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경제구조변화에 따른 평양지역 도시공간의 재구조화

        곽인옥 ( In-ok Kwak ),문형남 ( Hyung-nam Moon ) 한국생산성학회 2018 生産性論集 Vol.32 No.2

        Since the mid-1990s, Pyongyang has been paralyzed by the national distribution system, and the mayor has taken on the role of failing to provide enough food and living necessities for Pyongyang resi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formation of the urban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Pyongyang region is as follows: First, the planned economic system in Pyongyang city is weakened and the market economy system is strengthened. Second, as the overall privatization progresses, the city's economic space has been formed. Third, trading companies under the privileged institutions of Pyongyang are exercising exclusive authority. They exports ore, aquatic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and labor power, which are national property. And imports part of export money from China as food and daily necessities, distributing it nationwide and creating enormous wealth. This labor exploitation and monopoly is regarded as showing the appearance of early capitalism. As Pyongyang changed from a planned economy to a market economy, the market expanded due to changes in its distribution structure. In addition, production bases spread due to changes in production structure. Changes in the financial structure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money market. This merger of distribution, production, and finance has resulted in the re-formation of the urban structure of Pyongyang as a huge market economy system has been formed.

      • KCI등재

        자신의 힘을 의지하기 시작하는 북한 농민들 : 북중국경지역의 개인 경작지 증가 현상 분석

        안드레이란코브 ( Andrei Lankov ),김석향 ( Seok Hyang Kim ),곽인옥 ( In Ok Kwa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9 No.2

        이른바 공산주의 지역이 무너지고 난 뒤 지난 20여 년 동안 북한에서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급격한 변화의 시기를 겪었다. 1990년-2010년 기간은 북한에서 시장경제가 다시 되살아나는 시간이었다. 사실 북한은 한 때 스탈린식 경제체제의 모범을 가장 완벽하게 구현한 사례로 평가를 받았던 곳이었는데 오늘날 이 곳에 시장경제가 다시 돌아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북한사회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사회경제적 변화의 양상 중의 하나이면서도 지금까지 기존 연구에서 분석한 사례가 많지 않았던 분야로 평가된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여 1990년 이후 북한사회에서 개인의 이윤추구 활동 방식으로 농사를 짓는 현상이 급격히 증대한 사실에 주목하여 이번 연구에서 분석해 보았다. 집단농장을 운영하던 북한에서 개인의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농사를 짓는 현상이 급증하면서 사회적으로 중대한 결과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경제 적으로도 매우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개인 경작지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북한 내부의 식량 사정이 개선되는 효과를 유발하는 것 같다. 이번 연구의 결과, 북한에서 이른바 소토지라고 하는 개인 경작지를 운영하는 것은 힘없고 가난한 농민의 관점에서 볼 때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는 대처방안이기도 하지만 또 한 편으로는 당국에 맞서서 소극적으로 대항하는 방법이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토지 농사를 짓는다는 것은 북한주민 중에서 가장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집단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는 방법이었다. 1990년 이후, 대다수 북한주민은 소규모 장사를 시작하거나 집에서 물건을 생산하는 가내수공업을 하면서 돈을 벌었는데 이런 일을 시작하려면 어느 정도 돈이 있거나 사회적 연결망을 활용할 능력이 필수적인 상황이었다. 그런데 소토지 농사를 짓는 사람들 은 돈이나 사회적 연결망 측면에서 꼭 필요한 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소토지 농사는 곧 북한에서 가장 가난한 농민이나 미숙련 노동자, 시내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힘없는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위기 극복 방안이었던 것이다. 북한에서 자본주의 활동이 다시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그랬던 것처럼 소토지 농사를 짓는 사람들도 처음에는 단순히 위기 극복 방안으로 이를 활용했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소토지 농사를 짓는 사람들도 시장 친화적인 자본가의 모습을 닮아가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쉽게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작물을 심기도 하고 농사일이 바쁠 때에는 사람을 사서 일을 시키는 모습도 관찰된다. 그런 의미에서 2000년대 초반에 들어서면 소토지 농사꾼 중에서 어떤 사람들은 단순히 먹을 것을 구하는 차원을 벗어나 기업농민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정도에 이른다. The two decades which followed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bloc were a period of dramatic soci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 in North Korea. The 1990-2010 period was a time when market economy re-emerged in North Korea where once could be seen as the most perfect example of the Stalinist economic model. The present article deals with one of the major areas of socio-economic change which, so far, has not been the focus of previous studies. The topic is about the growth of private agricultural activities in North Korea after 1990. This growth constitutes a significant phenomenon which has important social consequences and also is important from a purely economic point of view: it seems that the spontaneous growth of private plots played a major role in the recent improvement of the food situation inside North Korea. The article deals with a situation in one locality - the city of Hoeryong, located in the North Hamgyong province, next to the Chinese border. This approach has its advantage and disadvantages: on one hand, it provides for better ``resolution`` of the research. On the other hand, one has to be cautious when applying these findings to other areas of North Korea. The current article treats sot`ochi farming as a major form of coping mechanism employed by the common North Koreans to survive the challenges of the new environment. Since the early 1990s, North Korea has experienced a revival of private agriculture which - at least in the area which is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 has come to play a major role in the nation`s economy. Sot`ochi farming is the major coping strategy for the least privileged strata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It is usually used by the social groups whose members do not have money and/or connections which are vital for any North Korean who wants to become a vendor or produce things at home. Sot`ochi farming in North Korea remains, at best, a semi-legal activity - and is perceived as such by both the authorities and sot`ochi cultivators. The local administration has begun to levy taxies on farmers, although they frequently evade taxation through bribery. Nonetheless, in a legal sense farmers are not owners or tenants, but essentially tolerated squatters. In fact, they can be evicted at any time. Like much market activities in North Korea, private farming lacks a legal framework; it is neither legal nor illegal in a strict sense. All things considered, the scale of sot`ochi farming is impressive. To an extent we can describe the changes as "agricultural reform from below", and it appears that the scale of this low-key but important transformation has remained under-appreciated.

      • KCI등재

        경제제도 측면에서 북한의 빈곤화와 시장화에 대한 분석

        곽인옥 ( In-ok Kwak ),문형남 ( Hyung-nam Moon ) 국제지역학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북한 계획경제의 실패로 나타난 빈곤화가 시장화를 통하여 극복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계획과 시장의 융합으로 나타난 경제정책을 제도로 인식하고 7.1경제관리조치와 6.28신경제관리조치를 중심으로 시장화를 자생적인 시장화(1990~2001년), 유통중심의 시장화(2002~2011년), 생산중심의 시장화(2012~2017년)로 시대구분을 하고 주요사건, 경제순환구조, 경제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시장화의 과정은 농민시장 확대, 유통 중심의 시장화, 생산 중심의 시장화 그리고 금융 중심의 시장화로 계속 시장화가 진화되면서 빈곤화가 어느 정도 극복되어 가고 있다. 둘째, 기업제도, 농업제도, 금융제도가 시장경제 방향으로 진전되어가고 있으며 소규모 사유화부터 시작하여 대규모 사유화가 진전되고 있다. 셋째, 완전한 빈곤화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외자유치를 통하여 공업화 산업화를 건설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으며, 농업개혁, 기업개혁, 가격개혁, 재정개혁, 금융개혁, 무역·직접투자개혁, 유통개혁 등 거의 전 분야에 걸친 경제체제 개혁이 되어 글로벌 경제에 결합시키고 그 과정 속에서 고용확대, 외화획득, 기술획득을 실현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경제구조의 변화 방향들은 공적부문과 중앙집권화(Public sector & centralized)에서 사적부문과 분권화(Private sector & decentralized)로 바뀌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impoverishment due to the failure of North Korea planned economy through marketization. Recognizing the economic policy presented by the convergence of market and planned economy system as a economy system and focusing on the 7.1 Economic Management Measures and the 6.28 New Economic Management Measures. The marketization is classified the indigenous marketization (1990-2001),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central distribution (2002-2011),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production (2012-2017). The major events, the economic circular structure and the economic behavior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as following: First, through the process of marketization starting from the expansion of farmers` market and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distribution,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production to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finance. And as the evolution of it continues, to some extent a poverty has been overcomed. Second, corporate institutions, agricultural institutions, financial institutions and progress in becoming a market economy direction. A series of privatization starting from small one to large-scale one have been progressing. Third, in order to overcome the impoverishment completely. Through foreign investment the industrialization covering a wide range of industries are urgently needed, Domestic agricultural reform, enterprise reform, price reform, financial reform, financial reform, trade and direct investment, reform, reform, distribution, etc are needed. The economic reforms across almost all sectors are needed to be combined in a global economy Expanding employment, the acquisition of foreign currencies and the acquisition of technology in the process should also be realized. The direction of change of this series of economic structures has turned Public sector and centralized into Private sector and Decentr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