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회복을 이끄는 목회: 우리들교회를 중심으로

        구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8

        본 연구는 인성 파괴가 만연한 21세기 상황에서 성경적 인성회복을 가져오는 지역교회의 목회적 요소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인성회복의 중요성을 공감하면서도 인성회복은 주로 교육학 분야에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졌고 신학계도 이 경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성경적 인성회복은 단순한 도덕성 회복이 아니라 믿음으로 거듭난 인간이 예수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까지 자라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성품과 삶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성회복은 보통 지, 정, 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즉, 지적인 측면에서는 가치관 변화를, 정서적 측면에서는 상처의 치유와 사랑을 경험하며, 의지적 측면에서는 행동의 변화를 수반한다. 연구자는 성도들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빈번하게 목격되는 우리들교회를 사례로 연구하여, 크게 다섯 가지의 핵심요소를 발견하였다. 우리들교회에서 발견된 인성회복을 촉진시키는 요소들은 반기복적 메시지, 사랑과 나눔의 목장(소그룹), 공개적인 죄고백, 양육훈련, 치리(권징)이다.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반기복적 메시지는 성도들의 가치관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목장은 식탁공동체로써 사랑과 섬김을 경험하고 전수받는 장이자, 단순한 나눔을 넘어 처방과 직면을 통해 객관적으로 자신을 보도록 돕는다. 양육훈련은 큐티의 생활화와 더불어 자기의 죄를 성찰하도록 도움으로써 목장공동체와 더불어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고 죄를 회개하도록 돕는다. 공개적인 죄고백은 우리들교회의 독특한 문화로 자리 잡아 성도들을 더 깊은 회개로 인도하는 역할과 간증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구원으로 인도하는 양면적인 역할을 한다. 다만, 신중한 적용이 요구되며, 담임목사가 먼저 모범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치리(권징) 또한 대부분의 교회에서 볼 수 없는 것으로 성도들을 개인적으로, 교회적으로 거룩성을 유지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가정중수의 비전과 강조, 공감과 경청, 피드백의 문화가 어우러져 인성회복을 촉진시킨다. 한 가지 기억해야 할 사실은 이러한 요소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서로 협력하면서 인성회복을 촉진시킨다는 점이다. 우리들교회가 인성회복을 가져오는 목회의 완전한 모델은 아니지만, 각 교회의 상황에 맞는 창조적인 적용을 시도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character restoration in church ministry in the 21st-century context that character distortion prevails. Even though people in all parts of the societ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aracter restoration, it has been studied mostly in the education field and even by Christian scholars. Biblical character restoration is not just for recovery of morality but the restoration of God’s image and the changes of human character and life as a result of born again in Christ. Biblical character restoration can be examined in three areas such as intellect, emotion and volition. In other words, character restoration shows that people experience the change of values in intellect, love and healing of wounds in emotion, and change of behaviors in vol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s the methodology of the case study focusing on Wooridle Church in Korea, which we can evidently see the transformation of church members. Based on the case study, the researcher found five distinctive factors such as anti-prosperity message, Words and life sharing mokjang (small group), public confession, discipleship training focusing on QT and self-examination, and discipline. Anti-prosperity message, which rejects prosperity gospel and focuses on bearing the cross, makes congregation change their worldview and values. As a place that provides love and service, mokjangs, which are small groups, help members see themselves objectively and often provide feedback as well. While focusing on QT training, Discipleship training also helps congregation confront their sinful nature and sins.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Wooridle Church, public confession makes church members and visitors step into deeper repentance and experience salvation. However, it needs caution and sensitivity in the application in order to avoid side-effects. It is also important that senior pastor practices first in front of the congregation so that they can see the example to follow. Lastly, discipline, which cannot be seen in other churches in modern times, makes the church and its members keep the holiness. According to the case study, they do not work separately but function cooperatively and harmoniously. Wooridle Church is not perfect at all, but it is still valuable in providing lots of insights in relation to character restoration under circumstances that the Korean church is losing credit and power of transformation.

      • KCI등재

        공동체를 통한 전도 : 역사적 · 현대적 사례 연구

        구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21세기 한국교회의 위기는 전도의 위기라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작 교회가 우선순위에 두어야 할 것은 새로운 전도방법을 모색하기 보다는 공동체성의 회복이다. 회심이 과정이고, 진실한 코이노니아가 있는 곳에 효율적인 전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역사적, 현대적 사례들(패트릭의 수도원 공동체를 통한 켈트족 전도, 웨슬리의 소그룹을 통한 전도, 우리들교회의 목장을 중심으로 한 전도) 연구를 통해 공동체를 통한 전도를 살펴보고, 주요한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패트릭은 수도원 공동체를 통해 켈트족을 효과적으로 전도하였고, 웨슬리의 메서디즘과 우리들교회는 소그룹을 통해 많은 전도의 열매를 거두었다. 전도와 관련하여 세 사례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공동체가 전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과 불신자들이 공동체를 먼저 경험하고 나중에 믿음을 받아들이는 즉 소속이 믿음보다 먼저 온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들의 연구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적용점은 교회는 말씀을 중심으로 나눔과 교제가 활성화된 역동적 소그룹을 제공하여야 하며; 가르치기 보다는 섬기고 모범을 보이는 소그룹 리더를 세우는 양육 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제공하는 가정에서 식사와 함께 모임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고; 남성의 참여를 진작시키기 위해 부부모임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양육은 소그룹을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지식전달 보다는 삶의 변화를 추구하는 양육이 되어야 하고, 담임목사의 설교도 말씀을 어떻게 삶에 적용할 수 있는지 적용이 강조된 설교가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발견하게 되는 것은 전도가 방법론(doing) 보다는 삶 자체(being)의 문제이며, 공동체성 회복의 문제라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공동체성 회복을 위해서는 소그룹(교제), 양육, 설교(예배)가 전도와 함께 상호 유기적이고 지지적인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21st century is the crisis of evangelism. Churches should more focus on the restoration of communality rather than seeking to a new way of evangelism. Since conversion is process, effective evangelism is possible where the genuine koinonia exists. This paper dealt with historical and modern cases of the evangelism through communities such as St. Patrick's Celtic monastic community, Wesley's class meeting, and Wooridle church's mokjang. In common, those three cases proves that communities in the church particularly small groups played a crucial role in evangelism; after experiencing Christian communities non-Christians become Christians like "belonging comes before believ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those three cases I found implications that the church ought to provide dynamic small groups having active sharing and fellowship based on the word of God; the church should have discipleship training system that produces serving small group leaders who shows exemplary lives rather than intellectual and skillful to teach; meeting at home providing informal setting with the meal are more effective; having couples together in small groups is beneficial to stimulate men's participation. Discipleship training system should promote small groups and pursue life-changing instead of delivering knowledge; in sermon, sermons emphasizing applications in how to apply the word of God into our daily lives are effective. Even though this study provides many implications, evangelism is about changed life (being) through the restore of communality of the church rather than about methodology (doing). In specific, for the restore of communality small groups, discipleship training systems, and sermons should have organic and inter-suppor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 KCI등재

        2030세대의 문화와 복음전도

        구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이들의 교회 이탈이 가속화되고 급속히 탈종교화되는 상황 속에서 2030세대 전도를 위한 그들의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고 전도를 위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과 함께 질적 연구방법으로 청년들을 대상으 로 사역하는 선교단체 간사 및 지역교회 목회자 총 여섯 명을 심층 면접하였다. 2030세대의 문화적 특징은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권위주의와 수직적 인 소통방식을 거부한다. 둘째, 청년들은 공정을 열망한다. 셋째, 정신적, 정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살아간다. 넷째, 태생부터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로서 새로운 삶의 방식을 추구한다. 다섯째, 가치를 추구한다. 또한 2030세대 전도를 위해서는 올바른 전도의 이해가 중요한데, 전도는 단번에 이루 어지는 사건의 성격보다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고, 단순한 복음설 명이나 영접기도로 이해하기보다는 제자삼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2030세대의 전도를 위한 일곱 가지 통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권위적/수직적인 소통을 지양하면서 다양한 접촉점을 제공해야 한다. 둘 째, 환대의 소그룹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예수님의 전도 전략을 모방해야 한다. 넷째, 전도의 목표가 단순히 한 사람의 회심이 아닌 제자 삼는 것이어야 한다. 다섯째, 기다 려주고 경청해야 한다. 여섯째, 2030세대를 위한 미디어전도는 창의적인 접근과 지속 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창의적인 접근을 위해서는 젊은이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2030세대 전도를 위해서는 팀 켈러의 복음 메시지에 주목 할 필요가 있다. 팀 켈러가 강조하는 복음 메시지의 특징은 첫째, ‘율법주의’와 ‘율법 폐기주의’의 양극단을 피하고, 둘째, 성경을 읽을 때 내가 할 일이 아닌 예수가 하신 일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셋째, 복음을 ‘창조-타락-구속-회복’까지 총체적으로 이 해하고, 구속의 목적이 세상을 탈출하는 것이 아니라 회복을 열망하며 세상을 새롭게 (renewal) 하는데 헌신하는 것임을 기억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2030 generation and provide insights and directions for the 2030 generation evangelism, considering the accelerating disaffiliation from churches and rapid de-religiousization. In terms of methodology, with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by interviewing six experts who are campus ministry staff and local church ministers working with the 2030 generation. In relation to evangelism,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2030 generation can be summarized in five aspects. First, they reject authoritarianism and vertical communication styles. Second, they desire fairness and justice. Third, they are suffering many ment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ir lives. Fourth, since they are 'Digital Natives,' familiar with the digital world from birth, they pursue new ways of living. Fifth, they pursue value and meaning in their lives. Also,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evangelism is crucial. Evangelism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one-time event but as a process, involving a series of steps. It is necessary to perceive evangelism as a comprehensive endeavor beyond mere gospel presentation or conversion, encompassing making discipl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seven insights for evangelism among the 2030 generation have been identified. First, local churches should avoid authoritarian and vertical communication and provide various contact points. Second, local churches should provide hospitable and safe small groups. Third, we should follow Jesus' evangelism strategies that share life through living together and demonstration or modeling. Fourth, the goal of evangelism should go beyond mere conversion to making disciples. Fifth, patience and active listening are essential. Sixth, media evangelism for the 2030 generation requires creative approaches and ongoing research. It is better to give ownership to the 2030 generation for creative approaches. Lastly,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gospel message emphasized by Tim Keller. According to Keller, the gospel message should be characterized and emphasized, first, avoiding the extremes of legalism and antinomianism, second, focusing on Jesus' work rather than our own in the gospel, third, understanding the gospel holistically from creation, fall, redemption, to restoration, and dedicating oneself to the renewal of the world rather than escaping from it.

      • KCI등재

        건강한 교회개척을 위한 분립개척 연구 : 선한목자교회, 함께하는교회, 제자들교회를 중심으로

        구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한국교회에 필요한 교회개척 방법은 개교회의 성장보다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초 점을 둔 분립개척이 효과적이면서도 바람직하다. 분립개척이란 첫째는 재정지원뿐 아 니라 성도들을 보내 교회개척에 참여하도록 하고. 둘째, 분립개척 후에는 모교회로부 터 완전히 독립된 교회로서 자율성을 갖으며, 셋째, 모교회가 개척 목회자를 선발하여 파송하는 것을 말한다. 분립개척은 하나님 나라와 선교적 교회에 신학적 근거를 두고 있다.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 지역교회는 대형교회의 우상을 버리고 하나 님 나라의 성장을 추구하는 분립개척에 참여하게 된다. 선교적 교회로의 정체성 인식 은 세상에 보냄받은 유기체로서 성육신적으로 희생을 감수하며 교회를 낳는 교회로 나아가도록 한다. 본 연구는 선한목자교회, 제자들교회, 그리고 선한목자교회에서 분 립개척한 함께하는교회를 사례연구하였다. 선한목자교회는 대형교회의 사례로, 제자들 교회는 중소형교회의 사례로 선택하였으며, 함께하는교회는 분립개척된 교회의 사례를 보여준다.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은. 첫째, 효과적인 분립개척을 위해선 방법론보 다 모교회 담임목사의 목회철학과 목회 시스템의 공유가 중요하고, 둘째, 분립개척은 하나님 나라와 선교적 교회의 신학과 실천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셋째, 인력과 재정 지원 규모, 예배당의 입지 같은 외부적 요인이 좋은 결과를 보장하진 못한다는 것이 다. 또한, 작게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사역과 예배당을 확대해가는 것이 안정적 성장에 도움이 되고, 다섯째, 성도 파송과 재정지원 방법은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여섯째, 분립개척은 수동적인 성도가 능동적인 제자로 성장하는데 효과적인 방편이 될 수 있 고, 일곱째, 교회 분립개척이 불신자 전도로 직결되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불신자 전도와 관련해서는 더 많은 데이터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needed church planting method in Korean churches is a hiving off focusing on expanding the Kingdom of God rather than the church growth. This study defines hiving off with three conditions. First, a mother church not only financially supports but also sends members; Second, after hiving off, a new church has autonomy as a completely independent church; and third, it refers to the case of the mother church selecting and sending a planting pastor. Hiving off church planting is based on theological basis in the Kingdom of God and the missional church. When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gdom of God, local churches abandon the idol of megachurches and participate in the hiving off and the growth of the Kingdom of God. The recognition of self-identity as a missional church is an organism sent to the world, and it leads to a church that produces a church at the expense of incarnational sacrifice. This case study selected the Good Shepherd Church as an example of a large church, the Disciples' Church as an example of a small and medium-sized church, and the Church With You as an example of a planted church. This study researched Good Shepherd Church, Disciples Church, and Church With You. The seven insights gained from the study. First, learning the pastor's ministry philosophy and its system is more important than the methodology; second, the hiving off should be based on the theology and practice of the Kingdom of God and missional church. Third, external factors like membership size, financial support, and church location do not guarantee good results. Fourth, starting small and gradually expanding the ministry is helpful for stable growth. Fifth, various approaches are possible regarding sending members and financial support. Sixth, passive saints can grow into active disciples through hiving off church planting. Seventh, the hiving off is not directly linked to evangelism. More data and researches are needed regarding evangelism through hiving off.

      • KCI등재

        다문화 사회를 향한 한국교회의 대응방안 연구 : 이정용의 주변성 신학을 중심으로

        구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로의 급속한 이행에 따른 다양한 문제와 기회 속에 서 다문화 사역의 신학적 토대로서 이정용이 제안한 주변성 신학을 살펴보고, 한국교 회의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급속한 이주민의 유입으로 다문화사회의 문턱에 있지만 정부나 공립학교에 비해 한국교회는 아직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성도들의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여전히 낮고 배타 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효과적이면서 적절한 사역을 위해서는 올바른 신학적 관점을 필요로 하는데, 이정용의 주변성 신학을 꼽을 수 있다. 그동안 다문화 사역에 있어서는 미로슬라브 볼프의 배제와 포용의 신학이나 용광로(melting pot)이론 같은 서구의 이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서구의 이론들은 타문화처럼 생경하게 받아들여진 면이 없지 않다. 반면, 한국인이지만 미국의 이민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정용 의 주변성 신학은 한국인이라는 친근함과 더불어 그리스도인의 성경적 정체성을 토대 로 하고 있어서 그 깊이와 내용에 있어서 다문화사역의 신학적 토대로 활용하기에 충 분하다. 예수 그리스도는 탄생과 삶, 사역에 있어서 주변성의 극치를 보여주며, 최고의 주변인으로 세리, 여성, 이방인 같은 주변인들의 친구가 되었다. 이러한 주변성은 개인적 차원과 공동체적 차원에서 탈중심화, 주변화를 통해 회복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다문화사회 속에서 한국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한국 교회와 성도들의 주변성을 극대화하고 거시적/교단적 차원과 교회 공동체적 차원의 대응방안 실천이 필요하다. 거시적/교단적 차원에서는 첫째, 이주민 포용을 위한 제도 를 마련하고 정비해야 하며, 둘째, 교단적 차원에서 목회자, 신학생 등에게 다문화교 육을 제공해야하고, 셋째, 초교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협력하여 필요한 자료를 제 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회 공동체적인 차원에서는 첫째, 성도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 설교와 성경공부를 비롯한 다양한 다문화교육을 제공하고, 둘째, 다문화 역량 (cross-cultural competency)과 문화지수(cultural intelligence)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을 제공하며, 셋째, 더 나아가 이주민 사역자와 이주민 평신도 리더를 발굴하고 지속 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응을 통해 한국교회는 21세기 다문화사회 속에서 선교적 사명을 감당하고 한국사회의 문화적 흐름을 주도하는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logy of marginality proposed by Jung Young Lee as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multicultural ministry and to suggest appropriate countermeasures for the Korean church. Although it is on the threshold of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rapid influx of migrants, the Korean church has not effectively respond to the change compared to the government and public schools. In particular, the receptivity of multiculturalism among Korean church members still remains low and exclusiv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to be effective and appropriate in ministry, the right theological perspective is needed. The theology of marginality by Lee Jung Young can be a good option. As non-westerners, Jung-Young Lee's theology of marginality based on his experience as an immigrant is persuasive and sufficient to use as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multicultural ministry. Jesus Christ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marginality in birth, life, and ministry, and became friends with marginal people around him, such as tax collectors, women, and strangers. This marginality can be restored through decentralization and marginalization at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macroscopic/denominational and church community-level countermeasures in order to maximize the marginality of Korean churches and congregant and to fulfill the missionary mandate of Korean churches in multicultural society. In macroscopic/ denominational dimensions, first, it is to prepare and improve a system for embracing migrants, second,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astors and seminarians to cultivate multicultural mindset, and third, to establish and cooperate with the interdenominational network and to provide necessary sources. In local church level, first, it provides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ing sermons and Bible studie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believers, second, it provides programs for strengthening the cross-cultural competency and cultural intelligence, and third, it finds out ministers and lay leaders among migrants. Through these responses, the Korean church will be able to take on missionary mandate in the 21st century multicultural society and demonstrate leadership that leads the cultural flow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인교회를 위한 모델로서의 다문화교회

        구병옥(Byoung Ok Ko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4 No.-

        이 연구는 어떻게 미국내 한인교회들이 타문화(타민족/타인종) 사람들을 전도하고 교회공동체 안에서 하나가 될 것인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미국은 다문화사회로 탈바꿈하였으며 기독교가 지속적으로 쇠퇴하고 있다. 이러 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 한인교회는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선교적 부르심 에 응답해야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내 한인교회가 어떻게 다문화교회로 전환할 것인가와 다문화교회와 타민족 전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문헌연구와 더불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세 개의 “한인 주도(Korean-initiated) 다문화교회들”?Covenant Fellowship Church in Urbana-Champain, IL, Lakeview Church in Chicago, IL, Renewal Presbyterian Church in Philadelphia, PA?과 한 개의 화란인 주 도(Dutch-initiated) 다문화교회?Madison Square Church in Grand Rapids, MI?를 2012년 탐방하고 직접 및 참여적 관찰, 인터뷰, 문서 및 인터넷 자 료 등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회로의 전환에 있어서 중요한 세 가지를 보여준다. 첫째, 1세대 한인 담임목사의 차세대를 위한 비전과 지원이 다문화교회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다. 둘째, 다문화목회에 유리한 담임목사의 특징으로는 주일설교를 타문화 목사와 공유하는 것과 담임목사 자신 이 다문화 가족배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셋째, 다문화교회의 성도들의 연령적 및 정서적으로 젊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기서 젊음은 다 문화교회로의 지속적인 변화를 수용하고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다문화교회와 전도와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타문화 사람들의 다문화 교회 방문 및 정착 이유는 다문화적 요인보다는 설교와 소그룹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단 혼합결혼(mixed-marriage)의 경우는 다문화교회를 선호했다. 전도와 관련한 또 하나의 중요한 교훈은 의도적, 전략적으로 전도에 임해 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다문화교회가 되는 것만으로는 타문화 사람들을 전도하는 데 부족하고, 지속적으로 전도를 강조하고 다수의 전도훈련 프로 그램을 제공하며 타문화 전도대상자들이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교회로의 전환방법에 있어서는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풍차전 환 모델”(Windmill T-process)을 제안한다. 풍차전환 모델은 총 10개의 전환과정을 포함하며, 크게 기초적 전환과정과 지속적 전환과정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기초적 전환과정은 다섯 가지로 1) 전환가능성 확인, 2) 비전 수립, 3) 독립(1세 교회로부터), 4) 중립적 교회이름 갖기, 5) 교회 장소이전을 포함하여 전환초기에 필요하고 단회적으로 끝나는 과정들이다. 이는 풍 차의 몸체에 비유할 수 있다. 지속적 전환과정도 다섯 가지로 1) 이웃 섬 기기, 2) 비전 상기시키기, 3) 리더 구성의 다문화화, 4) 문화지수 훈련, 5) 다문화 찬양팀 갖추기를 포함한다. 이들은 다문화를 심화, 유지시키기 위 해 지속되어야 하는 과정들로 풍차의 중심축과 날개에 비유할 수 있다. 풍 차전환 모델은 미국의 한인교회뿐 아니라 타민족을 품기 위해 다문화교회로의 전환을 시도하는 다른 교회들과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이행하는 한국 의 교회들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적용에 있어서 미국과의 차이를 고려한 신중한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