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측량 수행제도의 발전 방안 : 개방업무를 중심으로

        임이택(Lim Lee Taek),곽정완(Kwak Jeong Wan) 한국지적학회 2007 한국지적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2002.05.30 지적법의 헌법블합치 판결에 따른 지적법 개정으로 2004.01.01 지적측량업무의 일부가 개방된 이후 새로이 도입된 지적측량수행제도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2004년부터 현재까지 개방업무를 중심으로 지적측량수행자의 업무처리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적측량업무 영역의 한계, 개방업무 계약제도의 혼란, 지적측량기준점관리의 이원화, 개방업무 검사기관의 이원화 및 측량수행자의 미 차별화 등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면서 충분한 사전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된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방업무를 중심으로 한 지적측량수행제도의 개선방안으로 개방업무 수행제도의 기반 강화, 개방업무 검사제도의 개선 및 지적측량시장의 확장 등을 제시하였다. ??The paper is a purpose that analyzed an open business as a part of cadastral surveying practice introduced 1 January 2004 after revision of the cadastral law affected by constitutional non agreement judgements in 30 May 2002. The result of analysis on current cadastral surveying companies from 2004 until currently has been shown the various problems such as limitation of cadastral surveying territory, confusing of contract processes of open business, dual management of cadastral control points, dual inspection of open cadastral surveying practice, and unfair registration of cadastral surveying companies. These problems became not sufficient discussion with stakeholder in order to introduce a whole competitive cadastral surveying practice. Thus this paper proposes complements for improving open cadastral surveying practice as improved framework of an open business institute, improvement of cadastral inspection survey processes, and extension of the cadastral surveying market based on whole competitive business.

      • KCI등재

        지적측량 위상 재정립에 관한 연구

        박민호(Park, Min Ho),곽정완(Kwak, Jeong Wan),김정민(Kim, Jung Min) 한국지적학회 2009 한국지적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지적측량의 업무범위와 수행범위에 대한 논란으로 인하여 국가사무인 지적측량업무의 위상이 약화되고 있어 지적제도 운영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지적측량의 특수성을 분석하여 지적측량의 성격을 명확히 재정립함으로서 지적측량 시장의 건전한 발전과 지적제도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지적측량의 목적, 유형, 효력 등 기본이론과 지적측량의 구분, 지적측량의 변천 등 지적측량의 운영체계를 살펴보고 지적측량과 일반측량의 비교, 지적측량의 공신력 현황 및 지적측량의 오랜 논쟁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적측량이 명백한 국가업무라는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지적측량의 위상 재정립 방안으로 지적측량의 종목과 범위를 재설정하는 방안과 지적측량의 업무영역을 재설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adastral survey market and academic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adastral system by analyzing its specific characteristic whereby to re-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cadastral suyvey. It will also help ease the current confusion of cadastral system management incurred by debates and claims with respect of the work scope and work coverage of cadastral survey which in fact consistently threatens the status of Korean cadastral survey service. During the study the objectives, types and validity of cadastral survey and other principle elements have been reviewed, and its operation system such as historical transition and service charge has been analyzed. Moreover, the disputes over cadastral survey service, comparison with geodetic survey, and public trust have also been analyzed in order to define clear characteristics of it. Based on the analyses above the cadastral survey service has been described as the governmental service and a new approach to re-establish the type, scope and business domain of the cadastral survey has been proposed.

      • KCI등재후보

        지목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신순호(Shin Soon Ho),김정민(Kim Jung-Min),곽정완(Kwak Jeong Wan) 한국지적정보학회 2006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8 No.1

        지목은 지번, 면적, 경계 등과 함께 필지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이며 토지의 사용 용도를 결정하는 지적정보로써 토지의 상품성이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 지목은 지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지목의 설정과 등록을 국가가 사실심사주의에 의해 결정하고 관리하며, 한번 설정된 지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엄격한 통제를 받게 된다. 21세기의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구조는 다양하고 복잡한 용도의 토지공급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목제도는 100여 년 전 지적제도의 창설 당시에 비해 크게 변화된 것이 없어 현대 지적정보사용자의 다양하고 신속하며 정확한 정보제공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문제점 해소와 사용자의 편익을 위해 지목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고, 그 필요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서울시 노원구와 경기도 여주군을 중심으로 지목에 대한 실제 사용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토지의 실제 사용 현황을 조사ㆍ분석하여 지목불부합도를 확인하였고 지역별 토지이용현황 분석에서는 도시지역에서 토지가 다른 용도로 이용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지목별 토지이용현황 분석에서는 “전”과 “답”의 토지가 다른 용도로 이용되는 비율이 높았고, “대”의 경우 토지의 사용용도와 형태가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목제도의 개선을 위해서 법률적 측면에서 지목등록의 통일과 지목분류체계의 개편, 행정적 측면에서 입체지목의 도입과 지목유형의 확대, 기술적 측면에서 지목명칭의 단순화와 자유 축척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A land use category is an essential part which composes of land parcel along with parcel number, area and boundary. Also it is an important cadastral information contains land use. Especially in today's society a land has been regarded as a commodity, a land use category is an essential factor which influences on the land value. Therefore the land use category is determined and registered by the nation based on the substance investigation principle and the registered land use categories are strictly restricted in changing. A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in the 21st century demands a diverse and complex supply for land use. Although the land use category system in Korea was created one century ago, few things have been improved. Therefore the current system is not able to meet users' demands for a rapid and accurate cadastral information provision. In this research a land use category system improvement is proposed for re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promotion the cadastral information user's convenience. In order to verify the necessity, a case study on real land use investigation is conducted at the area of Seoul Nowoon district and Gyeonggi Yeoju-gun. From the results of a real land use investigation, a land use category inconsistent problem confirmed. In a regional analysis, the category inconsistent problem is more serious in urban area land and in land use category analysis it is turned out the ratio of land use category inconsistency is higher in a patch and a rice paddy areas. It is also confirmed that in building areas the land is used diversely compare to other areas. From a legal perspective a unification of land use category registration system and a restructuring of land use category classification and from a administration perspective it is analyzed that a three dimensional land use category system and a diverse land use category type development should be addressed. From a technical point of view it is turned out a land use category name simplification and a scale-free mapping system should be int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