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소매유통 업태의 구조변화에 따른 월마트효과 분석

        구자성 ( Ja Seong Ku ),조중환 ( Joong Hwan Ch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3

        유통환경 변화는 유통서비스 개방이후 기업형 유통업체의 대형화 및 과점화 등 구조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 중 대형마트 성장이 물가안정에 직접적으로 이바지 하고 타업태와의 경쟁을 통하여 물가 전체를 안정화 시키는 이른 바 월마트 효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월마트효 과에 대하여 연구한 자료들을 살펴보면 일부품목에서 월마트로 인한 가격 인하 효과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낸 선행연구가 존재한다. 그러나 세계 최대 유통기업인 월마트 효과를 분석하는데 주력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월마트 진입이 경제적·사회적으로 발생시키고 있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는 것으로 연구 되었다. 구조적 변화를 통한 월마트효과에 대하여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며 이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에서 도 잘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대형마트 성장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이용된 자료의 기간과 연구방법에 의하여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도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월마트 효과 즉, 대형마트 성장에 따른 소매유통업태의 구조변화와 그에 따르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대형마트 성장에 따르는 유통산업 발전방안의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월마트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임에 따라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하여 대형마트 성장에 따른 거시경제학적 요소인 물가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자료와 인터넷 그리고 통계청 자료, 한국은행 자료를 통해 연구 주제에 맞는 자료를 수집하고 기존의 문헌을 통하여 선행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Excel 2005’를 이용하여 가공 및 정리하고 통계 프로그램 ‘SPSS 15.0’, ‘EViews 5.0``, 을 이용하여 시계열자료의 안정성 검정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가설은 ‘대형마트 성장은 소비자물가지수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한 시계열 분석을 채택하였으며 가설을 검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슈퍼마켓과 전문상품소매점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 하락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마트확산으로 인한 슈퍼마켓과 전문상품소매점의 가격경쟁력 확대로 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마트 성장이 소비자물가를 안정화 시킨다는 직접적인 월마트 효과는 한국에서 부분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을 증가시키는 반대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형마트 성장의 영향으로 인하여 슈퍼마켓과 전문상품소매점판매액 계절조정지수 증가율은 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을 부분적으로 하락시킴에 따라 간접적인 월마트 효과가 나타났다. 대형마트 성장을 통한 소비자물가지수의 안정이라는 월마트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경영합리화를 통한 대형마트에서의 판매가격 인하와 그로 인한 타 소매업태로의 파급효과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의하여 도출된 시사점 및 정책적 발전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대형마트에서는 지역 생산물을 우선적으로 구매하고 구매비중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대형마트는 경영합리화를 통한 소비자물가 안정화를 꾀하여야 한다. 셋째, 대형마트는 중·소 유통업체와 파트너십을 강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계열 자료의 한계와 대리변수 선택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각 유통업태가 소비자 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보다 폭 넓게 분석되어질 필요 가 있다. Change in distribution environment has brought about many structural changes such as extension and monopoly of corporate distribution businesses after the opening of distribution.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effect of discount stores`` growth on consumer prices through the structural changes, fortunately which are well shown in the preceding studies. Discount stores growth of these structural changes has emerged early and contribute directly to price stability through competition with other Category stabilizing inflation entire Wal-Mart effect. Previous studies look at the effects of Wal-Mart due to price drops in the presence of some items that uncovered the presence of the materials studied the effects of Wal-Mart. , However, focused on the world``s largest distribution company, to analyze the effects of Wal-Mart Wal-Mart entry that is causing the negative economic, social, according to results of a study side view of that study was Divide opinion through structural changes in the Wal-Mart effect, which is well in domestic and overseas study are shown. Thus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se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empirically prices the growth of discount stores`` ripple effect on national economy, that is, direct/indirect impact on prices, to draw out implications and to suggest policy plans according to that. In addition, I carried out this research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istribution industry, it examines Wal-mart effect, that is, the growth of discount stores on economy and society. This study to test the effects of Wal-Mart has grown to large supermarkets and hypermarkets to target growth in inflation, which is based on macro-economic study is Therefore, this research literature on the internet and Census Bureau, through the Bank of Korea data for research topics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previous studies were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a set of hypotheses to test the hypothesis, and data were collected. The data collected statistics program ``Excel 2005`` by the statistical processing and clean-up program ``SPSS 15.0``, ``EViews 5.0``, using the time series data and analysis of the stability test was carried out. The growth of large retail stores in Wal-Mart effect on prices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a proper analysis of time series analysis methods are judged. For this reason, time series analysis of the methods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time-series data by test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Hypothesis is that ‘discount store growth affects consumer prices index.’ As a result of the test of hypotheses, Wal-mart effect that discount store growth affects consumer prices has the increase effect of consumers prices index partially.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seasonal adjustment index of the amount of sale of supermarket and special goods retailers partially drops the consumer prices index. As a result of indirect effect analysis, the effect of seasonal adjustment index of discount store sale amount on consumer prices index turned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xamine implications and plans for policy development drawn out by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discount stores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seeking for plans to purchase preferentially local products increase the weight of purchase; second, discount stores should attempt to stabilize consumer prices through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third, they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the total employment rate deliberating plans to treat preferentially graduates from colleges in the areas with store; and fourth, discount stores should expand partnership with middle and small distribution firms. This means that establishment of a policy through which the positive effects of Wal-mart which plans to stabilize consumer prices index continue to appear in Korea is necessary. There are limitations of time series data and proxy variable selec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is study.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analyze more broadly the effects of each type of distribution business on consumer prices index

      • KCI등재

        유통업체 브랜드(PB)와 제조업체 브랜드(NB) 상품의 속성별 소비자 선호 분석

        황성혁(Seong-hyuk Hwang),구자성(Ja-seong Ku) 한국유통학회 2008 流通硏究 Vol.13 No.4

        현재 유통업체 매장에 출시된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이와 경쟁하는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 사이에서 소비자 선택은 무엇이며 이런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제품의 속성이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이와 경쟁하는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 사이에서 이를 선택하려는 소비자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제품의 속성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브랜드 차이에 따른 소비자 선호가 실제로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상품 구매 시 상품의 어떤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실제 소비자가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브랜드의 차이를 가지고 구매 행위를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제품의 속성은 품질이었으며 브랜드(유통업체 브랜드 대 제조업체 브랜드)에 대한 속성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국내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 시 브랜드(유통업체 브랜드 대 제조업체 브랜드)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은 유통업체 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의 제품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아직까지 소비자가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때 유통업체 브랜드를 제조업체 브랜드와 함께 고려 상표군(Consideration Brand Set)으로 아직까지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의 선호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마케팅 노력과 차별화된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 of a product which has the most influence when consumer makes a purchase, and analyze if actual consumers make a purchase with recognition of the brand difference between PB and NB brands using conjoint analysis. As a result, the main factor which consumers consider when they purchase a product is the quality but the facotr for brands (NB or PB) do not have an effect on their purchasing. The reason why consumers little consider a factor for PB or NB is that they do not have much knowledge of PB and they recognize the PB as a "me-too" product of NB. Therefore, retailers should develop more differentiated product in order to be recognized by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