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민속박물관 권역별 수장센터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공순구 ( Kong¸ Soonku ),이원구 ( Lee¸ Wong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박물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물의 양적, 질적 증대가 이루어졌으며, 관리와 분석에 대한 중요도가 한층 더 높아지게 되었다. 여러 종류의 박물관 중 특히 민속계 박물관은 유물의 수와 종류가 다양하며, 유물 특성상 마을의 공동체와 지역 중심의 문화가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다. 국가 발전으로 인한 산업화, 도시와 및 인구의 대규모 이동으로 인하여 민속유물과 민속문화자료에 대한 소실이 크다. 이것은 단순히 민속자료와 유물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전통과 우리민족의 삶과 지혜를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현제 국립민속박물관의 확장을 통하여 규모와 시설이 확대될 수 있겠지만 각 지역에서 발굴되는 민속유물을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유물이 원적지를 떠나 다른 지역의 시설에서 관리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국내에 적합한 인프라의 정립을 위하여 민속계 박물관의 상호협력체계를 제안하고 권역별 국립민속박물관 수장센터의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최근 5년이내에 건립된 수장보존센터나 수장센터형 박물관 3관과 일본의 박물관 중 수장보존영역이 특화되어 있으며 10년 이내 새롭게 리뉴얼된 박물관 3관을 선정하여 상호협력체계의 필요와 구성, 민속계 박물관 유물의 정의와 분류, 박물관의 수장환경 및 유사사례의 현황 및 시설배치, 프로그램, 면적구성비 동선체계를 통해 공간구성 체계를 도출한다. 각 기관들에서 제공되어지는 연보와 문헌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내용 및 도면 수집을 통해 시설의 공간의 구성 및 면적 등을 파악하였으며, 문헌을 통하여 분석이 어려운 세부사항의 경우 현장답사와 담당자와의 서신 및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사례관들의 각 기능별 영역과 공간구성체계 및 면적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수장보존영역의 면적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물을 관리하고 수집 및 보존, 연구하는 업무가 중요함에 따라 다른 기능의 영역보다 큰 비율을 차지하고, 과거의 비공개영역이었던 부분을 일부 개방화하여 전시 및 체험, 교육영역에 있어 기능을 더해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례관들의 공통점으로는 수장보존영역의 공간구성이 유물과 관리자의 동선에 적합하게 구성되었으며 대학원이나 연구시설이 설치 되어있는 규모있는 박물관의 경우 수장보존영역 내에 있거나 각 독립된 동으로 인접배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민속유물 관리와 발전을 위하여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장 20조, 33조에 근거하여 민속계 박물관 상호협력체계로 국내의 6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 수장센터 설치 제안을 통해 원적지 유물관리를 실현하고 민속 유물의 체계적인 분류를 통해 발전된 유물의 관리 및 보존,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며, 향후 대한민국의 수장센터 및 수장센터형 박물관을 계획 시 중앙관으로부터 지역대표관, 지역분관까지 연결되어지는 협력체계와 수장보존영역이 특화되고 보존과학실의 부분 개방화 및 개방형 수장고를 활용한 계획에 실직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본 연구가 국립민속박물관의 권역별 수장 센터 공간구성체계에 관련된 선행연구의 개념의 거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어 수장보존영역의 공간구성에 집중되었다. 향후 민속계 박물관에 알맞은 협력체계와 세부적인 유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and type of museum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rtifacts have increased, as ha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nd analysis. Among the various museums, the folk museum, with a variety, and types of relics, is characterized by the transmission of local culture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relics. The loss of folk relics is large because of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population movement. This loss is akin to losing our country's tradition, the lives, and the wisdom of our ancestors. Currently, the scale of accommodating such relics can be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ccommodate folk relics excavated from each region; further, they are managed by facilities in other regions. Therefore, to build infrastructure suitable for Korea, we propose a cooperation system for folk museums and a space composition system for the main building of the National Folk Museum, by region. (Method) In Korea, three preservation centers or storage-type museums built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three newly built museums within ten years, will be selected to derive a space composition system through cooperation systems,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folk museum relics, museum status, and facilities and programs. The composition and the area of facility space were identified through annual reports and literature surveys by each institution, and detailed matters that are difficult to analyze in the literature were studied through field trips, and communic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Results) Analyzing the area, spatial composition system, and area composition ratio of case halls, remarkably, we found that the preservation area occupies a larger proportion than other functional areas, adding functions to exhibitions and experiences. What the case halls have in common is tha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torage area is suitable for the movement of relics and managers. In the case of large museums with graduate schools and research facilities, these are within the storage area or adjacent to each independent building. (Conclusions) In this study, based on the Museum and Art Museum Promotion Act, six region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cooperation systems for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artifacts through systematic classif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concept of a prior research perspective relat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system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nservation area.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cooperative system suitable for the folk museum and detailed relics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의 운영형식 및 소요공간구성 프로그램 분석에 관한 연구

        공순구 ( Soonku Kong ),이영규 ( Youngkyu Lee ),황룽씬 ( Longxin Hu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21세기 사회경제적 흐름이 더욱 가속화되어감에 따라 사회 전반적으로 문화 수준 및 생활이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는 지식정보가 일상생활, 사회활동, 경제발전, 국가경쟁력에 동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모든 구성원이 지식정보 해득력을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지식정보시대에 있어 장애인은 도서관 이용과 정보의 접근 및 취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제한요소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세계 주요 선진국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운영형식를 보면 보편적으로 우선 고려해야 할 대상은 장애인으로 인식하고 그중 시각장애인을 주요 이용대상으로 고려하고 별도의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을 설립 및 운영하고 있고 또 그에 따른 시각장애인 시설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는 복지관이나 종교단체에서 점자도서관을 운영하고 있고 또 국가의 예산 지원이나 장애인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상호연계도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도서관 시설기준에 관하여서도 국내는 규정하고 있지만 더욱 만족스러운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연구방법)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인도서관과 장애인복지나 장애인서비스 정책면에서 앞서 나아가고 있는 국외 선진국들의 시각장애인도서관들을 사례대상으로 지정하고 국외의 실정과 국내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국내, 외 시각장애인도서관에 대한 방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사서 및 담당자에 대한 이메일 및 인터뷰 등 서면을 통한 조사방법으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고 연감 및 문헌조사, 웹 조사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국내의 시각장애인도서관 운영형식은 국가주도형인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을 마련하여 국가의 정책과 예산을 수립하고, 주 기능으로 대체자료 제작, 수집, 보존 및 배포로 하고 보조기능으로 대출열람서비스 지원을 수행하여야 한다.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 공간구성에 있어서 단순히 시각장애인 대체자료만 대출하는 업무에서 벗어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해야 할 역할의 필요성이 있다. (결론)본 연구는 국내, 외 시각장애인도서관의 운영형식 및 소요공간구성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국내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운영형식 및 소요공간구성 프로그램에 있어 합리적인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 신설을 계획 시 이러한 소요공간구성 프로그램의 재구성을 통하여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운영형식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반면,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외 기타 지역 시각장애인도서관은 그 지역의 실정에 맞도록 계획되어야 하기에, 연구대상을 선정함에 있어, 범위를 제한함과 해당 시각장애인도서관의 공간구성의 자료 수집에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향후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As the social current continues to accelerate, cultural and living standards in society are improving. In these times, information acts as a motivator for daily life, social activities, economic growth,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us, every member of the community should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information. However, those with disability may have difficulty meeting this requirement, as they face many limitations in accessing information, including physical access to information-related facilities. In developed countries, library services are run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as they perceive persons with disability (PWDs) as priorities. Particularly, those with visual impairment are a top priority; many countries have initiated special national libraries for the blind, each with certain facility regulations. In Korea, only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religious groups operate braille-enabled libraries, and budge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libraries for PWDs and public libraries are weak. Thus, even if there are facility regulations for libraries for the blind, improvements need to be undertaken to provide more satisfying service. (Methods) This study designated domestic visually handicapped libraries and their counterparts in developed countries, which are characterized for their advancement of PWDs` welfare and disability as service policy, as case examples. The actual circumstances abroad and the domestic situation were likewise examine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ases, and then presented measures for improvement. (Results)Domestic operation is represented by the government-run National Library for Disabled Persons, which takes the policy and budget mandated by the government, and which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preparing, collecting, conserving, and distributing materials, while also providing book lending and reading services. There is need for this institution to perform roles of not only lending alternative books for PWDs but also providing various cultural and educational services. (Conclusions)This study is aimed at the examination of the operation system and space composition program of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First, it identifies the domestic status and its problems. Second, it proposes reasonable suggestions. When planning a new construction on the National Library of the Blind, this research may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reating an effective and reasonable operation system, especially the findings on the space composition program. Meanwhile, local libraries should be programmed to fit its own situation. The current work was limited by the data collect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corresponding libraries in selecting the research subjects. Future studies should complement this gap in research.

      • KCI등재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공순구 ( Kong Soonku ),권혁진 ( Kwon Hyukj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서 생산된 유의미한 지식과 정보를 지역 내에 전문인력과 기록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춘 ‘지방기록물보존관’을 설립하여 지방기록물 관리 원칙에 따라 자주적으로 생산관리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향후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의 기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행정의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 ‘주민 참여 정치 활성화’, ‘지역사회에 유의미한 지식 및 정보 축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개발 능력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하며 기록물 관리체계에 따른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 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일본의 공문서관은 기록물관리 인프라 형성이 지방기록관리에서 발현하여 그 역사와 관리체계가 잘 형성되어 있다. 국내 법률상의 분류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속하는 일본 지방 공문서관을 사례 대상관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립주체에 따라 세부적으로 도도부현 2개, 시정촌 4개를 분석하였다.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연보 및 문헌조사를 통해 시설의 일반현황, 도면수집, 공간구성, 소요공간, 면적구성 등을 분석하였으며 문헌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세부 사항은 담당자와의 서신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사례대상관의 분석을 통하여 위계에 따라 지방기록물보존관의 역할이 구분되며 이에 따라 공간구성체계가 다름을 도출했다. 현립 공문서관과 시립 공문서관은 정립 공문 서관에 비하여 기록보존의 업무가 중요함에 따라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정립 공문서관은 현립 공무서관과 시립 공무서관보다 기록물 활용 및 공공서비스에 대한 면적대비 공간 할애가 더 높았다. 특히 공용영역이 정립 공문서관에서는 월등하게 높게 나오는데 이는 공공서비스 제공측면에서 시설의 복합화여부에 따라 면적구성비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형 공문서관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방문목적에 따라 시설의 영역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도 시설 운영에 차질이 없게 하였다. 서고의 배치 및 운영은 보존하는 기록물의 증가량을 고려하여 저층에는 고문서 및 귀중기록물 서고를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기록물 증가량이 많은 일반기록물 서고를 고층에 배치하였다. 상대적으로 현립 공문서관 대비 공간 및 예산적인 제약사항이 더 많은 시급과 정급 공문서관에서 보존처리 및 인수등록 공간은 결합하여 활용했으며 서고내부공간을 구분하여 기록물의 유형에 따라 관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앞서 국내의 사례는 서울기록원과 경상남도기록원에 그치며 아직 지방기록물보존관의 상호협력체계가 전무한 시점에서 국내의 기록물관리체계와 지방행정체계가 유사한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했다. 하지만 연구의 시간적 범위에서 사례대상관보다 기록물관리체계가 발전한 시점에서 연구를 진행한 점을 감안하여 다소 거시적인 관점에서 기초적인 단계의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기록물관리체계 및 기록물 전문요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록물보존에 이바지하며 기록자치문화의 정착을 위해 향후 기록물활용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regional archive professional facility by creating a network system that produces, manages, and utilizes regional archiv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fundamental role in balancing national development and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n the future. Additionally, transparency in administration, particip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accumulating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enhancing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policy were expected. This study further aimed to propose a space composition and spatial model planning for local central regional archive considering the regional archive network system. (Method) In Japan's regional archive infrastructure started from local records management and its history and management system are well formed. The archives of two prefectures and four basic units of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nuals and literature surveys issued by the respective institutions; general status of the facility, architecture plans, space composition, required space, and area composition were also examined. Details that were difficult to analyze from the literature were obtained via emails. (Result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the spatial composition result from the local archives varied depending on their role. Prefectural archives and municipal archives occupied a larger proportion in preserving records than town archives, as the task of record keeping was important. However, town archives had a higher space proportion for the use of records and public services than prefectural and municipal archives. In particular, the common area was much higher in town archives, which is thought to be a difference in the area composition ratio depending on whether the facility is complexed in terms of public service. Layout of the storage space for regional archive is important considering future expansion. It is ideal to have regional archives that are expected to have a steep increase rate on the higher level to adjacent future storage areas with the existing storage. (Conclusion) Cases in Korea were preceded only by the Seoul Archives and the Gyeongsangnam-do Archives. At the time when there were no networking systems between archives,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similar to domest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Considering the timeline of when the study was conducted and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developed compared to the cases, it proceeded from the somewhat macroscopic viewpoint to the basic stag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records through an ongoing research on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records specialist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in terms of utilization to establish a culture of local-government records.

      • KCI등재

        자동차 뮤지엄에서 나타나는 형태생성 요소와 공간 구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공순구 ( Kong Soonku ),최원성 ( Choi Wons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뮤지엄의 건축적 성향은 구현되는 방식에 따라 지역적 컨텍스트, 공공성의 재생과 확장성, 형태의 조형적 표현성 등 다양한 양태를 드러내고 있다. 이 중 형태의 조형적 표현성은 뮤지엄의 상징성이 외적조형 언어로 구현되는 방식으로서 뮤지엄 자체가 랜드마크적인 흡인력을 표출하여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자원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자동차 뮤지엄 은 조형성이라는 특수성이 더욱 부각될 수 있는 뮤지엄이지만 국내의 경우에는 조형적인 상징성의 고취가 미흡한 실정이다. 반대로 해외 자동차의 뮤지엄은 그 자체가 하나의 작품으로서 형태와 공간 구성에서 조형적인 표현성을 표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해외 자동차 뮤지엄의 형태 구성과 공간 구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조형적 형태에 따른 공간성을 구성하는 통일된 언어를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 이후 생겨난 자동차 뮤지엄 중 조형적 특성이 나타나는 해외 자동차 뮤지엄 네 곳을 선정하였다. 형태생성의 조형적 표현성에 대한 광의적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형성의 배경이 되는 시대사조를 양식론적 관점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는 웹 서치와 참고문헌을 통해 진행하였다. (결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형태의 조형적 표현성의 가치 개념을 상징성, 역동성, 유동성, 투명성 측면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건축적인 세부 요소를 분류하였다. 상징성 측면의 경우 자동차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가 외부 형태와 내부 공간인 중정에 표상되어 나타났다. 역동성 측면의 경우 형태에서 곡면화, 선의 접힘, 비틀림이 나타났으며 이는 속도감이 느껴지는 전시 공간을 형성하였다. 유동성 측면의 경우 자유곡선의 비선형적인 형태로 형상화 되었으며 이는 관람자로 하여금 단방향의 순환 동선, 나선형의 속도감 있는 동선 등 확고한 동적 움직임을 지각하게 하였다. 투명성 측면의 경우 형태에서 매스의 중첩이 나타났으며 이는 상호관입의 투명성으로 내부에 연속적이며 역동적인 전시 공간으로 표출되었다. (결론) 이런 결과들을 통해 형태생성의 세부 요소들이 내 외부에서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형태의 조형적 표현성에 따른 공간성 구축을 위해서는 유사성이 강한 표현 요소끼리 조합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분류체계의 기초적 방안을 설정하였음에 연구의 의의를 상기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류체계가 향후 자동차 뮤지엄 계획 시 구축의 기반이 되는 설계 요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architectural tendency of a museum reveals various aspects, such as the regional context, reproduction and scalability of publicity, and formative expression of form, depending on how it is implemented. Among them, formative expressiveness means that the museum itself serves as a representative tourism resource in the region by expressing its landmark attractiveness as a method in which the symbolism of the museum is embodied in an external sculptural language. Specifically, the automobile museum is a museum where the specificity of formability can be further highlighted; however, in Korea, the promotion of formative symbolism is insufficient. On the contrary, the museum of overseas automobiles itself is a work of art, expressing formative expression in its form and spatial compositio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 composition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overseas automobile museums in this flow, this study aims to build a unified language that constitutes spatiality according to the formative form. (Method) Among the automobile museums that have been created since 2000, four overseas automobile museums with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In order to interpret the broad meaning of morphogenesis' formative expressiveness, contemporary thought, which is the background of formation, was considered from a stylistic perspective, and this was conducted through web searches and referencing. (Result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the concept of the value of formative expression was derived in terms of symbolism, dynamics, liquidity, and transparency, and detailed architectural elements were classified around this definition. In terms of symbolism, the identity of the automobile brand was represented in the middle with an external shape and an internal space. In the case of dynamics, curvature, line folding, and twisting appeared in the shape, which formed an exhibition space with a sense of speed. In the case of fluidity, it was shaped in a nonlinear form of a free curve, which made the viewer aware of solid dynamic movements such as unidirectional circulating movements and spiral speeding movements. In the case of transparency, the overlap of mass appeared in the form, which was expressed as a continuous and dynamic exhibition space inside with the transparency of interven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found that detailed elements of morphogenesis were mutually influenced from within and outside, and it was concluded that expression elements with strong similarities should be combined to build spatiality according to the formative expression of form.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that the basic pla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classifi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design element that is the basis for the construction when planning the automobile museum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공도서관 분관 복합화에 의한 유형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지역사회 기반의 분관 도서관 중심으로-

        공순구 ( Soonku Kong ),김종민 ( Jongmi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도서관법에 의하면 지역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분관을 건립 및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분관은 지역사회 중심의 도서관이라는 특징으로 우수한 접근성을 가지며, 도서 대출 기능을 중점으로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에게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분관은 지역 생활권을 중심으로 주민들에게 서비스를 하고 있고, 중앙관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분관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문화시설과 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이다. 공공도서관 분관이 지역 특성에 맞는 문화 및 공공시설과 복합화 된다면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 공간으로 발전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역사회 기반의 분관 도서관을 효과적인 복합화를 위해 분관의 역할과 기능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복합화에 의한 유형 및 공간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중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서비스 반경이 1km 미만인 분관급 도서관이 적합하며, 대상으로는 도심지에 위치한 국내사례와 공공도서관 분관의 시스템이 활성화되어있는 일본과 유럽 지역을 선정하여 복합화된 분관급 도서관으로 하였다. 그중에서도 동종 시설과 복합화된 공공도서관 분관의 복합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한다. (결과) 복합화된 분관급 도서관의 사례 분석을 통한 복합유형으로는 수직적 복합이 주로 구성되어 있었고, 열람 및 대출을 담당하는 자료 서비스 부문이 가장 높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고, 문화 교육 및 업무관리 공간은 복합시설과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게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는 공공도서관 분관의 복합화가 이루어질 때 수직적 복합으로 도서관과 복합시설이 동등한 규모에서 복합화가 이루어져야 된다. 이는 복합되는 시설의 비율이 낮으면 주 시설인 도서관의 부속실로 될 수 있고, 제 기능을 가진 공간구성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 및 형태는 중정형 구성을 통해 채광과 환기가 잘 되는 쾌적한 열람실을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중심 분관 도서관의 복합화를 구성할 때 효과적인 공간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Library Act, branches of public libraries are constructed and promoted in compli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These branches have excellent accessibility, as they are community-oriented libraries, and they provide information to residents of diverse classes, focusing on book lending function. For the revitalized use of these branches, the tendency is to ensure the functions of the library and its compositeness with the cultural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library branch will be developed into a central space for local communities if it is combined with cultural and public facilities that satisfy lo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type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library branch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branch to combine effectively the library branc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Method) Public library branches with a service radius of less than 1 km within the community were selected; for combined public library branches, we selected areas in Japan and Europe where the system of public library branches is revitalized. Using them as cases, the study proposed a reasonable spatial composition system by analyzing their program and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the complex type of the public library branch that combines similar facilities. (Results) For the composite type, obtained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composite library branch, the vertical combination was mainly composed. A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ratio, the data service sector was 28%, cultural education sector was 4%, business management sector was 10%, and public part was 7%. As for the ratio of combination with a complex facility, the library part was analyzed as 46% of the facility and the complex facility as 54%. The data service sector, which is responsible for promoting reading and lending, consisted of the highest percentage of area occupied, whereas the cultural education and work management space was relatively low because it was combined with a complex facility.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program and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the complex type of combined library branch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brary and complex facility have to be combined in the same size when the public library branch is a combined type. This tendency is because it would become the subsidiary room of a library, as the main facility, and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space composition with the appropriate function if the ratio of the complex facilities is low. Thus, it is possible to compose an effective space when planning a combined community-oriented library branch.

      •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을 통해서 본 현대미술관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빈 ( Kim Youngbeen ),공순구 ( Kong Soonku ),박지훈 ( Park Ji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의 삶은 건축공간이 가지는 특성과 인간의 지각을 통해 축척된 경험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그들의 삶에서 오감을 통해 다양한 현상을 지각하고 경험하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자신과 사회를 발전시켜왔다. 현대미술관의 건축 공간에서도 이러한 양상이 반영 된다. 미술관에서 작품 경험의 공간은 건축공간이 가지는 특성과 경험 주체자인 인간의 오감을 통한 지각에 의해 몰입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에서 인간의 작품 몰입 증진을 위하여 인간의 심리적 지각 활동에 의한 건축을 행하는 전통건축의 특성을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과 전통적 요소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감각의 지각체계를 통하여 사례분석 방법을 구체화한다. 공간요소 분석을 통해 가장 일반적이게 사용 되어지는 공간요소의 언어로 축약하여 사용하고, 전통에서 나타나는 건축공간특성을 현상학에 적용하여 연구의 가시성과 정확성을 높인다. 사례 대상관은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는 10년 이내에 지어진 한·중·일 현대미술관으로 선정하고 앞에서 도출한 공간요소 및 건축요소를 연구의 틀로 선정하여 사례검토를 진행한다. 진행된 사례검토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현상학적 요소가 무엇이며 어느 요소가 부족한지 밝힌다. 궁극적으로는 행위자와 건축공간이 각각의 대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닌, 주체자의 지각을 통해 공간성을 회복하며 소통되는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는 현대미술관들의 사례에서 공간요소는 인간의 주된 지각경험인 시각체계에 의한 경험뿐만 아니라, 오감체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다감각적 물리적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감체계의 공간요소 중 동일요소 반복, 빛, 회랑, 역사적 사건이 사례에서 공통적이게 나타남을 보였다. 이 요소들은 공간A에서 공간B로 관람자가 유도동선에 따라 이동할 때 나타나는 건축요소로, 지각현상학에 의한 건축설계 계획 시 주로 전이공간에서 관람자 지각경험이 이루어지도록 유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미술관의 계획 단계에서 전시공간의 의미가 편향된 경우에 지각현상학적 공간특성 검증을 통해 올바른 본질적 의미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과 전시공간이 서로 상호작용에 의해 의미가 생성되고 올바른 메시지가 전달되게 하는 매개 공간을 제시하는 방법론이다. 향후 미술관 건축 계획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미술관 작품 몰입 증진에 기여되는 공간을 구상되기를 바라며, 도출된 분석틀은 이를 위한 방향성을 검증하는 좌표로서 그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Human life can be said to be a series of experiences accumulat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pace and human perception. Humans experience various things through the five senses in their lives. Based on that experience, he has communicated and exchanged with the world and developed himself. This aspect is reflected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the Contemporary Art Museum. In the museum, the exhibition space is immersed in the architectural space and the human senses. In this study, we intend to us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o enhance human immersion. (Metho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leau-Ponti's perceptual phenomena and traditional elements, the case analysis method is embodied through the spatial perception method and the sensory perception system. It is abbreviated to the language of the most commonly used spatial element through spatial element analysis. We select the subject object hall as a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ntemporary art museum built within 10 years of the appearance of traditional elements. The spatial and architectural elements derived above are used as a framework for research. Based on the review of the case, it reveals what is the phenomenological element of the building and which element is lacking. Ultimately, the architectural space and human beings are not interpreted as individual objects, but seek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to communicate through restoring spatiality through perception. (Results) In the case of contemporary art museums where traditional elements appear, it can be seen that the spatial elements have multisensory phys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can be experienced not only by the main perception experience, but also by the five senses. It was shown that the same element repetition, light, corridor, and historical events were common in the case. It was found that these elements are architectural elements that appear when the spectator moves from space A to space B along the guided movement line, and should be guided so that the spectator's perception experience is mainly achieved in the transition space when planning the architectural design by perceptual phenomena. (Conclusions) At the planning stage of the museum, the meaning of the exhibition space is sometimes unbalanced. At this time, the correct meaning can be convey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perceptu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an intermediary space so that humans and space can interact.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frame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immersion in the works of art museums when planning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The derived analysis framework could be a guide for this.

      • KCI등재

        자폐성 아동 특수학교의 시설기준과 프로그램에 관한연구

        최지연 ( Jiyoun Choi ),공순구 ( Soonku Kong ),박지훈 ( Jihun Par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자폐성 장애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실정은 자폐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시설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그동안,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을 위하여 교육과 연구는 지속적으로 있어 왔지만 특수학교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현저히 부족하다.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을 위한 학교에 대하여, 세계적으로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더불어 다양한 시점과 시각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과 함께 우리나라도 자폐 아동의 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일원으로 독립할 수 있도록 적합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재활을 돕는 국공립학교가 마련 되도록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자폐 아동은 개인의 장애 범위가 더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자폐성 환자를 완전히 치유 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은 아직 없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장애 개선 방법은 행동장애 감소와 언어 습득, 의사소통기술을 증진, 자립기술 습득을 교육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폐 아동의 치료와 교육을 위한 특수학교의 연구가 더욱 필요한 이유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들에게 다양하고 적절한 교육시설을 연구하여 제공하기 위한 연구로써 문헌을 통한 자폐 아동과 특수교육의 정의와 현황을 정리하고 해외의 자폐아동을 위한 특수교육 제도와 시설 기준, 자폐 특수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그 프로그램과 시설의 기준면적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자폐아동에게 적합한 특수학교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특성은 다양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연구되었으며, 국내외에서 실제로 운영 중인 학교시설의 사례를 바탕으로 교육부 또는 사례 학교 설계자의 이메일 질의회신 및 자료 공유, 가이드라인, 법규, 문헌 조사 등을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 이와 같은 분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과 시설면적과 기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세계적으로 자폐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에 걸 맞는 교육과 시설의 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해 가고 있다. 자폐아동의 초기교육과 치료과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시설과 프로그램으로서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해결 방안으로 볼 수 있다. 즉 치료에 관련된 교육과 시설환경이 자폐아동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둘째, 자폐아동의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지원적 영역과 생활적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과 필요한 소요 면적을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고 세밀한 면적의 기준까지 제시하였다. 셋째, 자폐아동의 교육이 일어나는 활동의 공간과 외부인의 접근이 많은 부분은 기능적 동선을 분리하고, 업무영역은 방문자의 접근이 편리하게 계획 하였다. 또한 외부 동선과 내부동선의 명확한 구분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놀이공간이 계획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에게 특수하고 세밀한 프로그램과 시설기준을 제시하여 보다 효율적인 치료를 아이들에게 제공 할 수 있는 학교의 이론적 기준이 되고자 하였으며, 향후 자폐아동을 위한 특수학교를 계획 할 시에 학문적 도움이 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number of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s steadily increasing in Korea, special education school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ve not been established. Studies have shed light 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from various perspectives, but studies on special schools are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 policy of and with support from governments worldwide,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from various points of view, including the standards of education facilities. In Korea, there is recognition of the need to provide suitable public schools for children with autism to ensure their independence as future adult members of society through the education. Children with autism are characterized by a wide range of disabilities. At present, there is no known cure for autism. The most important measures of improvement are reduced behavioral problems, language acquisition,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nd acquisition of self-sustaining skills. Given the above, studies on special schools for the treatment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are need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provide suitable educational facility standard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 summarized the definition of children with autism and analyzed special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facility standard reports, and descriptions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have been presented in various literature, which were referenced in this study. Guidelines and school space programs have also been reported, as well as guidelines and codes from various countries, and were also reviewed in this research. In addition, we interviewed architects and corresponded with official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hese source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s, facility areas, and standard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ults) First, as the number of children with autism worldwide is on the rise, the environment of educational and related facilities is changing, playing a critical factor in X. Given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and treatment, education and treatment facilities are also important. Second, facility space can be divided into net and support areas. Third, the circulation of net area tended to be divided for students and visitors, with the administration area being designed to allow accessibility for visitors. In addition, a safe and pleasant playground can be planned by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inside and outside circ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specific space design and facility standard for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The results can be used to formulate standards in special schools for children with autism that can provide efficient treatment.

      • KCI등재

        병동형 소아 호스피스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이재빈 ( Lee Jaebin ),공순구 ( Kong Soonku ),이승용 ( Lee Seungy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의료기술의 발달과 평균연령의 증가에 따라 말기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도 불구하고 말기 어린이 환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법의 우선순위에 놓이지 못하고 있다. 어린이 말기환자는 성인에 비해 원인 질병이 다양하며 예후가 불량해 서비스를 정형화하기 어려워 다양한 특징을 고려해야 하며, 어린이로서의 삶의 질 향상과 동시에 각 발달 단계에 알맞은 치료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시범사업을 시행해 소아호스피스 제공체계 마련을 위한 근거를 수립하고 있지만 자문형 소아청소년 완화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쳐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의 한계를 인식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와 어린이 말기환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을 갖는 병동형 소아 호스피스 시설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국내 병동형 소아 호스피스의 부재와 필요성을 제시하고, 프로그램 및 공간적 해결을 위해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및 특성, 성인 말기환자와 구분되는 어린이 말기환자의 특징, 국내·외 소아 호스피스의 현황 및 호스피스의 시설 구분을 조사하였다. 이후 문헌조사 및 웹서치를 통해 국외 병동형 소아 호스피스 선진사례를 조사하고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을 분석한다. (결과) 사례에 따른 적정 공간구성비는 환자영역 24.82 ~37.05%, 직원영역 17.07~29.21%, 공용영역 36.55 ~49.49, 기타관리영역 1.16~9.03%로 드러났다. 3가지 이상의 특수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 호스피스와 구분되는 큰 특징이며 어린이 시설에 맞게 놀이방이 제공된다. 또한 1인실+목욕실 구성이 일반적이며 병실의 면적은 14.90~22.18㎡, 목욕실의 면적은 4~11㎡가 바람직하다. (결론)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제공순서의 사각지대에 머무르던 국내 어린이 말기 환자와 그 삶을 조명하고 이들을 위한 처우와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에서 의미를 갖는다. 해당 연구의 주제는 현 시범사업의 성쇠와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환경의 발전에 따라 더욱 미시적인 관점에서 고찰되어야 하며 본 연구를 기틀로 여타 어린이 의료복지를 위한 방향 수립에 지침이 되고 어린이 말기 환자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데에 보탬이 되기를 기망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academic and practical interest in terminal quality of life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average age, the number of end-of-life children is increasing and is not being prioritized by medical law. End-of-life children have a variety of causative diseases compared to adults, and it is difficult to standardize services due to poor prognosis; moreover, various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nd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be approached with treatments suitable for each stage of development. Recently, Korea has established a basis for providing a children’s hospice by identifying these problems and implementing a pilot project for pediatric palliative care; however, it has limitations only in providing advisory pediatric palliative care services. This stud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domestic children’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nd-of-life children, we recommend ward-type children’s hospice facilities with standardized programs and space organization. (Method) The absence and necessity of domestic ward-type children hospice were presented, and for the program and spatial resoluti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haracteristics of end-of-life children,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 hospice, and facility classification were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domestic ward-type children hospice was present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 characteristics of end-of-life children,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 hospice, and the classification of hospice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web search, advanced cases of overseas ward-type children’s hospices are investigated, and the program and space composition are analyzed. (Results) The appropriate spatial composition ratio, according to the case, was found to be 24.82-37.05% in the patient area, 17.07-29.21% in the employee area, 36.55-49.49 in the public area, and 1.16-93% in other management areas. Providing more than three special treatment programs is a big feature that distinguishes it from general hospices, and playrooms are provided according to children’s facilities.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a single room and a bathroom is the standard composition, and the area of the hospital room is 14.90-22.18 square meters, and the area of the bathroom is preferably 4-11 square meter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focusing on end-of-life patients in Korea who are in the blind spot of medical services and improving treatment and services for them. The topic of this study should be further studi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urrent pilot project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medical environment. This study’s results will guide children's medical welfare and ensur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terminal illnesses.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guide children's medical welfare and ensure the quality of life of end-of-life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