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논쟁문제 인식에 관한 연구

        구정화(Jeonghwa K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관심에 기초하여 사회과 논쟁문제 주제를 유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러한 유형에 따라 논쟁문제 관심도와 토론수업의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교 4, 6학년 학생 1,1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보이는 관심을 고려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논쟁문제 주제를 분류한 결과‘초등학생이 가까이 접하기 어려운 문제’와‘초등학생이 가까이 접하기 쉬운 문제’두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접하기 어려운 문제’에 비하여‘접하기 쉬운 문제’에서 초등학생들의 관심도나 심각성, 중요도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접하기 쉬운 문제’에 속하는 논쟁문제 관심도와 토론수업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변인은‘논쟁문제수업 참여의지’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논쟁문제에 대한 일상적 관심’으로 나타났으며 둘다 정적인 베타값을 보였다. 넷째, ‘접하기 어려운 문제’에 속하는 논쟁문제 관심도와 토론수업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변인은‘논쟁문제에 대한 일상적 관심’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논쟁문제수업에서의 토론참여’이며 둘 다 정적인 베타값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친‘성별’에서는 부적인 베타값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statistically analyze a model for the awareness of controversial issues of elementary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s 1,115 4th and 6th grad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rd findings of special interest emerged. First, there are the 2 types of controversial issues, one type is ‘controversial issues that close to every day life’, the other type is ‘controversial issues that far from every day life’. Second, ‘students’ everyday life interest in controversial issue’ and ‘students’ participation in issuecentered instruction’had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awareness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close to every day life’. Finally, ‘students’ participation in issue-centered instruction’, ‘students’ everyday life interest in controversial issue’, and ‘sex’ had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awareness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far from every day life’.

      • 초등 <슬기로운 생활> 및 3, 4학년 <사회> 교과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구정화(Jeonghwa Koo),문혜숙(Hyesook Moo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components of the ‘wise life’ textbooks and third- and four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scri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 effort to find out the way of dealing with multiculture in the textbooks. It's basically meant to give some suggestions on the descrip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on multiculture. A content analysis of the first- and second-grade ‘wise life’ textbooks and third- and four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was made to serve the purpose.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revised ‘wise life’ textbooks and third- and four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prepared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general. Specifically, the textbooks gave weight to pluralism and diversity to teach students to be aware of and value different races, cultures and lifestyles and take an ideal attitude to cultural diversity. The textbooks provided accurate information in multicultural groups in our country and dealt with social justice in large part. But the textbooks still contained the kinds of statements and photographs that were Korean-race-centered, which was a phenomenon that was found in the seventh textbooks as well. Besides, there were some statements in the textbooks that might result in making students have a mis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groups, which indicated that the textbooks didn't absolutely seek after multiculturalism. It's feared that the fact the national curriculum didn't offer exact guidelines on the standard and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likely to lead to a lack of consistency in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following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state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on multiculture: The opinions and positions of a minor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textbooks are develop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overed in a coherent manner. And multicultural components should be included in a wide variety of texts, activities and inquiry activities by utilizing non-letter materials and actual cases. In additio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deal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Now that revised textbooks have been published, some of the revised textbooks were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 textbooks were prepared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So more researches should be implemen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ays of actualizing multiculturalism. Given the importance of textbooks,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publish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are consistently based on multiculturalism irrespective of grade. 이 연구는 2007년 이후 개정된 초등학교의 <슬기로운 생활>의 사회관련 내용 부분 및 3, 4학년의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다문화 내용요소 및 다문화교육 기술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의 틀은 조영달 외(2009)에서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문화주의 관점을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체 7차 교육과정 시기의 교과서에 비해 다문화 관점이 더 많이 반영되어 나타난다. 둘째, 다문화 교육의 내용에서 정의적인 측면의 내용이 다수 나타나고 있어서 지식 이외 태도측면의 다문화주의 수용을 강조한다. 셋째, 다문화 주의 관점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다문화집단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다문화 집단을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 등과 같이 다문화 집단을 대상화하는 기술을 주로 보이고 있어서 문제가 된다.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 혐오표현 관련 교육에 대한 시론

        구정화 ( Koo Jeonghw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3

        이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혐오표현 관련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혐오표현은 사회적 소수자를 대상으로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는 것이다. 혐오표현 관련 교육을 사회과교육에서 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혐오표현은 그 원인이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발생하고, 다른 시민의 삶을 부정하는 행위이다. 둘째, 한국사회의 인종 및 문화 다양성 증가를 고려할 때, 학생들이 혐오표현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셋째, 혐오표현의 특성상 해당 사례에 대한 이해나 해결 방안 도출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사회과교육에서 혐오교육을 할 경우에 특정가치 지향이나 객관적 지식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정할 것이 아니라 이 둘을 같이 고려한 쟁점 형태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 쟁점 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것’은 혐오표현인가?’이다. 이 주제는 혐오표현을 아는 것에 초점을 둔 것이 아니라 혐오표현의 발생원인, 특징, 해결방안의 필요성 등을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혐오표현을 법적으로 제재해야 하는가?’이다. 셋째, ‘혐오표현을 줄이기 위해 어떤 시민적 노력이 필요한가’이다. 이 두 주제는 모두 혐오표현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게 하는 것이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related to hate speech in social studies, and propose the content of education based on it. The hate speech is the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toward minorities. The reasons why we should provide the education related to hate speech in social studie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hate speeches occur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and are associated with civil life. Second, student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hate speech in the sense that racial and cultural diversity of Korean society is increasing. Third, considering the conceptual nature, case understanding, and solution elicitation of the hate speech should be derived based on social consensus. In this regard, three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hate speech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s ‘this’ a hate speech? This topic is about identifying the cause, characteristics, and the need for solutions of hate speech. Second, should hate speech be regulated by law? Third, should civil efforts be made to reduce hate speech? Both of these topics lead to finding solutions to hate speech.

      • KCI등재

        사회과 쟁점 토론수업에서 금기주제 수용성 연구

        구정화(Jeonghwa K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1

        이 연구는 예비 초등학교 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금기주제를 사회과 쟁점수업의 내용으로서 수용하는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G교육대학교 1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8개의 금기주제별 사회교과 및 사회문화 측면의 수용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주제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수용성의 평균값은 중앙값인 2.5 이상으로 나타나서 긍정적인 수용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쟁점토론수업 주제로서 수용성이 높은 금기주제 영역은‘경제’, ‘가족과효’영역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수용성을 보인 영역은‘성과 결혼’, ‘학교와 교육’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기존 연구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 모습이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의 금기주제 수용성을 사회교과 측면과 사회문화 측면에서 비교하면 사회문화 측면에서의 수용성이 조금 더 높았다. 넷째, 1학년과 3학년을 비교하면 학년이 증가할수록 사회문화 측면에서의 수용성은 약간 증가하지만 사회교과 측면의 수용성은 약간 감소한다. 다섯째, 예비 초등교사가 금기주제를 쟁점 토론수업의 주제로 수용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개인의 정치적 성향과 성별 변인이며 진보적일수록 여학생일수록 수용성이 더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학년 변인은 수용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금기주제의 쟁점 토론수업 수용성에는 교육대학교의 사회과교육 등의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on pre-service teachers’ acceptance for the controversial taboo topic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sing the data from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s 605 first and third year students of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fth findings of special interest emerged as in the following. First, pre-service teachers’ acceptance for the controversial taboo topic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affirmative. Second, pre-service teachers prefer ’economics’ and ’family and filial piety’ area to ’sex and marriage’ and ’education and school’ area in acceptance for the controversial taboo topic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ird, pre-service teachers score higher in cultural aspect than educational aspect of acceptance for the controversial taboo topic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th, acceptance of cultural aspect for the controversial taboo topic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higher in third year students than first year students, but acceptance of educational aspect for the controversial taboo topic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higher in first year students than third year students. Fifth,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 pre-service teachers’ acceptance for the controversial taboo topic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re their ’political orientation’ and ’sex’.

      • KCI등재

        다문화 시민성을 위한 초등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구정화(Jeonghwa K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1

        이 연구는 다문화 시민성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서술한 것이다. 기존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논의 없이 문화간 차이 이해에만 초점을 둔 내용구성이 한계로 지적된다. 이에 개발하는 프로그램은 전문가 조사를 통해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문화간 차이뿐만 아니라 문화 불평등의 문제와 이것의 해결 방안까지 고려한 다문화 시민성을 지향하면서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교육 관련 기존 문헌 검토, 전문가 델파이 조사, 자문 등을 실시하여 핵심목표를 설정하고 다문화 관련 지식을 개념 형태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들의 경험 사례 등을 고려하여 내용을 선택하고 초등 ‘사회’ 교과서 구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단원을 조직하였다. 이에 따라 개발된, 다문화 시민성을 지향하는 초등학생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4개 대단원, 16개의 소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소단원 중심으로 학습체계를 구성한다. 둘째, 소단원별로 ‘학습목표’, ‘ 생각열기’, ‘살펴보기’, ‘풀어보기’ 등으로 구성하여 다문화 시민성을 위한 관련 개념을 중심으로 인지영역과 더불어 가치와 기능 영역의 목표도 성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3개 학급에서 시범적용을 하여 효과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일부 내용을 수정한 후 전문가 자문을 통해 내용을 정교화하고 난 후에 최종 프로그램으로 확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me textbook for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the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discussed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from which two perspectives of cultural relativism and cultural politics are deriv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t determined the format and contents covered in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me textbook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programme textbook consists of multicutural education related concepts(ex: culture, discrimination, human rights, solidarity and so on) in contents for 5th and 6th grades.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me textbook was written easily enough for 5th or 6th graders to grasp the textbook by which the multi-culture related everyday life cases are presented.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me textboo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textbook contains 4 chapters, or 16 sections. Second, each section consists of ‘Lesson Objectives, Raising the Question, Understanding of Key Concept, Inquiry’. The developed programme revised through the testing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professional advice.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개념 관련 성취기준의 제시 유형과 개선 방안 :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구정화 ( Koo Jeonghw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표방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개념을 다루는 성취기준의 진술을 분석하여 그 유형적 특징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려는 것이다. 이론적 논의에서는 사회과에서 전통적으로 강조해왔던 학습내용인 개념의 의미, 사례의 범주화에 초점을 둔 개념학습모형, 그리고 이러한 개념학습이 갖는 한계를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일반사회 영역) 교육과정 문서에서 개념을 다루는 성취기준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성취기준 코드와 그에 따른 해당 개념을 추출하였다. ‘코드화된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의 진술 내용에서 강조하는 개념 이해의 방향을 분석하여 성취기준 제시 유형을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에 나타난 개념 이해의 방향을 바탕으로 개념을 다루는 성취기준의 제시방식은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가지 유형 중에서 ‘개념 자체의 이해’와 ‘교과역량의 학습’을 함께 강조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5가지 유형 중에서 교과역량의 학습을 특히 강조하는 개념 제시 유형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개념을 교과역량과 연관하여 학습할 수 있게 안내하는 성취기준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수정예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dealing with concepts relating to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dvoc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identify its tangible characteristics. In a theoretical discussion, the meaning of concepts as learning content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conceptual learning models focusing on categorization of examples, and the limitations of these conceptual learning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deal with concepts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 the achievement standard code and the corresponding concepts were extracted. The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understanding the concepts emphasized in the statements of 'Coded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ecautions', and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types of pres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dealing with concepts based on the direction of concept understanding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among the five type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understanding the concept itself' and 'learning of subject competency' were emphasized together. Third, among the five types, there were relatively few types of concept presentations in which subject competency particularly emphasized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for achievement standards that guide the concept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be learned in relation to subject competency, and an amendment was proposed accordingly.

      • KCI등재

        인권교육 연구학교 운영에 나타난 ‘인권교육’의 실천적 특성과 한계

        구정화(Jeonghwa K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실제로 운영되는 인권교육을 인권교육의 개념적 특징과 비교해 봄으로써, 인권교육 과정에서 드러난 인권교육의 실천적 특성과 이에 따른 한계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2008년부터 2년에 걸쳐 지원한 8개 인권교육 연구학교의 활동 결과인 연구학교 보고서를, ‘인권교육 내용 구성, 인권친화적 학교 환경, 사회적 약자에 관한 관점’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학교생활과 관련한 사례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하였지만, 생활규정 제정활동이 주를 이루어 다양한 사례 접근이 부족했다. 둘째, 인권친화적 학교 환경 구성을 위한 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학교 전체를 인권적 가치와 원리에 따라 구현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셋째, 사회적 약자를 교육하는 부분에서는‘장애인, 여성’등 전통적인 사회적 약자 집단 이외로 확장하여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이들을 보는 시각에서 온정주의적 관점 위주여서 한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es and limit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school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of research schools funded by the government,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is study carried out qualitative comparative case study mainly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on the research reports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schoo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at research schools have been constructed by living experiences at school, but it lacks a content constitution that i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living experiences. Second, research schools tried to make the human rightsfriendly school environments for human rights education, but they didn’t put emphasis on the virtu and principle of human rights at school all over. Third, human rights education at research schools remarked on minority group a paternalism.

      • KCI등재

        초등학생의 NIE 학습유형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련성

        구정화(Jeonghwa, K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의 NIE 학습유형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의 초등학교 6학년을 53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하여 이들의 NIE 학습유형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파악하고 NIE 학습유형을 구분하여 이에 따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 NIE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에서의 NIE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유의미성은 없었다. 셋째, 가정에서의 NIE 학습유형은 ‘평가, 논술, 쓰기’ 등의 사고력을 강조한 활동을 한 집단이 ‘읽고 이해하기’ 등의 이해력을 강조한 활동을 한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 논술, 사고력’을 NIE의 목적으로 인식한 집단이 ‘사회현상의 이해’를 NIE의 목적으로 인식한 집단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on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style of NIE(Newspapers in Education)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s 539 sixth graders in capital a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rd findings of special interest emerg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higher in the reader the newspapers than those who are not in their hom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higher in the reader the newspapers than those who are not in their classro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higher in thinking activity group than reading activity group in NIE.

      • 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 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구정화(Jeonghwa Ko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공모에 의해 이루어진 2009학년도 경인교육대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의 운영에 대하여 기술하고, 이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에서는 2009학년도 1, 2학기에 경인교육대학교에서 개설한 '다문화교육의 이해'의 교육내용 구성과 운영에 대하여 서술하고, 이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및 사후조사, 서술형 조사 등을 활용하여 이들이 학습한 것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자신의 문화 정체성 확인과 문화적 편견에 대한 고백이 요구되는데, 강좌의 운영에서 이 부분에 대한 내용 설정에서 부족한 점이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우 사전 사후조사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서 향후 다문화교육 운영에서 다문화가정과 사회에 대한 능동적인 인식을 강조할 수 있는 수업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한 사전-사후조사 결과를 보면 강좌에 참여한 결과로서 수업 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은 약한 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한 학생들의 주관적 서술을 보면 전반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서는 상당한 변화가 감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practi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teacher train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teacher training(University of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2009 and was the government-funded program.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er was carried out practice observation and gathered the documents about the cours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data of attendances at the '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nt itself to the con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ttendances. Seco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not provided direction tru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prejudice of attendances.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need to underline the understanding of minority group for attendances.

      • KCI등재

        일상의 인권경험이 초등학생의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

        구정화 ( Jeonghwa K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일상적 인권경험이 그들의 인권인식(인권판단력, 자신이 인권존중을 받는 정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14 한국아동ㆍ청소년 인권실태조사’자료 중에서 초등학생 자료만을 2차 자료로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권판단력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인권경험 중에서 영향력이 큰 변인은 학교나 가정에서 표현의 자유를 인정받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일상적 인권경험이 인권친화적인 경우나 인권 침해적인 경우 모두에서 인권판단력에 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 자신이 인권존중을 받는 정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인권경험 중에서 영향력이 큰 변인은 가정에서 아동참여 인정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 자신이 우리 사회에서 인권존중을 받는 정도 인식에 인권 친화적인 일상경험은 정적인 영향력을, 인권 침해적인 경우에는 부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고려할 때 가정에서 아동참여나 표현의 자유를 누리는 경험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부모 교육을 통해 이를 지향하는 양육태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권 침해적인 일상 사례 이외 인권 친화적인 일상경험도 교육 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이 학교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인권 친화적 학교 문화를 운영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of students`` everyday experience related human rights affecting on human rights awareness(ability for judgement of human rights, respect for human rights of students) of primary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survey of NYPI(2014 year),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relevant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ple regression models show that experience related freedom of expression in school, experience related freedom of expression in family, victimization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verbal attack from their parents, and self-determination experience in famil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abil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for judgement of human rights. Seco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show that self-determination experience in family, experience related freedom of expression in social lif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from their seniors and juniors, experience related freedom of expression in school, and physical violence from their teache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awareness on respect for human rights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mselves in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