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형 잠재성장모형 모수의 추정에 대한 오차 공분산행렬 적용의 영향력 검토

        구남욱(Namwook Koo),김현철(Hyunchul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4

        잠재성장모형과 시계열모형은 사회과학분야의 종단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두 모형은 잠재성장모형의 오차 공분산행렬에 시계열과정을 포함시킴으로써 통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자료를 분석할 때, 과연 시계열 과정이 존재하는지, 만약 존재한다면 어떤 시계열과정을 선택해야 하는지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선형 잠재성장모형의 오차 공분산행렬에 잘못된 시계열과정이 포함될 경우에 모수 추정치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오차 공분산행렬에 AR(1) 시계열과정이 포함된 잠재성장모형으로 시계열과정이 존재하지 않는 자료, MA(1) 시계열과정이 존재하는 자료, 그리고 ARMA(1,1) 시계열과정이 존재하는 자료를 분석했을 때, 모든 조건에서 모수 추정치들이 적합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종단자료에 특정한 시계열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잠재성장모형의 오차 공분산행렬에 AR(1) 시계열과정을 포함시키는 것이 모수 추정치들의 편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In the social sciences, latent growth modeling and times series analysis are popular methods for longitudinal data analysis and two methods can be combined by including a time series process in an error covariance matrix in a latent growth mod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either to detect a time series process or select a correct time series process when we fit a latent growth model to data. Thus, this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a misspecified time series process in an error covariance matrix on the estimates of parameters in linear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a latent growth model with an AR(1) error covariance matrix produced acceptable parameter estimates across all conditions when it was fitted to the three types of datasets which contained no time series process, MA(1), and ARMA(1,1) time series process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recommend an AR(1) error covariance matrix in linear latent growth modeling when it is difficult to select a correct time series process.

      • KCI등재

        선형 성장혼합모형에서 잠재집단 간의 거리와 잠재집단의 분포형태가 모수추정과 잠재집단 수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 검토

        구남욱(Namwook Koo),김현철(Hyunchul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1

        성장혼합모형으로 자료를 분석할 때, 전체 종단자료의 비정규성은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잠재집단 간의 거리는 전체 종단자료의 비정규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 모의실험연구에서는 잠재집단의 다양한 분포형태와 잠재집단 간의 거리를 함께 고려하여, 과연 이 두 요인이 성장혼합모형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잠재집단 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질수록 잠재집단의 분포형태에 관계없이 모수와 표준오차는 더욱 정확하게 추정 되었다. 또한 모든 잠재집단들이 정규분포를 따를 때에는 집단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정확한 잠재집단의 수가 선택되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잠재집단이 비정규분포를 따를 때에는 잠재집단 간의 거리가 멀수록 실제 존재하는 잠재집단의 수보다 더 많은 잠재집단이 선택될 수 있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자료를 분석하는 응용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위하여 자료 분석 이전에 전체 자료의 분포형태를 확인해 보는 일이 중요하며, 또한 자료 분석 이후에도 잠재집단들의 분포형태, 잠재집단 간의 거리, 그리고 잠재집단의 분류의 정확도 등을 보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When we fit a growth mixture model to data, nonnormality of a mixture distribution is needed for the correct parameter estima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correct number of latent classes. Nonnormality of a mixture distribution arises because of a distance between latent classes and nonnormality of latent class distributions. Thus, this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included two factors of a distance between latent classes and a shape of a latent class distribution, and then investigated how both factors affected the parameter estima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in linear growth mixture modeling. It was found that when a latent class distance was large, the parameter estimates were very accurate regardless of a shape of a latent class distribution. Furthermore, when a latent class distance was large and all latent classes were normal, the correct number of latent classes was selected across all conditions. However, when one or more latent classes were nonnormal,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incorrectly increased as a latent class distance increased. Therefore, in applied research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latent class distance and the shape of latent class distributions should be examined and reported.

      • KCI등재

        매개효과 연구에서 자료의 분포형태에 따른 Sobel의 검정방법과 비대칭신뢰한계방법의 비교

        구남욱(Namwook K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1

        최근 사회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매개효과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매개효과는 두 경로 계수의 곱으로 나타내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일반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모의실험연구는 단순한 매개효과 모형인 보통최소제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자료의 다양한 분포형태가 매개효과의 추정과 검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Sobel의 검정방법과 비대칭신뢰한계방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료의 비정규성은 경험적 일종오류와 통계적 검정력 비율, 그리고 포함확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비대칭신뢰한계방법이 Sobel의 검정방법보다 경험적 일종오류 비율, 통계적 검정력 비율, 그리고 포함확률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In social sciences, mediation analysis has been frequently conducted in many areas. Generally, the mediated effect is not normally distributed. Thus, this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onnormality on estimating and testing the mediated effect with the simple mediation model of OLS regression. Futhermore, this study compared asymmetric distribution limits and Sobel's test in terms of testing the mediated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varied types of nonnormality did not seriously affect empirical Type I error rates, statistical power rates, and coverage probability. Also, it was found that the asymmetric confidence limits performed better than Sobel's test.

      • KCI등재

        남녀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자아개념의 변화 추이 및 종단적 연관성 탐색

        구남욱(Namwook Koo),조명근(Myounggeun Jo),김현철(Hyunchul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 남녀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개념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종단 매개효과 모형을 토대로 성별과 진로성숙도 및 자아개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집단 잠재성장모형 및 평행한 과정의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의 4개년 자료(2차년도~5차년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로성숙도는 네 시점에 걸쳐서 선형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차 증가한 반면, 남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자아개념은 남녀학생 모두 비선형의 변화 궤적이 나타났으며, 중2부터 고1까지는 증가하 는 양상이 나타났으나, 고2 때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고1까지는 남학생의 자아개념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나, 고2 때 남녀 모두 유사하게 네 시점 중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종단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생의 성별 차이가 ‘자아개념의 변화’를 통해서 ‘진로성숙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등학교에서 학생의 성별차이를 고려한 진로교육 뿐만 아니라, 고등학생들이 성적과 입시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서 자아개념을 잃지 않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of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 based on longitudinal mediation model.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and a parallel process latent growth model were applied to the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career maturity increased over time, whereas male students’ decreased. Also, self-concept for male students is greater than female until 8th grade, but drop sharply in 9th grade. The results of longitudinal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ange of career maturity through the change of self-concept. Thus, the results recommend specific instruction of a particular gender in career education and new plans for high school students’ self-concept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학습활동을 매개로 사회과 자기 평가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탐색

        전지혜(Jeon, Jihye),구남욱(Koo, Namwook)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학교적응의 하위영역인 학습활동을 매개로 사회과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자료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까지 다문화수용성과 사회과 자기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학습활동은 변화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 시점인 중학교 2학년에서 다문화수용성은 학습활동을 통해서 사회 과 자기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의 변화는 학습활동의 변화를 매개로 사회과 자기평가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초기시점과 변화 율에서 다문화수용성은 사회과 자기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수용성은 학습활동을 매개로만 사회과 자기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의 함양은 학습활동을 돕고, 또한 학습활동을 통해 서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 sub-area of school adaptation over time. To this en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ut learning activities did not change. Second,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in the early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hird, the chang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in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through the change in learning activities. Fourth,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ocial studies self-assessment at the initial point of time and rate of chang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studies self-evaluation only through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ivation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elps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also helps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PISA 2015 과학 영역 성취 특성 분석: 상위국 비교 및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김현정(Kim, Hyunjung),구남욱(Koo, Nam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이 연구의 목적은 PISA 2015 과학 영역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PISA 상위 성취국과의 비교 및 문항별 분석을 바탕으로 최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영역 성취 하락의 원인을 찾고자 하 였으며, 우리나라 학생들이 부족한 과학 소양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과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외에 PISA 2015 성취도 상위 5개국을 선정하고, 분석 대상국 학생들의 과학 영역 문항 채점 결과를 분석하였다. 6 개국의 과학 영역 평균 점수, 백분위 점수, 성취수준별 비율 등을 비교하였으며, 문항별 정답률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다른 상위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소양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 2015에 서 나타난 과학 성취의 하락은 남학생 하집단의 성취 점수 하락 및 비율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정답이 한개로 규정되지 않거나 과학적으로 선택의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는 유형의 문항이었 다. 셋째, 과학 평가틀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역량’의 하위 범주 중 ‘과학탐구의 설계 및 평가’, ‘지식’의 하위 범주 중에서는 ‘인식론적’ 지식의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in the results of PISA 2015 science domain. To this purpose, based on the comparison of high-performing countries in PISA and the item analyses,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reasons why the performance of Korean students has declined, as well as to draw implication for the future Korean education by finding out scientific literacies in which Korean students did not perform well. In addition to Korea, other 5 high-performing countries were selected and the results of science items for those six countrie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science, the mean scores, item means, percentile scores, percentages of each performance level across six countrie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vely insufficient competencies for Korean student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cline in Korea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PISA 2015 was associated with the low-performing Korean male students. That is, the mean scores of the low-performing male students declined and also the percentage of the low-performing Korean male students increased. Second, the items in which Korean students did not perform well have one of the following two traits. The first trait is that they ask students to choose more than one correct answer and the second trait is that they ask students to write the reasons of their selection. With respect to the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the low item means for Korean students were found in the items asking Evaluate and Design Scientific Enquiry among the different categories of Competencies as well as Epistemic Knowledge among the different categories in Knowledge.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른 저소득층 학생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발달 추이 탐색

        이나리(Lee, Nari),구남욱(Koo, Nam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는 2012~2015년에 조사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른 저소득층 학생의 인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의 추이를 탐색하였다.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집단과 미참여 집단의 자기효능감, 정신건강, 학교 적응, 그리고 국어, 수학, 영어의 학업성취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 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른 저소득층 학생의 인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 추이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어, 수학, 영어 교과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와 자기효능감, 정신건강, 학교적응의 변화 추이에서 참여 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와 상관없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교적응과 국어, 수학 학업성취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차 향상하였고, 반면 자기효능감과 영어 학업성취도는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급격하게 하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우선 지원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low-income students from the 4th to the 7th grade in terms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EWPSP). This study used a multiple group latent growth model to test the longitudinal effects of EWPSP on self-efficacy, mental health,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The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and English achievement decreased sharply when students entered a middle school, whereas Korea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and school adaptation increased as the student’s grade goes up regardless of participation or non-participation group in EWPSP.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groups in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at i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groups in the trends of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chievement, and trends of self-efficacy, mental health and school adaptation. Pla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WPS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부모의 자녀학습지원정도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탐색

        권경림(Kwon Kyounglim),구남욱(Koo Nam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를 주제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부모의 자녀학습지원 변화’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중학생 패널 3차(2012)~5차(2014)년도 자료인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는 수직척도점수를 활용한 만큼 모두 중3, 고1, 고2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에서 증가율이 가장 컸다. 반면에 진로성숙도는 세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학습지원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단 매개효과 검정 결과, ‘중학교3학년 시기의 부모의 자녀학습지원’은 ‘중학교 3학년 시기의 국어, 수학, 영어 과목의학업성취’를 매개로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진로성숙도’ 및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진로성숙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parent s support on career maturity throug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middle school 3rd grade to the high school 2nd.grad. A latent growth curve model was used to analyz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support at middle school 3rd grade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3rd graders through the academic achievement at middle school 3rd grade. Also,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 support at middle school 3rd grade affected the change of career maturity from middle school 3rd grade to high school 2nd grade through the academic achievement at middle school 3rd grade.

      • KCI등재

        사회과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이정우 ( Lee Jungwoo ),구남욱 ( Koo Namwo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핵심역량 중 공동체 역량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 핵심역량 전반뿐만 아니라 공동체 역량의 하위요소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과 실천 현황을 확인하여 사회과 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국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천과 관련된 항목의 평균이 낮았으며, 사회과 교사의 평균이 비사회과 교사에 비해 낮았다. 사회과 세부 전공 중에서는 일반사회 전공 교사의 평균이 가장 높았다. 둘째, 핵심역량 전반에 대한 인식과는 달리, 공동체 역량의 중요도와 평가정도에 대해서는 사회과 교사의 평균이 비사회과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사회과 교사 중에서는 일반사회 전공의 공동체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평가정도 평균이 가장 높으며, 역사 전공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 셋째, 공동체 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실제 평가정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에 비해 평가정도가 낮았다. 넷째,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학교 등의 경험이나 관련 연수 경험은 사회과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실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공동체 역량의 중요도와 평가정도에는 공통적으로 일반사회 전공 여부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이 사회과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by investigating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toward core competencies, especially focused on the social competency. For this purpose, a nationwide survey involving middle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the mean values of the practice in core competencies were lower than those with the perception, and the mean values of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lower than those of non-social studies teachers. Second, unlike the perception toward core competencies, the mean values toward social competency of the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social studies teachers. Third, when the degree of importance was compared with the degree of assessment toward social competency, the degree of assessment was lower than that of importance.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s related with core competencies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In the discussion se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Korea

        강호수(Kang, Ho Soo),구남욱(Koo, Nam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협력,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OECD에서 국제적인 관점에서 교사들의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한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2013 자료 중 한국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 협력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 협력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 자기효능감은 교사 협력과 교사 직무만족도 사이의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교원교육이 정책이 교사의 협력 활동과 교사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Korea. Methods The Korean teacher data from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2013, which collected various information on teachers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by 0ECD,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teacher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elf-efficacy. Third, teacher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Fourth, the teachers’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that the teacher education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teachers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 teachers’ self-efficacy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