석의 비중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관련 논의와 재판례들을 살펴본 뒤 ① 가격담합사건에 있어서 경제적 분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할 수 없다는 점, ② 경제적 분석의 컨텐츠 자체에 대해서 법원이 섣불리 개입하여 판단하는 것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 ③ 그 대신 법원은 전문가의 신뢰성, 방법론의 타당성, 전제되는 자료와 사실의 정확성 등 법원이 통제할 수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규범적 통제를 강화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점, ④ 아울러 전문가 집단의 역량이 공정한 모습으로 현출될 수 있도록 절차적인 정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점, ⑤ 경제적 분석의 한계를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손해액 재량인정에 대한 공정거래법 제57조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증명책임을 합리적으로 분배하는 방법으로 규범적 판단을 함으로써 피해자의 재판청구권 행사나 실제적인 권리구제가 경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In this paper, I take a general overview on the relevant doctrines regarding antitrust damages in price collusion cases along with economic methods for quantifying damages employed in the litigation. I also introduce and analyze recent Korean Supreme Court cases extensively dealing with the issue. Based on the general observation, I present my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alysis by experts and normative analysis by judges. As the significance of antitrust damages heightens, accurate assessment of damages comes into question. This is not an issue solely reserved for antitrust cases. However, this becomes even thornier issue due to nature of antitrust cases where impact of the collusion on the relevant market as a whole matters. An economic analysis is essential in many antitrust cases. However, its relationship needs to be well-adjusted against normative evaluation of the court. I suggest followings. The importance of economic analysis in antitrust cases cannot be underestimated. Courts should generally respect its outcome given its lack of specialty. At the same time, courts should focus on what courts can do, such as fortifying normative control by scrutinizing reliability of the expert, verifying appropriateness of the employed method, checking on the accurateness of the premise and factual data. In particular, the procedure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so as to maximize the capacity of expert groups as a whole in a just and fair way. Courts, when it is too costly to carry out economic analysis especially in the case of multiple consumers suing companies involved in price collusion, should consider utilizing Article 57 of the Fair Trade Act in Korea where courts are given discretion in assessing damages if assessment of damages is extremely difficult. Allocating burden of proof so as to alleviate the burden of plaintiffs in antitrust damages cases is also important. These measures will substantially facilitate adequate reinforcement of legal remedies.

      • KCI등재

        경제상황의 변동과 민법의 대응

        권영준 ( Young Joon Kwon ) 한국법정책학회 2012 법과 정책연구 Vol.12 No.4

        Ever-changing economic circumstances require certain response of law.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ivil law has responded to these changes. The way by which civil law responds has much to do with its peculiarity as a general norm. Civil law is a general law encompassing a wide range of private legal matters. Due to its generality, provisions in civil law tend to be abstract, thereby adding flexibility to interpretation. This explains gradualness of change in civil law. On the other hand, special statutes regarding private legal matters have bridged the possible gap between changed economic circumstances and the existing norm. Given that civil law is a foundation on which many statutes are built, this gradualness is understandable from the standpoint of legal stability. The prudence of civil law is revealed in the area of contract law. This article has chosen the doctrine of changed circumstances to prove its point. This doctrine has evolved in pursuance of filling up an extreme split between drastically changed circumstances and the existing contract. Korean academia and judiciary have embraced this doctrine in general. In addition, there is an indication that the new provision explicitly containing this doctrine is likely to be introduced to Korean Civil Code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is doctrine has rarely been accepted to the merit of the party who asserts it. This reflects the weight of Pacta sund servanda in the area of contract law, and implies that this doctrine can only be exceptionally made applicable in the real-world setting. In this sense, the response of contract law does not depart from the basic stance of civil law in this regard, which is a gradual and conservative one. On the other hand, tort law has shown more dynamism in this regard. Tort law is an area of civil law that breathes with the transition of the society. Thus, economic dynamism has influenced tort law to a greater degree. The emergence of product liability, environmental torts, and internetrelated torts are some tokens of the sensitiveness of tort law. However, this did not led to the amendment of tort law in Korea. It evidences that current tort provisions in Korea are flexible and comprehensive enough to regulate constantly-emerging, new types of wrongdoings. Meanwhile, the judiciary has exercised its creativeness in applying traditional norms to new reality. To conclude, the response of civil law against change of economic circumstances has been gradual, while leaving its task to special statutes that sprung up on an ad hoc basis. Meanwhile, some fundamental changes in response to fundamental transition of society are in store for us, as is shown in the recent efforts to amend the Korean Civil Code.

      • KCI등재

        자살과 재해사망보험금 지급에 관한 보험약관의 해석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5. 10. 7. 선고 2015나14876 판결의 평석

        권영준(Kwon Young Joon) 한국재산법학회 2015 재산법연구 Vol.32 No.3

        자유의사에 기해 이루어지는 자살은 우발적인 외래의 사고가 아니므로 재해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해사망보험계약을 체결하였더라도 이러한 자살에 대해 재해사망보험금을 지급할 이유가 없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종래 재해사망보험약관 중에는 일반사망보험약관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면책기간이 경과한 후 자살한 경우에는 재해사망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처럼 읽힐 수 있는 조항(이하 “자살면책 제한조항”)이 포함된 경우가 있었다. 이 조항 때문에 면책기간 경과 후 자살에 대한 재해사망보험금 지급을 둘러싸고 해석분쟁이 발생하였다. 최근 선고된 서울중앙지방법원 2015. 10. 7. 선고 2015나14876 판결은 이 경우 재해사망보험금을 지급할 수 없다는 입장을 채택하였다. 이 글은 이 판결을 평석한 것이다. 보험약관의 해석은 보험자와 보험계약자의 합리적 의사를 추구하는 작업으로서, 약관 전체에 비추어 공정하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 과정에서 보험단체 전체의 이해관계와 공공의 이익도 고려해야 한다. 대상 보험약관(특히 재해사망약관)에서는 면책기간 경과 후 자살에 대해 재해사망보험금이 지급되어야 하는가가 다투어진다. 그런데 보험사고가 발생해야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다는 것이 보험법의 기본원리이므로 이는 결국 보험자와 보험계약자가 재해사망보험금의 보험사고로 무엇을 의도하였는가의 문제이다. 그런데 이 사건의 경우 보험금 지급사유에 대한 조항, 재해분류표와 보험금지급기준표 등 재해사망약관 전체에 나타난 약관의 목적과 체계에 비추어 보면, 보험자와 보험계약자의 합리적 의사는 ‘재해’만 보험사고로 삼는 것이었지, 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자살까지 보험사고로 삼는 것은 아니었다. 이는 보험자와 보험계약자가 자살에 대해 보험료를 산출하거나 납입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그렇게 보는 것이 보험단체 전체의 이해관계나 공공의 이익에도 부합한다. 한편 재해사망약관에 잘못 포함된 것으로 보이는 자살면책 제한조항의 “그러하지 아니합니다”라는 문언만으로 재해 외에 자살도 보험사고에 포함시킨다는 합리적 의사가 도출되지는 않는다. 또한 고객유리의 원칙은 모든 해석방법을 동원하더라도 합리적인 해석이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 비로소 적용되는 보충적인 위험부담 원칙으로서, 위와 같이 재해사망약관으로부터 하나의 합리적 해석을 도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요컨대, 체계해석의 관점에서 이성적이고 성실하며 합리적인 평균적 당사자라면 마땅히 가졌을 규범적 의사를 확정한다면, 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자살에 대해서 재해사망보험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해석은 합리적인 해석이라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필자는 대상판결의 결론에 찬성한다. Generally, committing a suicide is not a “disaster”. Therefore, the insurance company offering insurance coverage for disaster-related loss need not compensate for a suicide under that insurance policy. In the past, however, not a few standard form insurance contracts accidentally included a clause which could be read as requiring compensation if the suicide was commit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ince the effectuation of insurance policy. The decision rendered by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on October 7. 2015 (case number 2015Na14876) addresses the interpretation issue as to whether or not the insurance company under the above circumstance is obligated to compensate under such a provision. The court denied such obligation. In the wake of the above decision, this article attempts to address relevant interpretation issues. As is the case with the interpretation of a contract, the interpretation of a clause in the standard form contract on insurance policy is a process of ascertaining reasonable intention of the partie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reasonable intention of the parties in reference to the contract at issue as a whole was to deem “disaster” a insurance accident, but not “suicide”. This article also addresses the doctrine of contra proferentem in this regard, and asserts that reasonable intention of the parties construed from the contract prevails over the doctrine of contra proferentem., After analyzing a series of Supreme Court decisions that are of relevance to this case, this case finally endorses the outcome and the rationales of the decision by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 KCI등재

        유럽사법(私法)통합의 현황과 시사점

        권영준 (Young-Joon Kw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1 비교사법 Vol.18 No.1

        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 is the academic work, prepared by two research groups at the delegation of the European commission, containing principles, definitions and model rules of European private law. This impressive work is not only significant in the realm of European private law, but also in the context of Korean private law as well, which has constantly been influenced by European private law. Although it is good to be acquai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DCFR, it is equally important to understand where DCFR stands in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of European private law. For some years, DCFR has been the focus of huge controversy in various aspects. Its relationship to the idea of the European Civil Code, the solidness of the common legal infrastructure of the European private law on which it stands, and its position as to the fundamental values of the private law have especially been subject to fierce controversy. Apart from the debate concerning these issues, the European Union is pressing forward with the next idea of “Instrument of the European Contract Law”, based on the contract law part of the DCFR, which will significantly affect the future of the European Contract law. Anyhow, DCFR will be remembered as a huge leap in the road to the integration of European private law. The contract law part is likely to serve as the meaningful stepping stone to the integration of European contract law, while the other parts are likely to remain as a mere academic work that might benefit future efforts in its kind. A close observation on the process of making DCFR and the controversy that followed also gives us some implications that we need to dwell on. Among these implications, I have argued that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comparative analysis, competition between legal regimes, and the emerging significance of the fundamental values of private law are particularly noteworthy.

      • 동계 사료작물 재배에 따른 간척지 내 미세먼지 저감 효과

        권영준 ( Young Joon Kwon ),김세인 ( Se-in Kim ),이승범 ( Seung-beom Lee ),전정훈 ( Jeong-hun Jeon ),이희지 ( Hui-ji Lee ),김선경 ( Sun-kyung Kim ),윤석인 ( Seok-in Yun ),최보람 ( Boram Choi ),곽진협 ( Jin-hyeob Kwak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전북 지역은 중국, 서해, 새만금 간척지 등 서쪽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농도는 높지만 지리산, 덕유산 등에 의해 공기 확신이 저해됨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전국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간척지 내 사료작물 재배를 통해 서쪽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흡착효과 뿐만 아니라 토양 안정화를 통한 미세먼지 발생 저감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하지만 간척지 내 동계작물 재배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규명한 연구는 현재까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 고농도 시즌(봄철) 동계작물(사료작물 및 초지작물) 재배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 5공구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 내에서 진행하였다. 간척지에서 적응이 우수하다고 평가된 톨페스큐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를 2019년과 2020년 10월에 각각 0.5ha 면적에 파종하였으며, 작물이 활발하게 성장하는 이듬해 3월부터 5월까지 미세먼지 농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미세먼지 농도 측정은 SENSIRION SEK-SPS30 미세먼지 농도 측정 센서를 20지점(작물 포장 내 작물별 3 지점, 포장 외부 작물별 6 지점, 나대지(대조구) 2지점)에 두 높이(지표로부터 1m와 2m)에 설치(총 40개 센서)하여 날씨에 따라 1일에서 5일까지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생육 초기의 경우 사료작물 재배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생육 중후반(5, 6월)에 IRG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 저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톨페스큐에 의한 미세먼지 농도 저감 효과는 없었다. 이는 IRG 엽면적이 톨페스큐에 비해 넓고 미세먼지가 IRG 엽에 흡착되어 농도가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작물 생육에 따라 토양이 안정화되어 비산먼지 발생이 감소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측정 높이 2m에서는 처리구와 상관없이 농도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작물과 근접한 지점에서만 작물에 의한 미세먼지 농도 저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새만금 간척지 내 동계작물 재배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규명되었으며, 사료작물 재배를 통해 농가소득 증대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저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등기의 공신력 -1957년, 그리고 2011년-

        권영준 ( Young Joon Kwon ) 법조협회 2011 法曹 Vol.60 No.10

        등기의 공신력 문제는 민법 초안에 대한 심의가 진행 중이던 1957년부터 물권변동에 관한 형식주의의 채택과 관련하여 논의되기 시작했다. 당시 우리 민법은 형식주의를 취하되 공신력은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이는 신뢰성 있는 등기제도가 확립되어 있지 않던 당시의 현실을 고려한 입법적 선택이었다. 그로부터 50여년이 흘러 최근 전면적인 민법 개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즈음하여 공신력 문제에 대해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효율적 제도설계의 차원에서 보면 공신력을 인정함으로써 최소비용회피자인 권리자에게 위험을 부담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결론은 비교법적 동향의 관점에서도 보강된다. 형식주의를 취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공신력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물론 현실론의 차원에서는 본래의 권리자 보호약화, 등기제도의 신뢰성과 관련된 전제조건의 미비 등의 우려들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익상황을 세밀하게 살펴보면 본래의 권리자가 늘 제3자보다 우선하여 보호받아야 할 당위성도 없고, 현재 등기제도의 신뢰성도 1957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졌다. 합리적인 공증제도 또는 기타 대체방안의 실행이 가미된다면 그 신뢰성은 더욱 높아진다. 특히 본래의 권리자에 대한 보상제도까지 더하여지면 공신력 인정에 따르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공신력을 인정하여 부동산거래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방안을 진지하게 검토할 시점이 도래하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최선노력조항(best efforts clause)의 해석

        권영준 ( Young Joon Kwon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대학교 法學 Vol.55 No.3

        최선노력조항(best efforts clause)은 계약상 채무이행과 관련하여 최선의 노력을다하겠다는 취지의 문언이 포함된 계약조항이다. 최선노력조항은 계약관계의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구체적이고 확정적인 계약내용을 정하기는 어렵지만 그 불명확성을최소화하기 위하여 활용된다. 주로 영미법계 국가들에서 널리 이용되었으나 국제거래나 국내거래에서도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최선노력조항은 ‘최선’이나 ‘노력’과 같은 추상적이고 불명확한 개념을 담고 있어 복잡한 해석 문제를 야기한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그다지 연구되지 않았던 최선노력조항의 체계적 해석론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우선 최선노력조항은 그 추상성으로 말미암아 법적 효력 인정 여부 자체가 문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궁극적으로 계약해석의 문제로 귀착되지만, 일반적으로는최선노력의무의 구체성과 명확성이 높고, 그 이행에 대한 상대방의 신뢰가 높으며,계약의 특성과 내용상 독자적인 의미를 갖출수록 그 법적 효력을 인정할 가능성이높아진다. 최선노력조항에 따른 법적 의무의 내용을 확정하는 과정에서는 ① 최선노력조항에 따른 법적 의무는 결과채무가 아니라 수단채무라는 점(해석의 출발점), ② 최선노력조항에 따른 법적 의무는 채무자가 적어도 필요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일 것을 요구한다는 점(법적 의무의 하한선), ③ 반면 최선노력조항에 따른 법적 의무는비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까지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법적 의무의 상한선)을 기본적인 계약해석원리로 고려해야 한다. 최선노력의무위반으로 손해가 발생하였다면 손해배상책임의 문제가 생긴다. 일반적인 계약위반의 경우처럼 이때에도 민법 제393조의 틀 내에서 그 이행이익이 배상대상이 되어야 한다. 실제로는 최선노력의무를 다하였더라면 얻게 되었을 이익의 존재와 범위를 증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에 갈음하여 지출비용 내지 신뢰이익에 상당하는 손해배상을 구하거나, 법원이 손해의 공평한 분담이라는 이념에 기대어 손해배상책임을 적정하게 제한하는 방법이 동원된다. 계약실무의 최전선에서 활용되는 최선노력조항은 매우 실무적이고 사안 중심적이어서 학문적 탐구와 다소 거리가 있는 소재처럼 보인다. 하지만 사실 이는 법률관계와 그 밖의 생활관계, 계약 주체의 이타심과 이기심, 합리성과 비합리성 같은 법학의 근본적인 화두와도 맞닿아 있어 여러모로 생각할 바를 제공하는 소재이다. 그 점에서 최선노력조항에 대한 연구는 단지 실무적인 것에 그치지 않고 이론적인 문제와도 맞닿아 있는 것이다. Best efforts clause is a contractual clause to the effect that a contracting party isrequired to exert best efforts to fulfill one’s contractual obligation. This clause is oftenused to reduce uncertainty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in a circumstance where itis difficult to specify concrete and fixed terms and conditions in advance at the timeof the contract. It has been heavily used in Anglo-American jurisdictions. At thesame time, the usage of the best efforts clause is increasing in international commercialcontracts as well as in domestic contracts.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bestefforts clause accompanies significant challenge from a legal perspective. This is mainlydue to the amorphousness of the terms such as ‘best’ and ‘efforts.’ This articleaims to address this challenging issue. In the first place, it should be noted that enforceability of this clause is frequentlyat issue. It is, after all, the issue of a contract interpretation. Generally speaking, themore specific and clear the clause is, the more reasonable reliance invested into theclause exists, and the more unique and non-obvious the clause in the specificcontractual setting is, the more likely the best efforts clause becomes enforceable. Once enforceability of the clause is determined, one needs to interpret the clauseto figure out the detailed obligation. Three guidelines may be suggested in thisregard. First, the obligation arising from the best efforts clause is an obligation toundertake efforts for a certain result, not an obligation to bring about a certain result(the basis of interpretation). Second, it is an obligation to make at least “some”efforts (the lower limit of obligation). Third, it is not an obligation to make efforts beyond what is reasonably required (the upper limit of obligation). When there is a breach of contract concerning best efforts clause, it usually leadsus to the issue of monetary compensation. As often is the case with ordinary breachof contract cases, the expectation interest is to be compensated within the frameworkof Article 393 of the Korean Civil Code. Practically speaking, it is not easy toprove definite expectation interest. For this reason, one may turn to reliance interest,or the amount of expenditure as a proxy for expectation interest. The Korean courtsalso use discretion to limit the scope of monetary compensation under the idea offair distribution of loss embedded in the compensation law. The best efforts clause may appear too practical and too fact-specific to beaddressed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However, it is a topic that leads us to ponderon fundamental issues such as legal enforceability of the contract, egotism and altruismin the contract, and the boundary drawn by reasonableness in determining the scopeof contractual obligation. Therefore, this topic is significant concerning not only legalpractice, but also legal theory in general.

      • KCI등재

        저작권과 소유권의 상호관계

        권영준(Kwon Young Joon)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0 경제규제와 법 Vol.3 No.1

        저작권은 끊임없이 확장되어 왔다. 이러한 확장의 배후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그 중 소유권 법리와의 결합에 주목하였다. 저작권의 개념과 법리는 그 형성과정에서 소유권의 개념과 법리에 의지하여 왔다. 민법학에서도 저작권을 준물권(準物權)의 하나라고 설명하는데, 소유권은 물권의 전형이므로 준물권이라는 개념을 매개로 저작권과 소유권은 쉽게 연결된다. 소유권은 이념적 차원에서는 독점성과 지배성이 최대로 발현된 권리이다. 따라서 저작권과 소유권의 법리적 결합은 저작권의 확장을 용이하게 만든다. 그런데 독점(獨占)과 공유(公有)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 저작권법에서 저작권과 소유권의 연결고리를 지나치게 강하게 파악하는 데에는 유의하여야 한다. 저작권과 소유권은 적법한 독점을 창출한다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여러가지 중요한 차이점도 가진다. 가령 저작권법의 탄생과 발전과정에서 목격되듯이 저작권은 소유권에 비하여 훨씬 더 큰 사회적 구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또한 저작권은 소유권과 달리 공시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고, 보호대상의 특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특징을 가진다. 저작권은 소유권과 비교할 때 이질적인 권리의 다발로 이루어져 있어 권리응집성도 떨어진다. 나아가 저작권은 소유권에 비하여 표현의 자유와 훨씬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이 저작권과 소유권의 상호관계를 탐구하는 것은 저작권법과 소유권법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저작권법에 대하여는 저작권 특유의 눈으로 저작권 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함으로써 저작권 제도에 특유하게 요청되는 독점과 공유의 균형을 달성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던져준다. 한편 소유권법은 저작권법에 일정한 자양분을 제공하여 왔지만, 새로운 지배객체가 끊임없이 등장하고 이에 따라 기존 소유권법의 법리가 새로운 도전을 맞이하는 오늘날에 있어서는 오히려 저작권법에서 이루어지는 위와 같은 논의는 소유권법에도 유연하게 환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Historically, copyright has been ever expanding since the time of its inception. This article touches upon the interaction between copyright and ownership as one of the causes for the ceaseless expansion of the copyright. In the past, the concept and the doctrine of copyright has been dependant on the concept and the doctrine of ownership to a certain degree. For this reason, it is widely understood that copyright bears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of ownership. Yet, emphasizing too much on its similarity can facilitate excessive expansion of monopolistic domain of copyrigh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ownership itself is the typical example of monopolistic and dominating power, thereby making it easier to justify copyright as monopoly. This may be problematic in the realm of copyright law where one should strike a delicate balance between monopolistic control and free access. Rather, one should note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two rights. For instance, copyright has been understood as a socially binding right in a much stronger sense than in ownership, as can easily be inferred from its history. Another noteworthy thing is that copyright, unlike ownership, is not governed by a principle of public disclosure. consequently making it harder to identify its scope of protection. Further, copyright is a bundle of rights consisted of heterogeneous sub-rights, implying that it should be treated in a more flexible manner. Finally, copyright has a direct inter-relationship with free speech, while ownership does not. Inquir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and ownership may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both areas of law. Copyright needs to be construed and executed based on its own mission against the backdrop of its history. Meanwhile, the struggle over intangible properties in the area of copyright law might provide some meaningful guidelines to the law of ownership, which now encounters numerous novel issues that concern dominion over new objects such as information, human body or outer space.

      • KCI등재

        로스쿨 교육방법 개선에 관한 단상(斷想)

        권영준 ( Kwon Young-joon ) 한국법교육학회 2016 법교육연구 Vol.11 No.3

        로스쿨 제도의 핵심은 시험을 통한 선발로부터 교육을 통한 양성으로 법조인 선발·양성제도의 근본적 변화를 꾀하였다는 데에 있다. 이 점을 고려하면, 로스쿨 제도가 추구하는 변화는 교육 현장에서부터 일어나야 한다. 따라서 로스쿨 교육방법, 즉 어떻게 잘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는 로스쿨에 관한 핵심 논제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동안 너무 거창한 논의에 함몰되어 막상 이러한 핵심 논제에 충분한 관심을 쏟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 글에서는 로스쿨 교육방법 개선이라는 주제 아래 강의역량 제고, 참여수업 도모, 평가방법 개선이라는 세 가지 항목에 관하여 필자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추상적인 당위를 제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필자가 로스쿨 교육 현장에서 경험하고 관찰한 바를 공유하는 한편,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강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특히 한국로스쿨에서 참여수업이 가지는 의미와 방향성, 실행 방안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로스쿨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 정도가 충분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향후 로스쿨 교육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법조계를 아우르는 논의기구의 설치를 제언하였고, 이와 별도로 개별 로스쿨 차원에서 단기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들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e newly implemented law school system in Korea is to nurture lawyers through legal education, not to elect them through a harsh examination. Given this aim, the change that the law school system purports to pursue should begin in the classroom. This makes the improvement of law school teaching a core topic to be addressed in the discourse concerning a law school system. However, the discourse that has taken place up to now in Korea has been rather political than practical.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discourse has been on the improvement of law school teaching, while fierce debate on the justification of the system itself along with the attempt to resurrect the old regime has swallowed up the whole nation for considerable period. This article intends to address the improvement of law school teaching, especially focusing on three sub-topics; improving lecture, facilitating student participation, and rethinking evaluation method. This article not only makes theoretical and abstract suggestions, but also presents in-field experiences and observation as well as feedbacks from law school students. This article also deals with the implication and direction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current law school setting where heavy pressure to learn vast amount of legal knowledg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Finally,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current level of discussion on the improvement of law school teaching is unsatisfactory. It further suggests that the nationwide organization that exclusively focuses on this issue be established, and also suggests some feasible measures that respective law school can employ immedi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