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전략훈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권미은,신현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 유아 어머니에 대한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전략 훈련의 적용효과를 자녀와의 의사소통 행동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남 천안에 위치한 특수학교 유치부와 발달센터에 다니고 있는 5-7세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 4쌍을 대상으로, 개별 어머니에게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전략을 훈련시켜 자녀에게 적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전략 훈련의 적용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중 언어적 표현을 증가시켰고, 중재종료 후에도 유지 및 일반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전략을 통한 어머니 훈련은 발달지체유아의 언어적 측면에 긍정적인 변화를 제공함과 동시에 어머니에게는 자녀와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대한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어머니-유아 쌍방 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효율적인 중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on communication behaviors of developmental delay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pairs of mothers and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located in the city of Cheon-an. mothers were instructed to read a picture book to their children using an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In order to ascertain the effects of inter-subject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was used. The video observation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visual graph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using an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the total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developmental delayed was increased and the increased change of communication behaviors was generalized to a new situation through the use of an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Second, the communication behavior styles(language behaviors and non-language behaviors) of developmental delayed were changed and the change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behaviors was maintained through the use of an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an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developmental delayed.

      • KCI등재

        유아기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 활용과 선정기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권미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actual application and selection criteria of picture book for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For an optimal examination, 290 teachers from 30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hich are located in Gwang-Ju, were surveyed. Firs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the amount of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were less than five books. Most teachers didn't use the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disability. secondly, as a result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picture book for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the sub-categories(literature, educational content and artiness) of selection criteria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partially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career, disability-related training experience, the teaching experience an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ke this resul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be helpful in selecting a picture book for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Further, it could be applied to fundamental data to even judge the suitability from the process which prepares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 본 연구는 유아기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 활용과 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국・공립 유치원 및 어린이집, 사립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 활용에 관한 실태에서 장애관련 그림책 보유량은 5권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의 활용여부에 대해서는 장애관련 그림책을 활용하지 않는 교사가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장애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유아교사의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 활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현재 출판되고 있는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 수량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많았고, 모든 장애유형별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 목록개발과 그림책 선정기준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른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 요소별(글, 그림, 내용측면) 선정기준은 교사의 경력, 장애관련 연수경험, 장애 유아 지도경험, 장애이해교육 실시여부에 따라 그림책의 글 측면, 그림 측면 그리고 내용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에게 장애이해교육용 그림책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그림책 선정기준을 체계화하고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마련과정에서 그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애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화구연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권미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ly narrated fairytale program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efficacy applied journal writing. For an optimal examination, 27 pre-service early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orally narrated fairy taleprograms for 12 weeks, 2 hours per sess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education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st were conducted on before and afterorally narrated fairy tale programs. Also,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education teacher's teaching efficacy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journalwriting on before and after orally narrated fairy tale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howedsignificant difference on teaching efficacy.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fficacy reported teaching confidence andenhanced teaching skills, reflective thinking 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education teacher from journal writing. This finding would be meaningful as afoundation to indicate the direction for teaching practice for increasing the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본 연구는 장애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화구연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는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N대학교 유아특 수교육과 1, 2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주 1회 2시간씩, 12주 동안 동화구연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장애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화구연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교수효능감 검사와 학생들의 저널쓰기를 통해 양적·질적 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화구연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후 예비유아특수교사들 의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저널쓰기를 통해서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구연 교사교육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보다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학에서 예비유아특수교사를 위한 다양한 교수효능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해 준다.

      • KCI등재

        정서ᆞ행동장애 관련 동영상 사례기반학습(CBL)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문제행동 대처능력과 교사효능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미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 case based learn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efficacy,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comprised of 13 students who have taken the emotional-behavior disorder courses. Teacher efficacy,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efore and after case method. The Journa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in item of teacher efficacy,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teacher efficacy,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d meaningful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ase based learning(CBL).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case based learning(CBL) will be helpful to improve the teachers’ problem behavior efficacy in classroom. Moreover, it is important for pre-service teachers to have experiences of practical instructional or training from the process which prepares the case based learning. Key Words : Case based learning(CBL), Teacher Efficacy, Probl 이 연구는 정서ᆞ행동장애 관련 동영상 사례기반학습(CBL)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문제행동 대처능력과 교사효능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N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2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정서ᆞ행동장애아교육’ 강좌에동영상 사례기반학습(CBL)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문제행동 대처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문제행동 대처능력과 교사효능감 검사를 동영상 사례기반학습 실시 전과 후에 실시하여 그 변화를 양적으로 분석하였고, 동영상 사례기반학습(CBL)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 평가를 통해 동영상 사례기반학습(CBL)의 만족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사례활동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문제행동 대처능력과 교사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학습의 만족도 측면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다양한 문제행동의 동영상 사례를 통해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장애 영ᆞ유아의 문제행동에 대처하는 능력과 교사로서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수 있으며, 수업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예비유아특수교사 교육에서 동영상 사례기반학습(CBL)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과 세계시민교육역량 연구

        권미은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3 국제문화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after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and global citizenship in 225 pre-service teachers of Gwangju City. The data wer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global citizenship. In addition,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hich explained 19.6%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the higher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Therefore,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should focus on improving global citizenship, including elements related to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본 연구는 예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역량과 세계시민의식의 관계를 규명한 후 세계시민과 세계시민교육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SPSS 1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세계시민 교육역량은 세계시민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지식, 기술, 태도가 유의한 요인으로 세계시민교육역량의 19.6%를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세계시민 수준이 높을수록 세계시민 교육역량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예비교사를 위한 세계시민 교육역량 프로그램은 지식, 기술, 태도와 관련된 요소를 포함하여 세계시민의식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KCI등재

        하브루타 러닝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미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4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havruta learning on pre-service infant special teacher’s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havruta learning was conducted on 13 second-grade students taking the cours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nd Behavioral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of the pre-child special teachers, the change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y conducting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st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increased meaningful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havruta learn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collaboratively solve problem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by discussing topic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through critical thinking.Moreover, it shows the necessity of havruta learning in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raining process. 본 연구는 하브루타 러닝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N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전공 교과목인 ‘장애유아 행동관리 및 행동수정’ 강의를 수강하는 2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 검사점수를 하브루타 러닝 전과 후를 비교하여 그 변화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브루타 러닝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하브루타 러닝을 통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주제를 비판적 사고로 토론함으로써 특수교육 현장에서 협력적으로 문제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예비유아특수교사 교육에서 하브루타 러닝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통합교육 환경에서 구조화된 미술활동이 장애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권미은,최낙천 한국발달장애학회 2012 발달장애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통합 어린이집에 입급 된 장애유아에게 미술재료를 의도적으로 변화시켜 미술활동을 구조화함으로써 일반유아와의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 2명과 일반유아 6명씩, 총 8명을 대상으로 일 주일에 3회, 30분씩, 6주 동안 미술재료를 제한적으로 제공한 구조화된 미술활동이 이 루어졌다. 미술재료를 이용한 미술활동의 구조화가 장애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 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화된 미술활동 실시 전 후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자유 놀이 상황에서 발생한 또래 상호작용 행동빈도를 구하여 사전결과와 사후결과를 비 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조화된 미술활동을 한 장애유아들은 또래상호작용에 긍정 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 물리적인 통합보다 또래 상호작용의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화된 중재의 필요성을 제안해 준다.

      • KCI등재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장애아동의 놀 권리 탐색

        권미은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1 국제문화연구 Vol.14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ildren with disabilities' right to play is approached from a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what is guaranteed, and what is meaningfu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explores the right to pla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studying international laws such a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domestic laws such as Child Welfare Act, Welfare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nti-Discrimination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venience Promotion Act.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 pursui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ight to play in the play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educational system, and integrated education on the right to pla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required, and an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to revive the purpose of related laws and systems. Lastly, this study expects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 will be guaranteed the right to play safely and happily while ensuring their participation as equal subjects.

      • KCI등재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권미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2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tivities by using the picture book related to the disabilities on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180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ho are in the kindergarten. They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with 90 children in each group. The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 related to disabilities were conducted 12 times for 6 weeks, about 30 minutes each. The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children's disabilities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ies by using the picture book related to the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sability awareness of young children. 2) the activities by using the picture book related to the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attitudes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 5, 6세 비장애유아 180명을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을 12주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장애에 대한 그림책을 교실에 배치하여 자유롭게 읽도록 하였다.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를알아보기 위해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검사를 그림책 활용교육 적용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에 참여한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장애유아에 대한비장애유아의 효과적인 사회적 통합을 위한 현장적용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장애유아 문제행동관련 수업사례활동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권미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1

        이 연구는 장애유아 문제행동 관련 수업사례활동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N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2학기 교과목으로 개설된 ‘장애유아 행동관리 및 행동수정’ 강좌를 수강하는 2, 3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교수효능감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실시하여 그 변화를 양적으로 분석하였고, 장애유아 문제행동 관련 수업사례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수업사례활동의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사례활동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저널을 통해서도 수업사례활동 전보다 후에 긍정적인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다양한 문제행동의 사례를 통해 현장에서 장애유아가 보이는 문제행동을 알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예비유아특수교사 교육에서 수업사례활동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