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복무자의 재해보상청구권에 대한 헌법적 고찰

        권영복,이철호 한국보훈학회 2022 한국보훈논총 Vol.21 No.2

        Article 29 (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State Compensation Act prohibit the state compensation claims if soldiers are compensated for disasters that occur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On the provision, the judiciary interprets it as prohibiting compensation claims regardless of the level of compens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legislative background, basic rights system, and legal confusion, it should be deemed as prohibiting the compensation claim based on the just compensation, which would b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 not as prohibiting the compensation claim regardless of the contents of compensation. Further, in consideration of the causes and ideologies of state compensation for loss and state compensation for accident, it is unfair to equate the characters of both. If a disaster occurs due to a defect in the command system or military equipment, military facilities, etc., it means that compensation for the loss would replace the compensation for accident, not means that compensation is prohibited for the loss caused by the external factors. If the just compensation is guaranteed for restrictions on property rights, it is a natural logic that the just compensation is guaranteed for the sacrifice of life and body that is a superior value. In addition, Article 29 (2) of the Constitution is a regulation established to resolve the competition between compensation for the loss due to performance of duties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intention of replacing a claim for compensation for accident with the just compensation. The compensation of the Military Accident Compensation Act at the level of consolation money cannot be regarded as the just compensation. The compensation of the National Meritorious Persons Act, which supports only some of the soldiers who suffered from the disaster, is also contrary to the just compensation, in that the Act interprets that the level of compensation cannot be argued as the compensation is deemed to be legislative discretion.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enact compensation legislation that guarantees the just compensation corresponding to sacrifice. It is possible to consider introducing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for military service personnel and applying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Act to them at the average salary level of public officials.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improving the veterans' welfare system, such as the National Meritorious Persons Act, to the just compensation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sacrifice. In that case, the disaster recognition system under the Military Accident Compensation Act and the National Meritorious Service Act should be unified. Among the accident occurred during the service performance and the accident correlated with the public service, it is reasonable for the state to bear the burden of proof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the accident with public affairs, considering that the accident occurred during the military duties that had been disposed by the state. Providing compensation for sacrifice, rewards, and courtesy under the veterans’ welfare system through separate national compensation laws can eliminate the issue of equity with other professional public official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essence of the military service personnel’s right to claim accident compensation is their right under the State Liability Act for the sacrifice of life and body caused by the action of public power for public interest purposes, and suggested a plan to improve the current compensation system. Regardless of the compensation method, it clearly mentioned that the just compensation should be guaranteed to harmonize with the state's liability for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by risk-taking for the protection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under the Constitution. 헌법 제29조 제2항과 국가배상법은 군인이 직무수행 중에 발생한 재해로 보상을 받을 경우 국가배상청구를 금지하고 있는데, 사법부는 보상수준과 관계없이 배상청구를 금지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입법배경과 기본권체계 및 법적혼란 등을 고려할 때, 보상내용과 무관하게 배상청구를금지한 것이 아니라 정당보상을 전제로 배상청구를 금지한 것으로 보아야 헌법의 취지에 부합한다. 또한 국가보상과 국가배상의 원인과 이념을 고려할 때 양자의 성격을 동일시하는 것은 부당하고, 재해가 명령체계의 과실이나 군사장비와 군사시설 등의 하자로 인해 발생한 경우 보상으로 배상을 대신한다는 의미이지, 외부요인에 의한 손해까지도 배상을 금지한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재산권제한에 정당보상이 보장된다면 그보다 우월한 가치인 생명·신체의 희생에 정당보상이 보장되는 것은 당연한 논리다. 또한 헌법 제29조 제2항은 직무수행으로 인한 보상과 배상의 경합을 해결하기위해 둔 규정으로, 정당보상으로 배상청구를 대신하겠다는 취지로 해석해야 한다. 위로금 수준의 군인재해보상법의 보상은 정당보상으로 볼 수 없고, 재해를 입은 군인 중 일부에게만 지원되는 국가유공자법의 보상 역시 입법재량으로 보아 보상수준을 다툴 수 없다고 보는 것도정당보상과 배치된다. 이런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은 희생에 상응하는 정당보상을 보장하는 보상입법을 정비하는 것이다. 군복무자를 위한 재해보상보험을 도입하는 방법, 군복무자에게 공무원평균급여 수준으로 산업재해보상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국가유공자법 등 보훈제도의보상을 희생정도에 상응하는 정당보상으로 개선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군인재해보상법과 국가유공자법의 재해인정체계를 통일시키고, 국가의 병역처분으로 발생한 재해임을 고려하여공무수행성과 공무기인성 중 공무기인성에 대한 입증책임을 국가가 부담하는 것이 타당하다. 개별국가보상법을 통해 희생보상을 하고 보훈제도에 의한 보상과 예우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다른직업공무원과 형평성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복무자의 재해보상청구권의 본질이 공익목적의 공권력작용으로 발생한 생명·신체의 희생에 대한 국가책임법상 권리임을 규명하여, 현행 보상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상방식을 떠나서 정당보상이 보장되어야 국가수호와 국민보호를 위한 위험감수로 야기된 피해에 대한 헌법상 국가의 보상책임과 조화를 이룬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 KCI등재

        현행법상 해상구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여객선 세월호 사건에서 제기된 문제를 중심으로 -

        권영복 한국해양경찰학회 2015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5 No.2

        여객선 침몰과 같은 해상재난 사고는 초기에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2014년 4월 발생한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에서는 300명이 넘는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여 이를 증명하여 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세월호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응과정과 관련하여 제기된 몇 가지 문제점들과 결부하여, 현행 수난구호법의 해상사고에 대한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과 대응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헌법적 측면에서 헌법상 국민의 기본권으로서 안전권 보장에서 국가의 재난관리의무를 도출한 후 해상재해에 대한 현행 재난관리체계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여개선 전복과 같은 대규모재난에 있어서 컨트롤타워, 해상재난에 있어서 인명구조를 위한 구조업무의 민간위탁 내지 대행, 해상재난에서 해군과의 공조체계의 필요성, 구호비용에 대한 본인 부담 및 구조의무의 재량규정 등을 중심으로 그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현행법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책임지고 주도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색·구조·구난·보호에 관한 업무 중 구조업무에 있어서는 민간이 아닌 국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는 점, 해군의 우수한 인력과 장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 구호비용에 대한 국가의 책임부담이 요구된다는 점, 그리고 재량규정을 기속규정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Maritime accidents such as a ferry sinking can result heavy life damage, if failing to cope with them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at an early stage. When the sewol ferry sank in April 2014, the accident that more than 300 passengers were killed clearly testified to the truth of the same fact. The writer of this article was discussed about current issues of the sea and river disaster relief law,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countermeasures, on several problems arising from the government's response to the accident. In short, writer derived the national's disaster management duties from safety rights as a constitutional basic rights of citizens, reviewed about the exist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the maritime disaster, and proposed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control tower in large-scale disasters such as a ferry capsized, privatization or private agency on life-saving operations, the need for cooperative system between maritime police and navy, burden for rescue costs and discretion in relief duty. Especially, writer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define the control tower to respond quickly and be responsible for accident, play a leading role in saving of human lives, make full use of navy manpower and material system and bear the costs of relief, and revise discretion regulation with binding regulation about duty to rescue as improvements to the problem of the current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