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남해 도서·해안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관리 - 천관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중심으로 -

        곽광호 ( Kwag Kwang-ho ),김은일 ( Kim Eun-ii ),김종영 ( Kim Chong-young ),안기완 ( An Ki-wa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서남해 도서와 해안지역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대한 임분 관리와 유전자원의 효율적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남 지역에 산재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현황을 살피고, 이 지역을 대표하는 천관산 동백나무림(장흥군 소재)을 대상으로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임분의 지속가능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남지역에 지정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면적은 78개소 2,411 ha로 나타났다. 이중 내륙지방은 전체 면적의 12.1 %인 291 ha에 불과하였으나, 완도, 신안, 진도(조도) 등 도서지역이 87.9 %인 2,119 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천관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보기 드문 동백나무 순림이 약 20 ha에 걸쳐 형성되어 산림유전자원으로서의 보전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해발 200 m를 기준으로 산록부와 산복부에 분포하는 동백나무의 입목밀도, 평균 성장량, 종 구성에서 차이가 나타나는데, 산록에 비해 산복에서 입목밀도가 낮고 종 구성이 단순한 반면, 수고와 경급 성장량이 높았다. 해발 200 m 미만 임분의 아교목층 중요치는 동백나무(169.76), 산벚나무(21.26), 참식나무(16.06), 때죽나무(14.60), 자귀나무(13.75)의 순이었으며, 해발 200 m 이상 임분에서는 동백나무(243.96), 참식나무(24.65), 합다리나무(15.73), 예덕나무(15.65)의 순으로 분석되어 전형적인 순림의 임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해발 200 m 미만 관목층 중요치는 동백나무(82.46), 참식나무(66.37), 조록싸리(19.76), 산초나무(17.88)의 순으로, 해발 200 m 이상에서는 참식나무(164.52), 동백나무(47.89), 고추나무(25.46), 산초나무(19.39)의 순으로 오히려 참식나무의 중요치가 더 높게 나타나 산림유전자원의 보전을 위해서는 산복부의 하층식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해발고도에 따른 임상 변화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과 인접한 마을 주민들의 산림이용활동이 주된 원인인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이 숲을 보전하기 위한 정책 방향, 시업 기술의 적용 등 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protected areas within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The study was based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Camellia japonica L. stand in Mt. Cheongwan, Jangheung-gun. The area of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n Jeollanam-do Province was found to be 78 points 2,411 ha. This constituted only 12.1 % of the inland area, but the coastal and island areas such as Wando, Shinan and Jindo accounted for 87.9 % of Jeollanam-do Province area. The mean DBH was 15.3 cm, and average height was 5.4 in altitude of over 200 m. In contrast, the mean DBH was 7.7 cm, and average tree height was 4.9 cm in altitude of less than 200 m.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the subtree layer that showed an altitude of less than 200 m, was Camellia japonica L.(169.76), Prunus sargentii Rehder(21.26), Neolitsea sericea BL(16.06), Styrax japonica Siebold & Zucc.(14.60), Albizia julibrissin Durazz(13.75). The subtree layer whose altitude was over 200m was Camellia japonica L.(243.96), Neolitsea sericea BL.(24.65), Meliosma oldhamii Maxim.(15.73), Mallotus japonicus (L.f.) Mull.Arg(15.65). The species uniformity and diversity was high in the side of the mountain compared to the bottom, while dominance showed high in the bottom of a mountain rather than the side. Camellia japonica L. stand dominated in the study site but if forest gap was to occurred, Neolitsea sericea BL. was judged to have high growth potential in the crown canopy through competition with Camellia japonica L.. In sh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vide an important criterion that can build a management plan to preserve this fo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